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컴퍼니|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44%>
||버컴퍼니
VTUBER COMPANY ||
]]VTUBER COMPANY ||
{{{#!folding [ 전 멤버 ]
1. 개요
감스트의 버츄얼 스트리머 종합게임 크루인 버컴퍼니의 컨텐츠 담당 부서들을 정리한 문서.2. 버컴 스타부
| 버스포드 Virsford Club | ||
| <nopad> | ||
| <colbgcolor=#000><colcolor=#fff> SOOP 버튜버 스타크래프트 동아리 | ||
| 설립일 | <colbgcolor=#fff,#191919>2025년 7월 29일 | |
| 해체일 | 2025년 8월 11일[1] | |
| 존속기간 | 2주 | |
| 설립자 | 감스트 | |
| 구성 인원 | 이사장 1명 총장 1명 교수 3명[2] | <colbgcolor=#fff,#191919>학생 5명 |
| 총 인원 9명 | ||
| 구성원 명단[3] | |||
| <rowcolor=#fff> 포지션/종족 | | | |
| <colbgcolor=#EAEAEA,#000> 교수 | <colcolor=#c48605,#c78908> 서지수 | <colcolor=#800080,#f676e6> 정소윤 | <colcolor=#2390cb,#56c0fe> 오리3 |
| 학생 | 숩니찡 | 니니 해리 | 봄세이 유설아 |
| | |||||
| 이름 | 공식 경기 전적(승률) | 버종최 및 비공식 경기 포함한 전적 | 최근 성적 | ||
| 버스포드 | 6전 0승 6패 (0%) | 8전 0승 8패 (0%)[4] | 전패 | ||
| 해리(Z, 1선발) | 6전 5승 1패1 (83.3%) | 9전 6승 3패3 (66.7%) | 4연승 | ||
| 니니(Z, 2선발) | 6전 2승 4패 (33.3%) | 13전 7승4 6패 (53.8%) | 1패 | ||
| 숩니찡(T, 3선발) | 6전 1승 5패 (16.7%) | 8전 2승 6패 (28.6%) | 5연패 | ||
| 봄세이(P, 4선발) | 8전 1승 7패2 (12.5%) | 12전 4승 8패5 (33.3%) | 4연패 | ||
| 유설아(P, 5선발) | 6전 2승 4패 (33.3%) | 9전 2승 7패 (22.2%) | 1승 | ||
| 1- 공식전 최다승 및 최소패 / 2- 공식전 최다패 3- 총 전적 최소패 / 4- 총 전적 최다승 / 5- 총 전적 최다패 | |||||
2.1. 소개
- 10일에 열릴 버튜버 스타크래프트 크루 대전을 위해 설립된 단기성 동아리이다. 타 크루들이 스타판 수위급 여캠 및 선출들을 모셔 전력 강화를 하자 감스트 또한 큰 결단을 내려 현 스타판 여성 방송인들 중 최고 수준의 교수들을[5] 영입해 본격적으로 연습 환경을 구성하였다.
- 크루대전에 출전할 총 5명의 선발진 중 해리가 1선발, 니니가 2선발, 숩니찡이 3선발, 봄세이가 4선발, 마지막으로 성장 가능성이 보인 유설아가 5선발로 낙점되었다.
- 선수 별 별명이 생겼는데 해리는 가오저그,[6] 니니는 테이저그,[7] 숩니찡은 베테란,[8] 봄세이는 대찍토스,[9] 유설아는 평소 유명한 감스트의 시청자를 뽀려가는(?) 흡성대법으로 이번엔 스타 유동들을 흡수하겠다 밝혀 흡성토스로 불리게 되었다.
===# 일정 #===
- 버스포드 출범 하루 전인 7월 27일, 버컴의 스타 실력 점검을 위해 버인협회와의 즉흥으로 스타 CK 평가전을 붙었으나 필승카드인 해리를 제외한 모든 인원이 패배하면서 졸전 끝에 1:3으로 완패했다.[10] 28일에도 평가전을 진행했고 전날 무기력했던 숩니가 기량이 상승한 모습을 보이며 승리하기도 했다. 그리고 버스포드가 출범하였고 교수들을 초빙하였다.
- 8월 2일 16시, 조경훈이 주최하는 버츄얼 종족 최강전에 버스포드 5인 중 4인이 출전한다.[11] 각 종족 당 출전 리스트 중 숩니가 제외되면서 봄세이(P), 니니(Z), 해리(Z)가 최종 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봄세이가 1승에 성공했고 니니는 첫 경기를 잡은 봄세이부터 4명을 꺾고 최다승을 거둬 이번 대회 최고의 스타가 되었다.
- 21시에는 기뉴다의 스타대학 장독대 산하 유스인 뉴캣슬과의 7전 4선승 시리즈 CK 평가전이 진행되었다.
{{{#!folding [ 결과 보기 ]
- 곧이어 3일 자정, 즉흥 CK 평가전을 진행하였다.[22]
- 8월 4일 23시, 조경훈의 종겜 크루인 버인협회와의 7전 4선승 시리즈 CK 평가전이 진행되었다.
{{{#!folding [ 결과 보기 ]
- 대회가 6일 앞으로 다가온 상태였지만 봄세이를 제외한 전원이 발전 없는 답보 상태를 보여주면서 완벽하게 무너졌다. 이대로면 본 대회 1회전 탈락이 확실해보인다.
- 8월 7일 23시, 가습기의 종겜 크루인 습산시장과의 5경기 CK 평가전이 진행되었다.[28]
{{{#!folding [ 결과 보기 ] - 버스포드 2:3 습산시장
}}}
}}}
- 곧이어 8일 새벽, 지피티의 종겜 크루인 지력사무소와의 5경기 CK 평가전이 진행되었다.[34]
{{{#!folding [ 결과 보기 ] - 버스포드 2:3 지력사무소
- 1세트 - 숩니찡(T) : 승 빵땅콩(Z)[35]
- 2세트 - 해리(Z) 승 : 한비(T)[36]
- 3세트 - 유설아(P) : 승 한비(T)[37][38]
- 4세트 - 봄세이(P) : 승 이푸이(Z)[39]
- 5세트 - 니니(Z) 승 : 김병살(P)[40]
- 최적화를 잘하며 버스포드의 희망으로 우뚝 섰던 봄세이가 입력값에만 기댄 정석 플레이만 하는 걸 상대 크루들이 찌르는 방식으로 준비해오는 바람에 무너졌고 숩니찡과 유설아는 진전이 없어 사실상 필패 카드로 전락했다. 반면 저그반 2명인 해리와 니니는 이제 생각하는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으로 경기력이 크게 성장하면서 이틀 남은 현재 진짜 버스포드의 희망이 되었다.
}}}
- 10일 새벽, 이사장 감스트(Z)를 포함한 저그반과 나머지 실력 향상이 필요한 3인방의 자체 평가전이 최종적으로 진행되면서 모든 연습 일정이 마무리되었다.
- 그리고 10일, 버인협회와의 4강전 대결에서 2:4로 완패하여 일찌감치 빠르게 해체되었다.
