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몬스터들이 대부분 유희왕 OCG의 홀리 엘프, 여검사 카난 등등 고대의 여성형 캐릭터 카드들을 패러디 했으며, 여기에 감옥, 주방, 청소 등등의 전체적인 배경 컨셉이 추가되는 컨셉이 특징이다. 스탯 또한 러시 듀얼의 각 상급 하급 최상급 몬스터들의 스탯 상한선 안에 들어갈 수 있을 경우, 기존의 오리지널 카드들과 스탯이 똑같은 것도 포인트.
사용자들이 애니에 등장하며 듀얼할 때마다 컨셉이 제각각 달라지긴 하지만, 일반적인 컨셉은 일본의 버블 경제가 모티브로, 이 때문에 일반적인 종족 또한 모두 물족이다.[1]
사용자들의 에이스인 다이안 켓 테마 시리즈와 연관이 많으며 그에 따라 라이프를 회복, 감소하여 상대를 돌파하는 전략을 주로 사용한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버블리 엘프, 일어판명칭=バブリー・エルフ, 영어판명칭=Bubbly Elf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0, 종족=물족, 효과외=갸냘픈 모습은 옛말. 노는 걸 좋아하지만 도도한 면이 있다. 원렌 라문은 삐삐 메시지를 주고 받는 친구.)]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구릿빛 검사 카난, 일어판명칭=ガングロ<ruby>剣士<rp>(</rp><rt>けんし</rt><rp>)</rp></ruby>カナン, 영어판명칭=Kanan the Ganguro Swordmistres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4, 공격력=1400, 수비력=0, 종족=물족, 효과외=불야성을 주 무대로 싸우는 여전사. 구릿빛 화장을 해도 검과 방패는 놓을 수 없었다. 버블리 엘프와는 영원한 우정을 맹세했다.)]
여검사 카난의 러시 듀얼 버전 리메이크. 거품경제 시대 클럽 문화를 모티브로 했기 때문에 빛 속성, 물족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물족 하급 몬스터 중에서는 수비력이 훨씬 높은 물의 마도사의 하위 호환이지만, 속성이 일치하는 원렌 라문, 버블리 엘프와 덱을 구축할 때 채용해보는 것으로 차별화할 수는 있을 것이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아타치 미미가 사용한 몬스터 중 하나로 등장. 기존 여검사 카난이 간구로 패션[2]과 야맘바 화장을 하고 있는 충격적인 비주얼을 자랑한다. 그나마 타점은 미미가 사용한 하급 물족 몬스터 중 제일 높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원렌 라문, 일어판명칭=ワンレン・ラムーン, 영어판명칭=Haircut LaMo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0, 종족=물족, 효과외=진부한 일상에서 뛰쳐 나온 마법사. 달에 지닌 마력으로 상대를 마음껏 조종한다. 구릿빛 검사 카난은 단짝 친구이다.)]
뭐 해? 신나게 춤춰 봐~! 원렌 라문!나미미, 듀얼링크스 몬스터 소환시 대사
앗씨호스와 네크로맨서드의 효과를 동시에 받는 유일한 몬스터. 덕분에 채용될 때는 해당 몬스터들과 세트로 채용되어 릴리스 요원으로 활약할 때가 많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아타치 미미가 사용한 몬스터 중 하나로 등장. 20화에서는 앗씨호스의 효과로 계속 샐비지과로사되면서 소환되기도 했다. 소환할수록 지친 얼굴이 되는 것이 압권.
미미의 다른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거품경제 시대 클럽 문화를 모티브로 했기 때문에 빛 속성, 물족으로 변경되었다. 기존 라문이 원렝스(one-length) 헤어를 하고 있는 모습이 특징. 파격적으로 망가진 홀리 엘프나 여검사 카난 등에 비하면 그나마 멀쩡한 모양새다. 버블리 엘프의 플레이버 텍스트에 의하면 버블리 엘프와는 삐삐 친구다.
플레이버 텍스트의 '상대'의 원문의 지칭 표현은 'アッシーメッシー'로, 버블 시대 용어로 차를 태워주거나 밥을 사주며 교우관계를 유지하려는 남성을 말한다. 난해한데다 구시대적인 표현이기 때문인지 한글 발매판에서는 라문처럼 '상대'로 순화되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여간수 카난, 일어판명칭=<ruby>女看守<rp>(</rp><rt>おんなかんしゅ</rt><rp>)</rp></ruby>カナン, 영어판명칭=Kanan the Warden Mistres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400, 수비력=0, 종족=물족, 효과외=감옥도를 주전장으로 삼는 여전사. 손에 든 검과 방패로 호된 맛을 보여준다. 덕분에 정신 차렸습니다\, 라며 단골들의 평판도 꽤나 좋은 편.)]
