2019년 6월 29일부로 131번과 합병되었고, 다시 양신청둥먼 이남 구간을 이어받았다. 그 뒤로 20분에 달하던 배차 간격이 5분으로 좁혀졌다. 그러나 2층버스는 들어오지 않았다.
2019년 가을, 늘어나는 수요때문에 포톤 AUV 굴절버스를 시범적으로 다량 굴렸으나 왕화루-쓰위안차오시 구간이 문제였는지[2] 괜찮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을 409번으로 돌려보냈다.[3] 그러나 간간히 하루 몇대는 굴절버스를 썼다가 코로나19 사태로 수요가 크게 줄어버리자[4] 안 그래도 도로가 좁아서 불편했던 굴절버스 운행을 접어버렸다. 대신 광통사의 전기버스를 들여왔다.
[1] 법제일보사[2] 굴절버스와 동일한 길이였던 베이징 버스 131도 이 구간에서 도로가 엉키면 옴짝달싹못했던 2차선 도로이다. 거기다가 근처에 IKEA까지 있어서 상습 정체 구간이다.[3] 라이광잉 착발 노선 중 굴절버스 정규 운영 노선은 409가 사실상 유일하다. 다만 이쪽도 굴절버스 대신 하이브리드 버스를 도입.[4] 404번은 지하철의 환승저항을 공략하여 고수요를 뽑아냈는데 환승저항이 생길 지하철도 수요가 덩달아 줄어버렸다. 방역체계가 지하철만큼 깐깐하지 않은 버스는 타격이 더 컸다.[5] 3, 980, 106번 승차장.[6] 132, 404, 416번 승차장. 셋 다 왕징가는 노선이다.[7] 라이광잉루커우시에서 하차[8] 리저중제시커우에서 하차[9] 광순난다제베이커우에서 하차[10] 광순난다제난커우에서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