===# 스타 버츄얼 종겜크루 대전 (준결승) #===
| 스타크래프트 버츄얼 종겜크루 대전 준결승전 2025년 8월 10일 일요일 21:30(KST) | |||||||||||||||
| 중계진: 감스트 · 오리3 · 서지수 · 정소윤 | |||||||||||||||
| | 2 | 4 | 버인협회 | ||||||||||||
| 버스포드 | 버인협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탈락 | 결과 | 결승 진출 | |||||||||||||
| 스타크래프트 종겜크루 대전 준결승 경기 결과 | ||
| | <colbgcolor=#000> vs | 버인협회 |
| 버스포드 | 버인협회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니니(Z) 패 | 투혼 | <colbgcolor=white><colcolor=white> 새잎(P) 승 |
| 해리(Z) 승 | 모카(T) 패 | |
| 숩니찡(T) 패 | 목츄리(Z) 승 | |
| 유설아(P) 승 | 오미주(Z) 패 | |
| 봄세이(P) 패 | 호미밍(Z) 승 | |
| 봄세이(P) 패 | 호미밍(Z) 승 | |
- 해리는 늘 그래왔듯이 철저히 증명하며 공식전 승률 83.3%의 포스를 보여주었고, 유설아는 빠른 최적화 이후 캐논 도배, 캐리어 전략으로 기적을 썼다. 하지만 숩니찡이 저티어 테란의 한계를 끝내 극복하지 못해 패배했고 해리와 함께 원투펀치였던 니니가 상대 크루의 1황인 새잎과 대진을 붙는 바람에 1패가 적립되면서 버스포드에게 안개가 끼고 말았다. 하지만 이번 시리즈의 패인은 따로 있었다..
5-6경기 연달아 출전한 봄세이가 병력 갈무리를 전혀 못하는 플레이와 어택땅과 무브 선택에서의 반복된 실수, 교수님이 가르쳐주지도 않은 캐리어 테크를 타버리는 문제성 판단, 유불리 타이밍을 전혀 보지 못하고 자신을 갉아 먹으며 시간을 전부 허비해 상대의 4멀티 타이밍을 2게임 연속으로 준 것까지 본인에게 들어간 입력값에 조금이라도 변수가 생기면 대처를 하지 못하고 치명적인 실수만 반복하여 2연패로 무너지면서 팀의 최종 패배에 방점을 찍고 말았다.
경기 종료 후 감스트는 좌절한 멤버들의 분위기를 풀어주려 스타를 삭제할 건지 계속 할 건지 의사를 물어보았고 해리는 종족변경, 숩니는 테란을 계속 연습, 니니는 미션을 위해 계속 할 것이라 말해 웃음을 터뜨렸고 완벽한 승리를 거머쥐긴 했으나 연습 기간 2주 내내 모든 것을 불태우며 고생에 시달린 유설아와 최근 연습 경기부터 오늘 경기까지 내내 지옥을 선사했던 봄세이는 스타 삭제식을 진행하며 스타판에 영원히 돌아오지 않게 되었다.나름 해피엔딩
3. 버컴 배그부
| | |||||
| 공식 티어 | 멤버명[42] | ||||
| 7티어 | 영쨩[[주장| C ]] | ||||
| 8티어 | 앨리스얌, 망구랑, 윤이샘, 해리, 유설아 | ||||
| 아가 티어[43] | 니니, 바밍, 키이세 | ||||
4. 버컴 마크 RPG부
| | |||||
| 서버 명[44] | 멤버명 및 출신 소속 길드명[45] | ||||
| 로나월드 시즌 2[46] | 망구랑(검은 해적단2nd), 앨리스얌(무적단1st), 영쨩(도깨비3rd) | ||||
| 악어의 놀이터 2[47] | 단츄, 봄세이(이상 주니처니), 망구랑, 영쨩, 윤이샘(이상 실코타운3rd) | ||||
| 마카오톡 1.75[48] | 앨리스얌(썩창3rd), 유연서(꼬습노2nd) | ||||
| 코창서버 | 망구랑(흑코랑2nd), 앨리스얌(오로치), 영쨩, 유설아(이상 북해빙궁3rd), 유연서(아수라) | ||||
4.1. RPG 연습 서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 버컴 RPG 연습 서버 길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73A3C,#DDDDDD | 히든 직업 스쿼드 | ||
| 블러드 소울 (대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000000; border-radius: 4px"[C] | ||
| 까마귀의 사슬낫 (창)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ff3399; border-radius: 4px"[IGL] | ||
| 일반 직업 스쿼드 | |||
| 전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fac44d; border-radius: 4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f6a85c; border-radius: 4px" | ||
| 창술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B99AEF; border-radius: 4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fba; border-radius: 4px" | ||
| 마법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bc81ee; border-radius: 4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5F84C0; border-radius: 4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c5d4ef; border-radius: 4px" | ||
| 힐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fdfd96; border-radius: 4px"[VC]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FFC0CB; border-radius: 4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1px 1px; padding: 2px 6px; background: #9cc7be; border-radius: 4px" | ||
| 소속 서버: RPG 연습 서버 / 창립자: 김인직 / 길드 파워랭킹: 2위 / (개인 파워랭킹)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감스트/RPG 연습 서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감스트/RPG 연습 서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일차[49] #====
12인 총 API 161만여 개를 들고 압도적인 템 수급과 빠른 API 히든 획득으로 순조롭게 출발하는 듯 했으나 1채널 사냥터 자리를 잡던 중 꾸산당과의 사소한 마찰이 생겨 도파민을 명분으로 신나게 쟁을 했고 상대가 성장 없이 같이 죽자는 식으로 달려들자 다른 채널로 옮겼는데 그곳에서 이미 성장이 시작됐던 타 길드들에게 자리싸움을 걸었으나 계속 성장이 막히자 그린캠프가 있는 4채널로 가서 API 바탕으로 한 기초 체급으로 밀어내 굉장히 늦은 타이밍으로 성장이 스타트 되었다.
하지만 API로 얻은 재화들을 통해 빠른 성장을 이룩해내면서[50] 순식간에 선두를 치고 나가던 버인협회의 뒤를 잇는 2위 길드로 등극했다. 새벽을 넘어서자 최고 티어 보스를 독식할 수 있는 수준까지도 올라섰다.[51]
오전 11시 20분 경 점령전 연습 겸 길드 라이프를 벌기 위해 이번 서버 최약체로 분류된 그린캠프에 첫 전쟁 선포를 하였다. 그러나 연습이 안되는 수준의 체급 차이 때문에 감스트의 솔로 플레이로 상대 본진에서 입구킬이 계속 터지는 1:11[52] 학살쇼만 펼쳐졌다. 결과는 300:9 압승.
12시 보스쟁에서 님프를 앞에두고 지력과 꾸산당을 상대로 압도적인 전투력을 보이며 님프를 먹는 것까진 좋았으나 루팅에 대한 약속된 플레이나 크랙 플레이가 나오지 않았다. 16시 보스쟁 때는 신규 보스 예티를 상대가 안오는 타이밍에 선점하여 잘 먹었으나 꽃게랑 쟁에서 감스트가 본인을 괴롭히는 적들에게 시선이 끌려 본대 오더를 무시하고 혼자 싸우는 트롤 플레이가 멈추질 않았고 당시 단츄에서 메인오더로 바꼈던 앨리스얌은 자신감이 매우 떨어져 있던 찰나였던 지라 감스트를 강하게 채찍질하지 못해 전투가 엉망으로 끝나고 말았다.