같은 레벨의 물 속성 중에는 능력치가 더 높은데다 몬스터 효과도 있는 씨드래곤 나이트가 있으며, 물족으로 포커스를 돌려도 빛 속성 서포트를 받는 원렌 라문이 있다. 따라서 개울에 대응하는 물 속성 / 물족 / 레벨 3 일반 몬스터라는 점에 가치가 있겠지만, 문제는 같은 조건에 수비력이 더 높은 모래밭 위치, 복수의 갑파 등이 있다 보니 이 카드 자체의 우선도가 낮다.
단순명쾌하게 매혹의 불야성을 샐비지하는 효과로, 재활용을 통해 어드밴티지 확보가 가능하긴 하지만 다른 건 없다. 거기다 공격력도 웬만한 하급 몬스터한테 밀릴 만큼 낮은 것도 있어 그냥 패에 남아돌게 될 가능성도 높다.
미리 매혹의 불야성을 패 코스트 등으로 사용해 묘지에 두면 이를 회수하여 손실을 메울 수 있다. 유지만 할 수 있다면 매 턴 패 코스트 → 샐비지 과정을 통해 어드밴티지 손실을 피해갈 수 있지만, 매혹의 불야성이 필드 마법인 탓에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샐비지 콤보를 노리겠다면 마지막에 매혹의 불야성을 묘지에 두도록 조정해야 한다.
카드명은 비슈와 란디와 람바다를 합친 조어로 추정. 원본과는 달리 레벨이 5가 되었는데, 이는 원본의 팔레트 스왑 버전인 악령의 여전사를 의식한 것으로도 보인다. 또한 다른 빛 속성 / 물족 리메이크 몬스터들과는 달리 공격력이 더 높은 것도 특징.
유희왕 SEVENS에서는 아타치 미미가 아타치 요시오와의 듀얼 중 사용. 원렌 라문을 릴리스해 어드밴스 소환한 뒤 효과로 역옥의 신 다이안 켓의 패 코스트로 사용된 매혹의 불야성을 샐비지했다. 그 후 요시오에게 직접 공격을 날렸으나, 다음 턴 다른 2장과 함께 수기계의 패자 킹콘보이 라이가온의 공격을 받고 대량의 전투 데미지를 받으면서 결국 미미가 패배하게 되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앗씨호스, 일어판명칭=アッシーホース, 영어판명칭=Assi Sea Hors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3, 공격력=700, 수비력=0, 종족=물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빛 속성 / 물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
러시듀얼@
앗씨호스 컴온~! 앗씨호스!나미미, 듀얼링크스 몬스터 소환 대사
앗씨호스의 효과 발동! 묘지에서 물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맞아들인다~!나미미, 듀얼링크스 몬스터 효과 발동시 대사
일반 소환한 턴에 노 코스트로 묘지의 빛 속성 / 물족 일반 몬스터 1장을 샐비지하는 효과를 가졌다. 바닐라 몬스터를 넣어야 한다는 점을 빼면 드래곤즈 세트어퍼&드래곤즈 업세터나 크리봇 등의 다른 릴리스 조달용 몬스터보다 조건이 널널해서 사용하기 편하다. 네크로맨서드가 발매된 이후에는 이 카드와 네크로맨서드의 공통 대상이 되는 원렌 라문과 함께 용병으로 쓰이는 일이 늘어났다.
네크로맨서드를 채용하지 않는다면 가져올 수 있는 몬스터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구릿빛 검사 카난과 함께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름은 앗시와 씨호스의 조합인데 앗시는 버블시대의 은어로 어디든지 태워다주는 남성을 가리키는 말이다. 간단히 표현하면 발이 되어주는 남성. [3]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원작 사용자 아타치 미미의 파밍 카드로 수록되었는데, 오프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온갖 덱에서 용병으로 맹활약했다. 스킬의 발동 조건으로 덱의 구성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 카드와 효과 적용 대상 몬스터들은 그 제한에 걸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에[4] 결국 덱의 다양성을 저해한다고 판단되었는지 밸런스 패치에서 준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견전낭랑, 일어판명칭=<ruby>肩電娘々<rp>(</rp><rt>かたでんにゃんにゃん</rt><rp>)</rp></ruby>, 영어판명칭=Car Phone Nyan Nya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0, 종족=물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패 1장을 덱 아래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500 내린다. 그 후\,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7 이상 / 물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아, 여보세요? 견전낭랑.나미미, 듀얼링크스 몬스터 소환시 대사.