====# 2일차[53] #====
본격적인 낮은 확률의 무기, 보호구 강화 시기가 오자 감스트를 주축으로 극악의 불운이 겹치면서 길드 재화가 바닥이 날 정도로 성장 속도가 더뎌지는 최악의 사태가 펼쳐졌다. 또한 전투에서 메인 오더가 부재한 점,[54] 길드의 방향성을 강단 있게 끌고 가는 책사가 부재한 점,[55] 길드 내 최고 스펙이었던 감스트의 오더 미수행과 불필요한 솔로 플레이 등이 겹쳐 보스쟁에서도 미래가 불투명하게 되면서 난처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그리고 26일 밤에 출시 된 모험 히든 경쟁에서 전부 얻지 못하게 되어 3위권을 확고히 유지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56] 이후 쟁에서 감스트가 기존 플레이에 대한 피드백을 마치고 좋은 모습을 선보였지만 기존 중위권 길드였던 지력사무소에게도 본대 싸움에서 열세에 빠지는 형태가 드러나면서 이젠 중위권으로 밀려났음을 완벽히 확인사살 당했다. 하지만 점령전 이니시를 건 지력과의 길드전에서 바밍이 메인 오더수로 급부상하여 호각세를 펼친 채 완패를 당하지 않고 한 끝 차이의 석패를 당하면서 희망을 보았다.[57]
그리고 27일 오전, 바밍과 윤이샘이 무기 9강 강화에 성공하고 멤버들이 서서히 보호구 6강을 넘어서 7강을 바라보기 시작한 데다 12시 보스쟁에서 감스트가 라파엘 보스 루팅에 성공하고 봄세이가 외출해 있던 도중 걸린 습퍼마켓과의 점령전에서도 9강 멤버들의 맹활약으로 역전승을 거둬 다시 한번 2위 경쟁에 불을 지폈다.
====# 3일차[58] #====
20시 첫 보스쟁에서 꽃게랑을 선점하여 먹은 후, 꾸산당이 먼저 루팅 중이던 예티에 접근해 꾸산당과 다음으로 접촉한 홍신소를 완벽히 밀어내고 득점에 성공하여 버컴 내 퇴역군인들을 필두로 감스트까지 대부분이 각성된 최고점의 포텐이 터졌다. 그리고 라파엘 보스를 앞에 둔 최후의 전투에서 한몸처럼 움직여 지력사무소를 무력화시키고 꾸산당과의 전투에서도 우세한 킬로그를 만들어냈다. 심지어는 버인협회의 접근도 밀어내는 저력을 보여준 끝에 루팅템의 반을 챙겨가는 최고의 성과를 내 최종 2위 가능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했다.
21시 7길드 위너스리그 다인 투기장 이벤트전에서 최종 2위를 차지하면서[59] 길드 재화를 엄청나게 뿔리는 데 성공해 이제 점령전만 잘하면 2위 마무리가 확실해질 수 있을 것 같다.
28일 새벽 1시 10분 경, 지력사무소에서 버컴에게 2차전을 선포해왔다. 하필 버컴은 내일을 위해 과반수 이상이 잠들러 간 상황이었는데 불려나오게 되었고 부랴부랴 준비하느라 포지션 정비가 안되면서 먼저 점령지를 내주고 시작했다. 하지만 메인 오더수 바밍의 폭풍 오더와 지피티를 필두로 한 상대 본진을 완벽히 묶어버리는 단츄의 CC딜 스킬, 윤이샘의 상대 뒤를 찢어버리는 스플릿 침투 플레이까지 고점의 폼이 전부 터지면서 지력사무소를 완벽하게 압살하고 사실상의 2위 굳히기에 돌입하였다.
오후가 되어 최강 길드인 버인협회가 1위 굳히기를 위해 버컴에 전쟁선포를 걸었다. 결과는 버컴의 패배였지만 점령 포인트 160:300으로 분전을 펼쳤기에 포기하기엔 이르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후 하위 길드들이 계속 쟁을 걸어왔고 버컴은 그걸 전부 이겨내면서 착실히 길드라이프틑 벌어 버협과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6시가 넘어 버컴퍼니 vs 지력사무소 / 버인협회 vs 꾸산당 대전이 동시에 펼쳐질 예정이었으나 습퍼마켓이 지력사무소에게 쟁을 걸고 패배하면서 길드라이프 스코어 버협 15, 버컴 14, 지력 13이 되었다.
그리고 7시 경 지력사무소와의 결승진출전에서 감스트가 서버 최종격의 점령전이라는 생각에 극도의 긴장을 해 판단력이 굉장히 흐려지면서 따로 빠져 있는 적이나 도망치는 적에게 빨리는 등 저점의 폼을 보였으나 단츄가 본대 지휘를 역대급으로 완벽하게 해내어 멤버들이 맹활약하는 구도가 만들어져 우려와는 다르게 완승을 거뒀다. 결국 버인협회와의 최후의 결승전만을 남기게 되었다.[60] 그리고 초월 옵션에만 2~3천만원을 박았던 감스트가 이미 완을 친 하위길드들의 지원을 받아 힘 3줄[61]의 기적까지 쓰며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그러나...
19시 50분에 시작된 결승전에서 버인협회가 히든 법사인 채윤아를 본대 뒤에 숨기고 사슬낫 히든인 부르를 버컴 뒷라인에 어그로를 끌게 만들면서 버컴의 본대 CC 후 뎦치는 연계 전술을 완벽히 틀어막았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앞라인 전사들과 창술사들이 폐사했고 감스트도 불리한 구도에 부르와 다른 적들에게 시선이 자주 끌리며 집중력이 점점 떨어졌다. 그나마 바밍과 단츄가 어떻게든 팀원들의 멱살을 끌고 점령 포인트 68점까지 가져갔지만 이전 꾸산당과의 전투에서 본대가 계속 휩쓸리던 문제를 보완해 온 버협은 흠집 조차 내기 힘든 성벽과도 같았다.[62] 300:68의 완패였지만 최종 2위를 달성하여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4.1.1. 성과 및 의의
| |
| RPG 연습 서버, 버컴 길드의 피날레 단체사진 |
수장인 감스트는 RPG에서 가지면 안되는 잘못된 습관만 전부 가진 채 시작했으나 시간이 흐를 수록 이 모든 것들이 사라져 가면서 팀원들과 한몸처럼 움직이는 팔로우 능력, 자신이 해야 할 플레이를 확실히 파악해 자신에게도 고점이라는 게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성장 드라마를 써 기존 시청자들의 고착된 편견들을 완전히 깨부쉈고 무엇보다 서버 취지였던 그의 재미와 흥미를 붙이게 하는 것이 120% 이상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었다.[63] 여전히 전프로 출신들이 즐비한 대형 RPG 서버에는 참여할 수준이 안되지만 감스트 유니버스 내에선 또 다시 RPG 서버가 열릴 수 있는 발판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메인 오더수로 우뚝 선 바밍과 본대 지휘자였던 단츄는 다음 대형 서버에 참여만 한다면 유수급의 고실력자 스트리머들이 한번 눈여겨 볼 정도로 엄청난 실력을 보여주어 시청자들을 열광케 하였다. 바밍은 잠까지 줄여가며 이기겠다는 신념 하나로 모든 다시보기를 다 뜯어보고 멤버들에게 정성껏 피드백하는 모습이 드러나 큰 울림을 주었고 점령전에서는 강단 있게 멤버 전원에게 냉철하게 지시하며 전술 실행에 대한 단추를 끼웠다. 단츄는 기존의 귀엽고 장난스러운 이미지를 잠시 내려놓고 목 부상이 있음에도 까랑까랑하게 연계 지시를 내리며 본대의 캡틴 역할을 여실 없이 보여주어 극찬을 받았다.
창술사였던 윤이샘은 스펙이 낮았을 때부터 까다롭다는 평을 받던 순수 피지컬파로 분류되어 있다가 9강을 찍자 거의 창술 히든 직업 급으로 날아다니며 상대 뒷라인을 파괴하는 마법 계열 직업들의 저승사자가 되어 서버 1황 창술사로 등극하였고 유연서 또한 윤이샘과 비슷한 플레이를 성공적으로 잘 해내면서도 시야를 따주는 움직임과 또박또박한 딕션으로 브리핑을 해주어 바밍과 단츄가 실행해야 할 CC 후 덮치기 전술이 성공적으로 행해질 수 있었다.