아, 여보세요? 견전낭랑 효과 발동! 카피!나미미, 견전낭랑의 효과 발동시 대사.
패 1장으로 최소 공수 1700의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할 수 있으니 하급치고는 돌파력이 제법 된다. 후반 샐비지 효과도 사용할 수 있다면 실질적으로 어드밴티지 손실이 없어지니 해당 몬스터를 투입한 물족이라면 하급 어태커 겸 서포터로 활약해볼 수 있다.
후반 효과로 샐비지할 만한 카드는 몇 없긴 하지만, 뭐가 됐든 물족 덱에서 조건을 채우는 데에 필요한 카드인 만큼 패 코스트 등의 수단으로 가급적 빨리 묘지로 묻어두도록 하자.
최근에는 화굉람황 볼카라이즈 피닉스의 물족 파츠를 회수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해당 덱에 투입되고 있다.
카드 자체는 번개낭랑의 패러디로, '견전(肩電)'이란 숄더폰을 말한다. 버블 시기에 등장한 휴대전화의 원조격 되는 물건으로, 빛 속성 / 물족임을 고려하면 역시 유희왕 SEVENS에서 아타치 미미가 사용한 덱 컨셉임을 짐작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하이히 프리스티스, 일어판명칭=ハイヒー・プリーステス, 영어판명칭=Fashion of Fait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3, 공격력=1100, 수비력=0, 종족=물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물족)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물족)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400 올린다.)]
미래점자와 스피디 퍼포머를 물족 전용으로 바꿔 하나로 합친 듯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 특히 드로우 효과는 패를 묘지로 버리지 않아도 돼 더욱 강화되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매혹의 불야성, 일어판명칭=<ruby>魅惑<rp>(</rp><rt>みわく</rt><rp>)</rp></ruby>の<ruby>不夜城<rp>(</rp><rt>ふやじょう</rt><rp>)</rp></ruby>, 영어판명칭=Shining City Night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이 카드가 필드 존에 앞면 표시인 한\, 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빛 속성)의 공격력은 200 올린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
러시듀얼@
빛 속성 몬스터 전용 강화 효과를 가진 필드 마법. 러시 듀얼 최초로 다른 지정이 없는 빛 속성 서포트 카드이기도 하다.
빛 속성에는 그 푸른 눈의 백룡이 속해있으니 안 그래도 높은 공격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지만, 드래곤족 서포트로는 산도 있으므로 의도적으로 빛 속성 구축으로 해두지 않는 이상 활용도는 다소 밀린다. 로얄데먼즈 테마에도 활용은 가능하지만 이쪽은 강화 수치가 더 높은데다 추가로 특정 종족까지 약화시킬 수 있는 세기말수기계 비스트기아 월드가 존재한다. 심지어 일러스트 테마군인 빛 속성 / 물족 테마 덱도 물족 공격력을 올려주면서 현 환경에서 자주 쓰이는 기계족 공격력도 낮추는 바다 쪽이 훨씬 좋으며 결정적으로 추후에 새로 나온 에이스 몬스터 감옥의 신 다이안 켓의 경우 어둠 속성이라 이 카드의 지원을 받지도 못한다.
비슈와 란바디로 이 카드를 샐비지할 수 있으니, 패 코스트로 써버린 뒤 해당 카드로 회수해 발동하는 것도 좋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아타치 미미가 아타치 요시오와의 듀얼 중 사용. 역옥의 신 다이안 켓의 효과 발동시 패 코스트로 사용한 후 비슈와 란바디의 효과로 샐비지되어 발동되었다. 미미는 '필드 마법을 사용하는 건 너만이 아니다'라는 말과 함께 물족 몬스터들을 일방적으로 강화시켰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37레벨 나미미가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이벤트 복각 시기에는 연격룡과의 시너지를 고려한 것인지 제한됨 3으로 출시되었다. 이 카드가 나옴으로서 SEVENS 월드의 스테이지 미션 중 하나인 필드 마법 1회 사용 미션[5]을 무료 카드로도 깰 수 있게 되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올나잇피버, 일어판명칭=オールナイトフィーバー, 영어판명칭=Party Party Party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물족)를 전부 앞면 수비 표시로 하고\, 자신은 [이 효과로 앞면 수비 표시로 한 몬스터의 수] × 400 LP 회복한다.)]