마법사인 유설아와 봄세이 또한 집중력을 끝까지 유지해 단츄 이후의 AP 후속딜을 정확히 넣어주어 상대의 본대를 압도하는 데 큰 영향력을 끼쳤고 최전방 전사들 중 RPG 최고 경력자인 망구랑은 정확한 브리핑과 오더 수행으로 상대의 진입을 틀어 막고 단츄가 뛰어들 수 있게끔 만들어주었으며 설레랑은 쉽게 물리지 않고 최대한 딜 누적을 하며 조력자 역할을 잘해주어 팀 내 마크를 제일 못한다는 편견과 비판을 스스로 깨부쉈다.
그리고 힐러 3인방 중 앨리스얌은 길드장 부재 시 권한 대행 역할부터 내실을 총괄하고 바밍과 단츄가 오더 지휘봉을 확실히 잡기 전까지 최초의 오더 역할을 수행하여 멤버들이 어떻게 전투를 해야 하는 지 틀을 마련하는 등 버컴에서 가장 고생한 어머니 포지션으로 이름을 남겼다. 영쨩은 그동안의 힐러 경험을 통해 감스트의 주유소 역할을 하는 수준으로 옆에 딱 붙어 감스트가 뛰어드는 그 포화 속에서도 버티고 피하면서 힐을 주는 최고점의 폼을 보여주었다. 키이세는 본대의 마법사진들을 전부 케어하며 키간의 저력을 마크 안에서도 보여주었다.
이렇게 버컴 12인 전원이 RPG에 대한 숙달과 길드 운영 방법, 본인이 해보지 않았던 직업과 역할들을 소화해보는 등 모두에게 기억에 남을 서버가 되었고 감스트 본인은 RPG에 대한 감흥을 얻어 향후 감니버스 내수용 서버의 시즌제 혹은 타 컨셉의 PVP 서버도 기약할 수 있을 만큼의 재미와 흥미를 얻었다. 버컴 11인의 멤버들은 스트리머 이력 상 수장인 감스트와 함께하는 RPG가 얼마나 희귀한 경험인 지 아주 잘 알기 때문에 굉장히 소중한 추억으로 남았을 것이고 또한 멤버들 간에는 이전에도
4.2. 삼국지 서버
5. 버컴 음악부
5.1. 버컴 보컬리스트
| | |||||
| 멤버명 | 따린 (메인 & 리드 보컬, 올라운더) | ||||
| 바밍 (메인 보컬, 휘슬 레지스터) | |||||
| 해리 (메인 보컬, 중저음 벨팅) | |||||
5.2. 싱크룸 합창단
| | |||||
| 날짜 | 기수 | 엠블럼 | 그룹명 | 멤버 | 링크 |
| 25.08.01 | 1기 | <nopad> | 케이크 (Cake) | 니니(리더), 따린(리드 보컬), 바밍(메인 보컬, 래퍼) 해리(메인 보컬), 설레랑(서브 보컬, 래퍼) | # |
| 25.??.?? | 2기 | ||||
- 8월 1일, 버컴의 싱크룸 합방으로 생긴 합창부 리스트이다.
- 1기 케이크 멤버였던 5인 전부 굉장한 활약을 펼쳤다. 소위 따바해는 엄청난 보컬 실력으로 귀호강을 시켜주는 핵심 보컬로서의 능력을 최대치로 보여주었고 니니는 가사를 씹어먹는 실력에서 동요처럼 부르는 완급 조절 능력자, 설레랑 또한 게임 실력만 빼고 만능이라는 소리를 듣는 만큼 굉장한 기교를 보여주었다.
5.3. 감니버스 크루 음악축제
| | |||||
| 무대 방식 | 멤버명 | 순위 | 링크 | ||
| 솔로 | 바밍 (M.C The Max - 바라보기) | 1위 | # | ||
| 듀오 | 니니, 해리 (에일리 - 보여줄게) | -[64] | # | ||
6. 버컴 기획 & 비서부
| 버컴퍼니 기획 비서부 VTUBER COMPANY SECRETARY | |
| <nopad> | |
| <colcolor=#fff><colbgcolor=#0D0D0D> 부서명 | 버컴퍼니 기획 비서부 (VTUBER COMPANY SECRETARY) |
| 시작일 | 2025년 7월 29일[65] |
| <colbgcolor=#fff> | | ||||
| 이름 | 사진 | 역할 | 이름 | 사진 | 역할 |
| 봄세이 | <nopad> | 버컴 내외 게임 기획 및 주최 관련 메인 디렉터 (종겜 부문) | 유연서 | <nopad> | 감스트 직속 및 총괄 담당 |
| 아마이유키 | <nopad> | 버컴 내외 게임 기획 및 주최 관련 서브 디렉터 (사설 서버 및 VR맵 부문) | 앨리스얌 | <nopad> | 게임 수집 및 세팅, 준비, 설명 등 인게임 가이드 담당 |
| 유연서 | <nopad> | 게임 수집 및 인적 사항 등 데이터 관리 담당 | 설레랑 | <nopad> | 포스터 및 디자인 담당 |
| 앨리스얌 | <nopad> | 게임 수집 및 체험, 주최 보조 담당 | 차쯔키 | <nopad> | 포스터 및 VR Chat 맵 디자인 담당 |
- 기획부인 봄세이와 유연서는 게임 대회 주최를 위해 후원사 모집, 참가자 모집, 게임 데이터 수집 및 취합 등을 수행하여 현재까지 2개 대회를 주최하였다. 대회 정보는 아래 단락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신입생 아마이유키가 기획부로 영입되어 봄세이, 유연서와 함께 대회 및 컨텐츠 기획의 양질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앨리스얌은 주로 내전 컨텐츠를 위한 종겜들을 감스트 지시 하에 직접 수집하고 체험한 후 컨펌 받아 소소하게 주최하는 보조 담당이다.
- 비서부는 버컴퍼니 멤버들 및 대회 출전자들을 인솔하고 인게임 설명 등을 도우며 기획부의 업무 연장 선상인 게임 수집 및 데이터 관리들을 돕고 대회 포스터를 제작하는 등 실무진 역할을 수행한다. 새로이 영입된 포스터 디자인 제작자인 차쯔키는 현재 부서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사실상 감스트 컨텐츠에 필요한 포스터들을 컨펌 받아 제작하고 있어 설레랑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설레랑과의
견제협업으로 2교대 가동이 시작되어 비서부로 사실상 편입되었다. - 8월 초 마크 RPG 서버 주최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던 감스트를 비서부 멤버들이[66] 늦은 새벽에도 상주해있다가 그를 독려해주어 서버 주최에 대한 구체적 논의 일정을 성사시키는 성과를 냈다.
- 기획 비서부 멤버들 이외에도 컨텐츠 기획 능력이 바탕에 깔려 있는 멤버들이 많다. 바밍은 이전부터 준비중이던 마크 PVP 공룡서버 출시를 앞두고 있고 거기에 마크 버츄얼 육상 선수권 대회 서버를 기획중이며 단츄는 평소 가지고 있던 VR맵과 기존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합방을 성사시키기도 했으며[67] 설레랑 또한 VR맵을 제작해 감니버스 크루 퀴즈쇼를 주최할 예정이다.