오늘도 밤새도록 파티~! 마법 카드 올나잇피버를 발동! 오늘 밤도 즐겨보자~~!나미미, 듀얼링크스 마법 카드 발동 대사
유희왕 SEVENS에서는 아타치 미미가 오도 유가와의 듀얼에서 사용. 일러스트에 나와 있는 원렌 라문, 버블리 엘프, 구릿빛 검사 카난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고 라이프를 회복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3K 볼트, 일어판명칭=3<ruby>K<rp>(</rp><rt>ケー</rt><rp>)</rp></ruby>ボルト, 영어판명칭=3K Bol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가 3장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 1장을 고르고\, 그 원래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0으로 한다.,)] 물족 전용 디버프 카드로 필드에 물족이 3장 존재하면 상대 필드의 레벨 8이하의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을 0으로 하는 마법 카드. 맥시멈 몬스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몬스터에게 사용 가능한 디버프 카드로 타점이 얼마나 높던 간에 0으로 떨궈버린다.
이 카드명의 3K는 버블경제 시대의 용어로 고수입 / 고학력 / 고신장의 약자로 현재 일본에서 3D 직업과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 3K와는 다른 표현이다. 여담으로 가쿠토는 이를 두고 화질의 의미로 이해해 '8K 시대에 3K냐'는 드립을 쳤고, 로민은 3D 직종의 의미로 이해해 'K의 의미가 다르다'며 태클을 걸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수분보급, 일어판명칭=<ruby>水分補給<rp>(</rp><rt>すいぶんほきゅう</rt><rp>)</rp></ruby>, 영어판명칭=Moisturiz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가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이 효과로 회복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물족 전용 마법 / 함정 제거 카드. 물족 몬스터가 2장이상 있으면 마함파괴와 더불어 LP까지 회복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버블리먼 쇼크!, 일어판명칭=バブリーマン・ショック!, 영어판명칭=Bubblyman Shock!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상 / 물족)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의 공격력의 합계]만큼 자신은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로 자신이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를 전부 파괴한다.)]
최상급 몬스터들인 다이안 켓들이 전부 회복 효과를 갖고 있음에도 정작 그 회복한 라이프를 쓸 데가 없었던 물족에게 처음으로 등장한 라이프 소모형 카드다.
효과는 상대 필드의 레벨 8 이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파격적인 필드 클린이지만, 그 대가로 자신이 파괴할 몬스터 전체의 공격력 합계만큼의 데미지를 받을 것을 요구한다. 최상급을 두 마리만 날려도 5000에 육박하는 데미지를 받아야 하는 엄청난 리스크다. 이 정도면 아무리 물족 덱이라도 아무 때나 막 지를 수는 없고, 라이프와 필드를 꾸준히 관리해줘야 발동할 타이밍이 온다고 볼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미☆마녀사냥, 일어판명칭=<ruby>美<rp>(</rp><rt>び</rt><rp>)</rp></ruby>☆<ruby>魔女狩<rp>(</rp><rt>まじょが</rt><rp>)</rp></ruby>り, 영어판명칭=Last Day of the Pretty☆Witc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상 / 물족)가 있을 경우\, 패의 몬스터(물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이 효과로 몬스터(마법사족)를 파괴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할 수 있다.)]
최상급 몬스터가 필드에 있을 것을 요구하면서 패 코스트까지 필요하니 발동하기가 나름 까다롭다. 앗씨호스 등의 효과를 구사하며 조건을 채우도록 하자. 레벨 8 이하를 지정하고 있으니 현 환경에서는 맥시멈 몬스터만 빼면 웬만해서 파괴가 가능하다.
더욱이 마법사족 몬스터를 파괴할 수만 있으면 전체 제거까지 가능해지며, 단숨에 상대 LP를 깎아버릴 수 있다. 상대에게 의존하긴 하지만 마법사족 몬스터 중에는 강력한 카드가 많아서 굳이 마법사족 덱이 아니라도 용병 개념으로서 채용하는 덱을 상대해도 발동 기회는 많다.