6.1. 배틀그라운드: 크루워즈
6.1.1. 대회 정보
| | ||||||||
| 배틀그라운드: 크루워즈 | ||||||||
| 대회 기간 | 2025년 8월 5일 | |||||||
| 주최/주관 | 봄세이 | |||||||
| 진행 | 봄세이, 감스트, 로기다 | |||||||
| 후원 | SOOP, PUBG: BATTLEGROUNDS, I'M BRAND, CREATIVE PIXEL BREAD | |||||||
| 참가팀 | 16팀[68] | |||||||
| 경기장 | 온라인 | |||||||
| 상금 | ₩2,000,000[69] | |||||||
| 송출 | | |||||||
| 링크 | | |||||||
6.1.2. 버컴퍼니 스쿼드 성적
| | |||||
| 대회 일정 | 경기 룰 | 멤버명 | 순위 | ||
| 1라운드 | e스포츠 모드 (5인 스쿼드) | 1팀 - 영쨩, 해리, 앨리스얌, 바밍, 니니 | 4위[70] | ||
| 2팀 - 숩니찡, 망구랑, 키이세, 윤이샘, 유설아 | 11위 | ||||
| 2라운드 | 폭발물 모드 (5인 스쿼드) | 1팀 - 영쨩, 해리, 앨리스얌, 바밍, 니니 | 3위 | ||
| 2팀 - 숩니찡, 망구랑, 키이세, 윤이샘, 유설아 | 7위 | ||||
| 3라운드 | 자기장 즉사 모드 (5인 스쿼드) | 1팀 - 영쨩, 해리, 앨리스얌, 바밍, 니니 | 14위 | ||
| 2팀 - 숩니찡, 망구랑, 키이세, 윤이샘, 유설아 | 3위 | ||||
| 4라운드[메인] | 소대 e스포츠 모드 (10인 스쿼드) | 영쨩, 해리, 앨리스얌, 바밍, 니니 숩니찡, 망구랑, 키이세, 윤이샘, 유설아 | 1위[72] | ||
6.2. 버컴 친해지길 바래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6.2.1. 대회 정보
| | ||||||||
| 리그 오브 레전드 버컴 친해지길 바래 대회 | ||||||||
| <colbgcolor=black> 대회 기간 | 2025년 8월 13일 | |||||||
| 주최/주관 | 봄세이, 유연서 | |||||||
| 진행 | 한수원, 꾸티뉴 | |||||||
| 후원 | SOOP, I'M BRAND CREATIVE PIXEL BREAD | |||||||
| 참가 인원 | 버컴퍼니 16인 중 10인[73] | |||||||
| 경기장 | 온라인 | |||||||
| 송출 | | |||||||
| 선발 라인업 | ||
| Team 봄세이 | <colbgcolor=black> vs | Team 유연서 |
| 봄세이 팀 | 유연서 팀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봄세이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앨리스얌 |
| 키이세 | | 바밍 |
| 영쨩 | | 숩니 |
| 유설아 | | 유연서 |
| 단츄 | | 해리 |
6.2.1.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소환사의 협곡 1세트, year=2025, month=08, day=13
, bteam=유연서, bresult=WIN, rteam=봄세이, rresult=LOSS, time=31:48
, bkill=30, bdeath=11, bassist=67, rkill=11, rdeath=30, rassist=17
, bgold=57.4, bbounty=0 ,rgold=47.3, rbounty=340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유연서, redteam=Team 봄세이
, d_blueban1=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아이번, d_blueban3=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sett, p_blueban2=ivern, p_blueban3=lulu, p_blueban4=jinx, p_blueban5=nautilus
, d_redban1=세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트런들, d_redban3=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문도 박사, d_redban5=블리츠크랭크
, p_redban1=senna, p_redban2=trundle, p_redban3=pyke, p_redban4=drMundo, p_redban5=blitzcrank
, d_bluepic1=말파이트, d_blue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세라핀, d_blue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레오나
, p_bluepic1=malphite,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seraphine, p_bluepic4=missFortune, p_bluepic5=leona
, d_redpic1=초가스, d_redpic2=브라이어, d_redpic3=럭스, d_redpic4=시비르,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chogath, p_redpic2=briar, p_redpic3=lux, p_redpic4=sivir, p_redpic5=brau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Infernal, bluesoul=
, reddragon1=Cloud,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6.2.1.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소환사의 협곡 2세트, year=2025, month=08, day=13
, bteam=봄세이, bresult=WIN, rteam=유연서, rresult=LOSS, time=35:34
, bkill=30, bdeath=11, bassist=56, rkill=10, rdeath=30, rassist=18
, bgold=63.0, bbounty=0 ,rgold=56.1)]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eam 봄세이, redteam=Team 유연서
, d_blueban1=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말파이트, d_blueban3=레오나, d_blueban4=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블리츠크랭크
, p_blueban1=nocturne, p_blueban2=malphite, p_blueban3=leona, p_blueban4=pyke, p_blueban5=blitzcrank
, d_redban1=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시비르, d_redban5=케이틀린
, p_redban1=nautilus, p_redban2=missFortune, p_redban3=jinx, p_redban4=sivir, p_redban5=caitlyn
, d_bluepic1=모데카이저, d_bluepic2=아무무, d_bluepic3=세라핀, d_bluepic4=바루스, d_bluepic5=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mordekaiser, p_bluepic2=amumu, p_bluepic3=seraphine, p_bluepic4=varus, p_bluepic5=morgana
, d_redpic1=티모, d_redpic2=워윅, d_redpic3=럭스, d_redpic4=애쉬, d_redpic5=세나
, p_redpic1=teemo, p_redpic2=warwick, p_redpic3=lux, p_redpic4=ashe, p_redpic5=senn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Cloud, bluedragon2=Mountain
, bluedragon3=Infernal, bluesoul=Infernal
, reddragon1=,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6.2.1.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칼바람 나락 3세트, year=2025, month=08, day=13
, bteam=봄세이, bresult=WIN, rteam=유연서, rresult=LOSS, time=26:17
, bkill=49, bdeath=43, bassist=152, rkill=43, rdeath=50, rassist=101
, bgold=85.9, bbounty=0 ,rgold=83.1, rbounty=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블라인드 픽
, blueteam=Team 봄세이, redteam=Team 유연서
, d_bluepic1=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흐웨이, d_bluepic3=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스카너, d_bluepic5=탈리야
, p_bluepic1=nautilus, p_bluepic2=hwei, p_bluepic3=quinn, p_bluepic4=skarner, p_bluepic5=taliyah
, d_redpic1=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미스 포츈, d_redpic3=리 신, d_redpic4=사이온, d_redpic5=자크(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wukong, p_redpic2=missFortune, p_redpic3=leeSin, p_redpic4=sion, p_redpic5=zac)]
7. 그외 컨텐츠
7.1. 감스트 2-3부 컨텐츠: 버컴 종합게임
| | |||||
| 기수 | 게임명 | 참여 멤버[74] | 비고 | ||
| 1기[75] | 더 포레스트 | 앨리스얌, 니니, 망구랑, 해리 | [76] | ||
| 2기[77] | 나이트 오브 더 데드 | 키이세, 니니, 망구랑, 앨리스얌, 해리 | [78] | ||
| 3기 | |||||
- 9월 15일부로 감스트가 개인 소통 방송에서 꾸준히 종겜을 해보겠다 선언하여 앨리스얌을 주축으로 게임 수집을 요청해 컨펌한 스팀 종합게임들을 멤버들과 함께 플레이하는 내부 컨텐츠이다.
- 주최자는 2-3부 컨텐츠로 주선한 감스트이고 가이드는 매 기수마다 플레이 타임이 길거나 엔딩을 본 유경험자가 일일 가이드로 위치하게 된다.
7.2. 버컴 93즈 VS 00즈 종겜대전
| 라인업 | ||
| 93즈 | <colbgcolor=black> vs | 00즈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망구랑 | VS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바밍 |
| 영쨩 | 봄세이 | |
| 유설아 | 윤이샘 | |
| | |||||
| 93즈 | 게임명 | 00즈 | |||
| WIN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LOSE | |||
| LOSE | 서든어택 칼전 | WIN | |||
| WIN | 서든어택 A보급 메인매치 | LOSE | |||
| WIN | 크레이지 아케이드 | LOSE | |||
| 3 | 결과 | 1 | |||
7.3. 감스트 유니버스 내전: 감컴퍼니 vs 버컴퍼니
| 감니버스 더비 GAMST Derby | |
| | |
| 감컴퍼니 | 버컴퍼니 |
| 종합 전적 (2025년 9월 23일 기준) | |||
| 감컴퍼니 | 종목 | 버컴퍼니 | |
| LOSE | <colbgcolor=#f6f6f6,#1F2023> 리그 오브 레전드 | WIN | |
| 0 | 종목 합산 스코어 | 1 | |
7.3.1. 리그 오브 레전드
| 리그 오브 레전드 감스트 유니버스 내전 2025년 9월 23일 화요일 00:00(KST) | |||||||||||||||
| 중계진: 가습기 & 아뚱 & 조경훈 | |||||||||||||||
| | 1 | 2 | | ||||||||||||
| 감컴퍼니 | 버컴퍼니 | ||||||||||||||
| × | × | ○ | ○ | ○ | × | ||||||||||
| 내전 총 전적 1패 | 결과 | 내전 총 전적 1승 | |||||||||||||
| 송출 및 다시보기: | |||||||||||||||
| 선발 라인업 | ||
| | <colbgcolor=black> vs | |
| 감컴퍼니 | 버컴퍼니 |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추멘 |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해리 |
| 감스트 | | 망구랑 |
| 박재박 | | 단츄 |
| 로기다 | | 유설아 |
| 홍타쿠 | | 키이세 |
| <nopad> Player of the Match |
| 해리(버컴퍼니)[79] |
7.3.1.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소환사의 협곡 1세트, year=2025, month=09, day=23
, bteam=버컴퍼니, bresult=WIN, rteam=감컴퍼니, rresult=LOSE, time=24:35
, bkill=26, bdeath=5, bassist=51, rkill=5, rdeath=26, rassist=7
, bgold=49.6, bbounty=0 ,rgold=41.2, rbounty=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버컴퍼니, redteam=감컴퍼니
, d_blueban1=요네, d_blueban2=스웨인, d_blueban3=일라오이, d_blueban4=모데카이저, d_blueban5=오른
, p_blueban1=yone, p_blueban2=swain, p_blueban3=illaoi, p_blueban4=mordekaiser, p_blueban5=ornn
, d_redban1=베이가, d_redban2=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미스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흐웨이, d_redban5=갈리오
, p_redban1=veigar, p_redban2=aurora, p_redban3=missFortune, p_redban4=hwei, p_redban5=galio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레오나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ahri, p_bluepic4=sivir, p_bluepic5=leona
, d_redpic1=요릭(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나서스, d_redpic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바루스, d_redpic5=판테온
, p_redpic1=yorick, p_redpic2=nasus, p_redpic3=viktor, p_redpic4=varus, p_redpic5=pantheo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지표
, bluename1=해리, bluename2=망구랑, bluename3=단츄, bluename4=유설아, bluename5=키이세
, redname1=추멘, redname2=감스트, redname3=박재박, redname4=로기다, redname5=홍타쿠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시비르, d_bluepic5=레오나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ahri, p_bluepic4=sivir, p_bluepic5=leona
, d_redpic1=요릭(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나서스, d_redpic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바루스, d_redpic5=판테온
, p_redpic1=yorick, p_redpic2=nasus, p_redpic3=viktor, p_redpic4=varus, p_redpic5=pantheon
, blueKDA1=5/1/6, blueKDA2=5/1/8, blueKDA3=7/0/9, blueKDA4=9/2/10, blueKDA5=0/1/18
, bluedealt1=11.5, bluedealt2=7.6, bluedealt3=13.9, bluedealt4=21.6, bluedealt5=7.2
, redKDA1=1/5/1, redKDA2=2/4/1, redKDA3=1/5/0, redKDA4=0/4/3, redKDA5=1/8/2
, reddealt1=9.2, reddealt2=7.3, reddealt3=16.2, reddealt4=10.0, reddealt5=3.7
, blueKDA1st=5, bluedealt1st=4, redKDA1st=2, reddealt1st=3)]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Chemtech, bluedragon2=Hextech
, bluedragon3=Mountain, bluesoul=
, reddragon1=,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성공
, redfblood=실패, redfturret=실패, redobject=실패)]
| <nopad> Player of the Game 1 |
| 유설아(버컴퍼니) |
7.3.1.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소환사의 협곡 2세트, year=2025, month=09, day=23
, bteam=감컴퍼니, bresult=LOSE, rteam=버컴퍼니, rresult=WIN, time=41:05
, bkill=20, bdeath=28, bassist=45, rkill=28, rdeath=20, rassist=65
, bgold=66.7, bbounty=0 ,rgold=74.4, rbounty=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감컴퍼니, redteam=버컴퍼니
, d_blueban1=시비르, d_blueban2=미스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베이가, d_blueban4=레넥톤, d_blueban5=오로라
, p_blueban1=yone, p_blueban2=missFortune, p_blueban3=veigar, p_blueban4=renekton, p_blueban5=aurora
, d_redban1=모데카이저, d_redban2=요릭, d_redban3=아트록스, d_redban4=일라오이, d_redban5=녹턴
, p_redban1=mordekaiser, p_redban2=yorick, p_redban3=aatrox, p_redban4=illaoi, p_redban5=nocturne