카드명의 '미마녀(美魔女)'는 '마법이라도 쓴 듯이 아릅답다'는 의미로 일본에서 30대 후반부터 40대 이후의 재색겸비의 여성을 일컫는다. 본래 패션잡지에서 탄생한 조어지만, 미디어 매체에서의 언급을 통해 메이저 용어가 되어 2010년에 코분샤에 의해 상표등록까지 된 상태라고.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물거품-붕괴의 버블-, 일어판명칭=<ruby>水<rp>(</rp><rt>みず</rt><rp>)</rp></ruby>の<ruby>泡<rp>(</rp><rt>あわ</rt><rp>)</rp></ruby>-<ruby>崩壊<rp>(</rp><rt>ほうかい</rt><rp>)</rp></ruby>のバブル-, 영어판명칭=All For Naught - Bubble Burs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상 / 물족)가 공격을 받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공격해 온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600 내린다.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1000000 내린다.)]
유희왕 러시 듀얼과 유희왕/OCG 카드를 통틀어 텍스트에 명시된 수치가 2번째로 높은 카드. 조건부로 공격력을 100만큼 만 내리는게 아니라, 100만(1,000,000)을 내린다.[6] 사실상 '그 공격력을 0으로 한다'라는 텍스트나 마찬가지지만, 버블 붕괴를 재현하기 위해 재미로 수치를 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룰 상 '0으로 한다'와는 엄연히 처리가 달라서, 100만 자체는 그대로 내려가 있기 때문에 추가 카드로 강화하려고 해도 100만이라는 수치를 넘겨야 공격력이 상승한다.[7] 물론 현재 러시 듀얼에서 이 카드의 발동 후 그 턴 중으로 이 카드의 효과를 받은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릴 수 있는 카드는 단 한 장도 없으니 사실상 의미는 없다.
일러스트는 미스틱 딜러가 쌓여있던 술잔의 탑을 깨뜨려버렸고 여기에 역옥의 신 다이안 켓이 배상으로 100만이 새겨진 청구서를 내밀고 있다. 좌절하는 미스틱 딜러가 포인트. 수출판 일러스트에서는 청구서의 숫자 말고도 깨진 술잔 대신 엎어진 꽃병이 그려져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아게어게인, 일어판명칭=アゲアゲイン, 영어판명칭=Party Up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의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가 공격을 받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공격해온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함정 카드! 아게어게인 발동! 공격해 온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 라이프 포인트를 올려 올려!나미미, 듀얼링크스 함정카드 발동 대사
용도는 물족 버전 썬더비트 게인에 가깝다. 공격 선언하는 몬스터의 레벨 / 공격력에 제한이 없는 대신 공격 대상이 되는 몬스터가 지정되고 회복 대상이 공격 몬스터만 고를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단점이라면 해당 카드와 마찬가지로 전투 파괴를 막지 않아서 악희의 독연에 비하면 범용성이 딸린다는 것.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미☆마녀봉인, 일어판명칭=<ruby>美<rp>(</rp><rt>び</rt><rp>)</rp></ruby>☆<ruby>魔女封<rp>(</rp><rt>ふう</rt><rp>)</rp></ruby>じ, 영어판명칭=Pretty☆Witch Imprisonment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8 이상 / 물족)가 있을 경우\,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5장까지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마법사족)가 있을 경우\, 추가로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5장까지 고르고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묘지를 털어 다크 레버레이션의 발동을 막는 카드. 상대 필드 위에 마법사족이 있다면 상황에 따라 상대의 묘지 자원을 죄다 날려버릴 수도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미니하프의 정령, 일어판명칭=ミニハープの<ruby>精<rp>(</rp><rt>せい</rt><rp>)</rp></ruby>, 영어판명칭=Spirit of the Mini Harp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물, 레벨=1, 공격력=0, 수비력=1400, 종족=물족, 효과외=발표회에서 하프를 연주하는 정령. 그 음색은 모든 이의 마음을 온화하게 해준다.)]
물족 중에서는 수비력이 더 높고 공격력 0 서포트도 똑같이 받는 이크티오스테가드가 있으니 두번째 벽으로나 쓰이게 될 것이다. 레벨 1이라 나타 드 마음의 변화와 함께 원업을 공유할 수 있는데, 해당 카드도 네크로맨서드에 대응하므로 레벨에 의한 서포트 카드 차이로 투입 매수를 정하도록 하자.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어차여사신 누비아, 일어판명칭=<ruby>御茶女邪神<rp>(</rp><rt>おちゃめじゃしん</rt><rp>)</rp></ruby>ヌヴィア, 영어판명칭=Nuvia the Wicked Mischief Mak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800, 종족=물족,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가 3장일 경우\,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200 올린다. 그 후\, 자신 묘지의 "아메가로폴리스"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비를 맞으면, 일어판명칭=<ruby>雨<rp>(</rp><rt>あめ</rt><rp>)</rp></ruby>に<ruby>打<rp>(</rp><rt>う</rt><rp>)</rp></ruby>たれれば, 영어판명칭=Caught in the Rai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또는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의 필드 마법 카드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일반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 × 300 내린다. 그 후\, 상대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아메가로폴리스, 일어판명칭=アメガロポリス, 영어판명칭=Rainy Megalopoli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이 카드는\,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가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가 필드 존에 앞면 표시인 한\, 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의 공격력은 200 올리고\, 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 이외)의 공격력은 200 내린다.)]