, d_bluepic1=오른, d_bluepic2=트런들, d_bluepic3=요네, d_bluepic4=직스, d_bluepic5=유미
, p_bluepic1=ornn, p_bluepic2=trundle, p_bluepic3=yone, p_bluepic4=ziggs, p_bluepic5=yuumi
, d_redpic1=나르,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벡스, d_redpic4=바루스, d_redpic5=레오나
, p_redpic1=gnar, p_redpic2=sejuani, p_redpic3=vex, p_redpic4=varus, p_redpic5=leon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지표
, bluename1=추멘, bluename2=감스트, bluename3=박재박, bluename4=로기다, bluename5=홍타쿠
, redname1=해리, redname2=망구랑, redname3=단츄, redname4=유설아, redname5=키이세
, d_bluepic1=오른, d_bluepic2=트런들, d_bluepic3=요네, d_bluepic4=직스, d_bluepic5=유미
, p_bluepic1=ornn, p_bluepic2=trundle, p_bluepic3=yone, p_bluepic4=ziggs, p_bluepic5=yuumi
, d_redpic1=나르,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벡스, d_redpic4=바루스, d_redpic5=레오나
, p_redpic1=gnar, p_redpic2=sejuani, p_redpic3=vex, p_redpic4=varus, p_redpic5=leona
, blueKDA1=2/5/11, blueKDA2=6/7/7, blueKDA3=6/7/5, blueKDA4=6/5/8, blueKDA5=0/4/14
, bluedealt1=29.2, bluedealt2=20.4, bluedealt3=30.3, bluedealt4=44.2, bluedealt5=11.1
, redKDA1=11/4/5, redKDA2=4/4/13, redKDA3=3/5/11, redKDA4=7/7/14, redKDA5=3/0/22
, reddealt1=45.7, reddealt2=16.9, reddealt3=33.1, reddealt4=30.1, reddealt5=13.0
, blueKDA1st=5, bluedealt1st=4, redKDA1st=5, reddealt1st=1)]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Infernal, reddragon4=Infernal)]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실패, blueobject=성공
, redfblood=실패, redfturret=성공, redobject=실패)]
| <nopad> Player of the Game 2 |
| 해리(버컴퍼니) |
7.3.1.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 match=소환사의 협곡 3세트, year=2025, month=09, day=23
, bteam=감컴퍼니, bresult=WIN, rteam=버컴퍼니, rresult=LOSE, time=47:38
, bkill=31, bdeath=26, bassist=60, rkill=26, rdeath=31, rassist=69
, bgold=81.0, bbounty=0 ,rgold=80.0, rbounty=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감컴퍼니, redteam=버컴퍼니
, d_blueban1=세주아니, d_blueban2=레오나, d_blueban3=다이애나, d_blueban4=오로라, d_blueban5=나르
, p_blueban1=sejuani, p_blueban2=leona, p_blueban3=diana, p_blueban4=aurora, p_blueban5=gnar
, d_redban1=아이번, d_redban2=티모, d_redban3=샤코, d_redban4=제리, d_redban5=유나라
, p_redban1=ivern, p_redban2=teemo, p_redban3=shaco, p_redban4=zeri, p_redban5=yunara
, d_bluepic1=오른, d_bluepic2=녹턴, d_bluepic3=스웨인, d_bluepic4=직스, d_bluepic5=유미
, p_bluepic1=ornn,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swain, p_bluepic4=ziggs, p_bluepic5=yuumi
, d_redpic1=자크, d_redpic2=판테온, d_redpic3=베이가, d_redpic4=미스포츈, d_redpic5=세라핀
, p_redpic1=zac, p_redpic2=pantheon, p_redpic3=veigar, p_redpic4=missFortune, p_redpic5=seraphin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지표
, bluename1=추멘, bluename2=감스트, bluename3=박재박, bluename4=로기다, bluename5=홍타쿠
, redname1=해리, redname2=망구랑, redname3=단츄, redname4=유설아, redname5=키이세
, d_bluepic1=오른, d_bluepic2=녹턴, d_bluepic3=스웨인, d_bluepic4=직스, d_bluepic5=유미
, p_bluepic1=ornn,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swain, p_bluepic4=ziggs, p_bluepic5=yuumi
, d_redpic1=자크, d_redpic2=판테온, d_redpic3=베이가, d_redpic4=미스포츈, d_redpic5=세라핀
, p_redpic1=zac, p_redpic2=pantheon, p_redpic3=veigar, p_redpic4=missFortune, p_redpic5=seraphine
, blueKDA1=3/5/16, blueKDA2=7/8/12, blueKDA3=13/5/10, blueKDA4=7/5/4, blueKDA5=1/3/18
, bluedealt1=44.1, bluedealt2=32.4, bluedealt3=69.8, bluedealt4=42.1, bluedealt5=8.2
, redKDA1=6/2/14, redKDA2=5/11/12, redKDA3=7/7/14, redKDA4=6/6/13, redKDA5=2/5/16
, reddealt1=49.9, reddealt2=28.1, reddealt3=60.2, reddealt4=53.2, reddealt5=15.6
, blueKDA1st=3, bluedealt1st=3, redKDA1st=1, reddealt1st=3)]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Chemtech,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Ocean, bluedragon4=Ocean
, reddragon1=,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성공
, redfblood=성공, redfturret=실패, redobject=실패)]
| <nopad> Player of the Game 3 |
| 박재박(감컴퍼니) |
[1] 11일 자정, 버튜버 스타 크루대전 4강 탈락으로 최종 해체하였다.[2] 오리3은 총장 및 교수 겸직[3] 비전력 인원 제외[4] 2번의 비공식 즉석 섭외 평가전 포함[5] 서지수는 과거 스타 프로팀인 STX Soul 출신의 전 프로게이머이자 현재도 테란 여제이고 정소윤은 KTF 매직앤스 연습생 출신의 저그 여제, 오리3은 프로토스 여캠들 중 2티어로 최고 수준의 실력을 가진 방송인이다.[6] 게임할 때 가오를 잡는 듯한 모습이 포착되어 불려지게 되었다.[7] 긴장하거나 곤란해지면 팔이 저리는 습성이 있어 테이저건에 맞아 찌릿찌릿하다는 뜻으로 불려지게 되었다.[8] 버컴에서 나이가 제일 많아 숩니늙음으로 녹음기가 돌다가 28일 평가전에서 엄청난 실력 상승을 보여 베테랑을 오마주한 베테란으로 불리게 되었다.[9] 과거 스타 스승이었던 토마토에게 고함을 들으며 배우다 유닛들을 너무 흘리고 다니는 바람에 머가리 찍어버린다!!라는 희대의 명언을 들었었다.[10] 봄세이는 두아온 서버 중간에 온 거라 연습을 제대로 못해 패배했으나 숩니와 니니는 비교적 시간이 많았음에도 허무하게 무너졌다. 해리는 다시 한번 본인의 재능을 입증했다.[11] 테란 팀에 숩니찡이 토스 팀에 봄세이, 저그 팀에 니니, 해리가 출전.[12] 낮에 펼쳐진 버종최에서 4킬을 해낸 니니가 경력이 굉장히 긴 구쁘에게 저저전 경험 차이에서 밀려 패배했다.[13] 상대의 99게이트에 당황했으나 잘 막아내 완벽하게 승리하였다.[14] 본인의 딜레마였던 본진-앞마당 전진 타이밍에서 깔끔한 럴커 러시 진출로 승리했다.[15] 빠른 업 질럿으로 상대의 12앞을 뚫어내 승리하였다.[16] 99겟 전략으로 앞마당까지 틀어막은 것 까진 좋았으나 질럿을 모으지 않고 계속 꼬라박다가 허무하게 패배하였다.[17] 사다리 타기로 결정[18] 앞세트와 똑같은 형태로 허무하게 연패하였다.[19] 사다리 타기로 결정[20] 에이스 결정전 밴 대진 : 버스포드 밴 - 우질 / 뉴캣슬 밴 - 해리[21] 똑같은 전략을 사용했으나 이번엔 상대가 성큰을 많이 짓고 저글링 숫자를 많이 확보해 질럿 러시를 막아내면서 승리하였다.[22] 결과 - 해리(승), 봄세이(MVP, 승), 유설아(패), 니니(승), 숩니찡(패)[23] 12앞 이후 상대 3질럿 초반 러시를 어렵게 막아냈으나 큰 긴장감과 당황함으로 인해 드론 수 부족과 노업 저글링 양산으로 인해 3햇 저글링 한 타이밍 쇼부를 노렸음에도 인프라가 더 빨라진 상대의 질드라칸 조합에 무너지고 말았다.[24] 패스트 다크 빌드로 상대 탱크들과 SCV를 줄이고 200 인구와 아비터 테크까지 완료한 후 전매특허 전략인 아비터 리콜로 본진 장악 + 정면 돌파의 양면 전술로 완벽하게 승리했다. 특히 첫 리콜 당시 본진 방어하러 오는 시즈탱크들을 질럿 부대를 통해 입구 앞을 막아 시즈모드를 강제시켜 방어를 지연시킨 것이 크랙이었다.[25] 10분대 초반 히드라 2~3부대가 모였을 때 들어갈 타이밍이었으나 각을 보지 못했고 이후 불가능한 수준의 뮤탈 컨을 하다가 인프라, 업, 생산이 늦어지고 히드라는 어떻게 쥐어짜서 많이 뽑았으나 럴커를 하나도 뽑지 않아 게이트 4유닛 조합이 완성된 상대에게 스톰샤워를 전부 맞고 무너져내렸다.[26] 상대에게 초반 질럿 한방 타이밍을 노려서 압박까지 하는 등 좋았으나 어시밀레이터와 사이버네틱스 코어를 7분이 다 되어가는 데도 짓지 않는 트롤을 해버리면서 역으로 상대 히드라 한방 러시에 무너져버렸다.[27] 본인을 가두리 안에 가둬놓고 앞마당까지만 먹고 버티기만 하다가 상대가 럴커, 뮤탈, 울트라리스크가 다 나올 때까지 2멀티를 먹지 못하고 쫄아있다가 말라 죽으면서 완패했다.[28] 5전 3선승 시리즈가 아닌 5명이 모두 경기하는 방식으로 진행.[29] 늘 해왔던 실수인 병력을 찔끔찔끔 보내던 습관과 늦어지는 챔버 타이밍에 대한 피드백이 끝났다는 듯이 빠른 업과 대규모 병력-후속 병력을 완벽하게 침투시켜 한방 타이밍이 오기 전 테크 중심인 프로토스의 취약한 타이밍을 완벽하게 카운터쳤다.[30] 1세트와 똑같은 형태로 이번엔 프로토스인 봄세이가 패배했다.[31] 해리는 앞마당 늦는 가스 타이밍과 본진 2가스 실수, 재닌은 상대의 빠른 성큰 타이밍에 바이오닉 한방 타이밍이 막힌 이후 테크를 간답시고 본인을 본진 안으로 꽁꽁 싸매는 이상한 판단을 했는데 그 와중에 럴커 타이밍이 빨랐던 해리가 한방 병력을 9시 뒷공간 동선에 놓은 후 백도어를 쳐 상대를 무너뜨렸다.[32] 오리3이 그렇게 최적화를 위한 펑고를 시켰으나 이번에도 앞마당 가스 타이밍이 늦고 본진 가스도 늦게 채집하는 등 여전히 똑같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시간을 많이 주어 공3업이 끝난 200 가까운 병력으로 붙은 한타 싸움이 이어졌다. 여기서 상대는 3멀티 타이밍을 완벽히 가져갔고 유설아는 3멀티 타이밍을 잡지 못했으며 옵저버를 뽑아놓고도 활용을 안해 병력들을 다템에 전부 흘리는 실수가 나오면서 또다시 허무하게 패배했다.[33] 패스트다크+셔틀 빌드를 처음 당해보면서 완전히 당황한 모습이었다. 다크를 막아야 한다는 생각에 터렛만 지으려는 다급함 때문에 대처를 아예 하지 못하고 패배했다. 이건 상대의 필살 빌드라 어쩔 수 없었다..[34] 5전 3선승 시리즈가 아닌 5명이 모두 경기하는 방식으로 진행.[35] 메카닉까지 가는 그 시간에 저그는 히드라 한방 타이밍을 노렸고 여기서 내상을 크게 입은 후 복구와 체제 완성이 늦어져 또 다시 앞마당 앞에서 갇혀버혔다. 이번엔 지난 경기와는 다르게 12시를 뚫어 보려 안간힘을 썼지만 상대는 완벽하게 틀어막고 5멀티까지 가져간 후 미친 저그 빌드를 완료하는 바람에 무너졌다.[36] 상대의 엄청난 초반 바이오닉 최적화 빌드 후 전진 팩토리로 조이기에 들어갔으나 이번에 저드라럴커 조합으로 뚫어내면서 완벽하게 승리하였다. 이번엔 자잘한 실수조차 없어 감스트가 열광했다.[37] 지력팀 본래 주전인 라무가 개인 사정으로 참가를 못해 한비가 2연속 출전[38] 이번엔 메카닉으로 앞마당 조이기에 들어간 상대에게 빌드 최적화를 잘했음에도 다크템플러를 뽑는 속도가 늦어졌고 다템 대신 나오는 드라군이 앞마당을 쪼인 탱크에 본진에 놓지 않고 앞마당에 놓는데 홀드도 하지 않아 다 흘리면서 전부 슬러시처럼 녹아내려 어이없이 패배하였다. 이제는 버스포드의 대회 필패 카드로 확정이다.[39] 상대의 링 올인을 보았지만 입력값대로만 플레이하다 그대로 무너졌다.[40] 질럿 올인 전략에 성큰을 짓지 않아 무너지는 듯 하다 본진과 앞마당 저글링들을 잘 뽑고 침착하게 막아낸 후 상대의 취약한 타이밍을 역으로 노려 무너뜨렸다.[41] 배틀그라운드: 크루워즈 대회 기준[42] 7-8티어 멤버들은 버컴 내 배그 고실력자 순으로 배치.[43] 사실상 SOOP 공식 대회 데이터가 없는 초보자들을 지칭. 버컴에선 보급병 역할을 주로 맡는다.[44] 마크 RPG 4대 메이저 서버 기준[45] 마크 RPG 4대 메이저 서버 완주자만 기재.[46] 탑6 길드 기준[47] 공성전 참여 길드 기준[48] 서버의 완성도가 낮았던 문제가 있었지만 이번 RPG 연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격인 서버이므로 포함[49] 25일 19시 00분 ~ 26일 18시 59분[50] 새벽을 지나 API 히든 획득자인 대검 히든 감스트가 9강까지 사슬낫 히든인 바밍이 8강까지 강화에 성공했다.[51] 두 채널 중 하나는 버협이, 하나는 버컴이 먹는 구도.[52] 그린캠프 측 고미호 노쇼[53] 26일 19시 00분 ~ 27일 18시 59분[54] 강하게 길드원들을 휘어잡을 오더수가 없었고 기존의 오더수 후보로 떠올랐던 멤버들이 자신 있게 나서지 않았다.[55] 버컴 내 RPG 서버 경력이 많은 인원들이 다수 있었지만 이 역할을 수행해 본 멤버는 한명도 없었다.[56] 사실상 선두권 대역전극의 마지막 희망으로 봐도 무방했던 이벤트였고 타 길드들에 비해 히든 모험 경험이 많은 멤버들이 많아 기대감이 컸으나 전부 허탕을 치고 말았다.[57] 그리고 이번 서버 유일신으로 모든 부분에서 압도적인 어빌리티를 갖춘 조경훈이 직업별로 어떻게 점령전을 수행해야 하는 지 세밀하게 피드백을 해주기도 했다.[58] 27일 19시 00분 ~ 28일 20시 00분[59] 특히 감스트가 5번째 주자로 출전해 7킬을 달성하는 매드무비를 찍어 모든 시청자들이 열광했다.[60] 버컴퍼니 15:15 버인협회[61] 11%+9%+10%=30%[62] 하지만 감스트는 점령지 거점 지역에서 붙은 조경훈과의 일기토 수장전에서 판정승을 거두는 성장 스토리의 막장을 남기긴 하였다.[63] API 스튜디오 환산 값이 포함이긴 했으나 서버 레벨 1위로 마무리했다.[64] 대전이 아닌 축제이기 때문에 1위만 발표.[65] 유연서, 앨리스얌, 설레랑의 비서즈 첫 술먹방 이후를 기점.[66] 유연서, 앨리스얌[67] 예를 들어 9월 14일, 낮에 반짝 크루에서 진행중이던 컨텐츠인 익명 카톡 친해지길 바래 컨텐츠를 진행한 바 있다.[68] 각 크루 당 2팀, 총 8개 크루 출전[69] 각 라운드 별로 우승시 50만원 지급.[70] 영쨩이 수륙양용차 탑승-하차컨을 하며 확킬을 하는 등 총 6킬을 하는 고점의 폼을 보였다.[메인] 메인 매치[72] 도합 27킬을 기록해 2위와의 14킬이나 차이나는 엄청난 집중력과 피지컬을 보였고 거기에 유일한 전원 여성 팀으로서 우승을 일궈내 더 값진 결과로 남았다.[73] 감스트 미참여[74] 감스트는 주선자이므로 제외, 해당 게임의 인게임 가이드를 노란색으로 기재.[75] 25.09.15 ~ 25.09.17[76] 주최자인 감스트는 1기 더 포레스트 멤버들과 함께 한 게임이 정말로 즐거웠다는 소감도 남겼다. 감스트가 직접 언급한 소견이다[77] 25.09.18[78] 선즈 오브 더 포레스트의 난이도와 인게임 시야 문제로 리타이어 하고 나이트 오브 더 데드로 게임 교체.[79] 중계진 3인방 전원, 경기 내내 가장 돋보인 플레이어로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