조건 및 효과의 특성 상 당연하게도 물족 덱에서 사용하게 된다. 공격력 상승치는 바다와 같지만, 이 카드는 물족이 아닌 몬스터를 전부 약체화시키는 효과도 겸비했기에 실질적인 강화 수치는 400으로, 필드 마법 중에서는 높은 편에 속한다. 물족에 대응하는 필드 마법 중에서는 비교적 쓰기가 좋아 덱에 우선시하기 좋다고 볼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천사의 옥수수, 일어판명칭=<ruby>天使<rp>(</rp><rt>てんし</rt><rp>)</rp></ruby>のもろこし, 영어판명칭=Maizeful Charity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물족)가 있고\, 자신 묘지에 몬스터(물족)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은 패 1장을 고르고 덱 아래로 되돌린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러시듀얼@
천사의 자비의 패러디 카드.[9] 해당 카드의 다운그레이드 버전이지만 필드와 묘지에 물족 몬스터만 있으면 발동이 가능한 강력한 패교환 효과를 자랑한다. 이러다보니 물족은 서브로 쓰는 수준인 화굉람황 볼카라이즈 피닉스 주축의 화염 + 물, 번개족 덱에서도 쓰이고 있다.
그러나 환영의 다크매터에서 데뷔하여 24년 4분기에서 한창 1티어권 자리를 차지한 베리프레쉬 덱의 핵심 패교환 카드 역할을 하며, 그동안 이렇다 할 티어권 급 파워를 가진 물족 덱이 없었기에 강력한 성능을 보이지 못했던 본 카드가 본격적으로 성능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결국 2025년 1월 금제에서 제한에 올랐다.
애니메이션에 나온 원본은 조건이 붙어있지는 않았지만, 실제 카드화되며 범용적으로 쓰일 것을 우려했는지 필드와 묘지에 물족 몬스터가 있어야 할 것을 조건으로 요구하게 되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블리/미발매 카드#|]][[버블리/미발매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종족이 물족인 건 발음이 비슷한 영어 단어 Ms.를 염두에 둔 듯. 작중에선 미미 본인의 입으로 'お水なモンスター'라고도 언급되었는데,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물장사를 연상시키는 꽤나 노골적인 표현이 된다. 물론 아동 애니에서 성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부류의 물장사를 의도했을 리는 없고, 매체에도 자주 등장하는 수준의 캬바쿠라 아가씨나 단순한 클러버 정도를 의도한 표현으로 추정된다.[2] 90년대에 유행한 갸루식 화장으로, 피부를 검게 태닝한 스타일.[3]용과 같이 극에서 발돌이라는 명칭으로 의역된 적이 있었다.[4] 대부분의 스킬이 '덱에 공격력 1400 이상의 특정 종족 이외의 몬스터를 넣지 않을 것' 을 요구하는데, 구릿빛 검사 카난을 제외한 모든 빛 속성 물족 일반 몬스터와 앗씨호스는 이 제한을 빠져나간다.[5] 불야성 출시 이전에는 SEVENS NEW ROAD에서 획득 가능한 숲만 존재했다.[6] 1위는 러시 듀얼의 강한 소년 세븐즈로드. 텍스트에 7억(700,000,000)이 명시되어 있다.[7]환격룡 미라기아스로 CAN:D의 공격력을 1500 깎은 뒤 CAN:D가 공격을 받을 때 단절의 사이코월을 발동해서 공격력을 500 올려도 공격력은 여전히 0이라는 코나미 측의 답변이 있다.[8] 마찬가지로 여기서 이름을 따간 카드로는 OCG의 사이버 츄츄가 있다.[9] 자비(호도코시)를 옥수수(모로코시)로 바꿨고, 천사의 헤일로는 나루토 어묵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