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1:16:05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파일: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애니메이션 일본 로고.png
(2024)

JELLYFISH CAN'T SWIM IN THE NIGHT
파일: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한글 키 비주얼.jpg
{{{#19419d,#7296e9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청춘, 군상극, 음악, 일상, 백합
원작 JELEE
감독 타케시타 료헤이
시리즈 구성 야쿠 유우키
각본
캐릭터 원안 popman3580
캐릭터 디자인 타니구치 준이치로
서브 캐릭터 디자인 나카지마 치아키
슈리(朱里)
의상 디자인 쿠즈하라 시노(葛原詩乃)
나가사와 쇼코(長澤翔子)
프롭 디자인 핫토리 미유(服部未夢)
총 작화감독 타니구치 준이치로
토요타 아키코(豊田暁子)
스즈키 아스카(鈴木明日香)
메인 애니메이터 오오타 신노스케(太田慎之介)
Saurabh Singh
나카오 카즈마(中尾和麻)
극중 일러스트 원안 하무 네즈코(はむねずこ)
미술 감독 카네코 유지(金子雄司)
미술 설정 히라사와 아키히로(平澤晃弘)
색채 설계 이시구로 케이(石黒けい)
촬영 감독 쿠와노 타카후미(桒野貴文)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음향 감독 키무라 에리코(木村絵理子)
음악 요코야마 마사루
음악 제작 킹 레코드
「JELLE」 삽입곡 프로듀스 40mP
피아노 연주 음원 제공 하라미짱(ハラミちゃん)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나카니시 고(中西 豪)
카마타 하지메(鎌田 肇)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소토카와 아키히로(外川明宏)
프로듀서 스즈키 렌타(鈴木廉太)
제작 프로듀서 사이토 신고(齊藤真吾)
애니메이션 제작 동화공방
제작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24. 04. 07. ~ 2024. 06. 23.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BS11[1] / (일) 0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원[2] / (수) 00:00
스트리밍
[[대원방송#VOD 서비스|
JBOX
]] 공개 예정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언어, 모방위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3]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애니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JELLE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2.1.2. 캐릭터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음악7. 회차 목록8.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9. 회차별 WEB 예고편10. 엔드 카드11. 해외 공개
11.1. 대한민국
12. 평가
12.1. 방영 전12.2. 방영 후
13. 미디어 믹스14.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 약칭은 요루쿠라(ヨルクラ). 감독은 타케시타 료헤이, 캐릭터 디자인은 타니구치 준이치로, 제작사는 동화공방. 방영 시기는 2024년 4월.

시리즈 구성 각본은 소설가 야쿠 유우키가 담당한다.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이 약캐 토모자키 군을 읽고 직접 캐스팅했다고 한다.

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rowcolor=#19419d,#7296e9> 티저 PV 제1탄 티저 PV 제2탄
<rowcolor=#19419d,#7296e9> 티저 PV 제3탄 티저 PV 제4탄
PV 제1탄
본 PV

총 4편의 티저 PV는 실사 영상으로 찍었다.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이 직접 연출, 촬영했으며 본편과 이어지는 내용이라고 한다.

2.1.2. 캐릭터

캐릭터 PV ① 코우즈키 마히루 캐릭터 PV ② 야마노우치 카노
캐릭터 PV ③ 와타세 키우이 캐릭터 PV ④ 타카나시 킴 아누크 메이

2.2. 키 비주얼

파일: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애니메이션 일본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티저 비주얼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밤의해파리는헤엄치지않는다_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밤의해파리는헤엄칠수없어_애니티저비주얼2.jpg
<rowcolor=#19419d,#7296e9> 티저 비주얼 1탄 티저 비주얼 2탄
파일:밤의해파리는헤엄칠수없어_애니티저비주얼3.jpg
파일:밤의해파리는헤엄칠수없어_애니티저비주얼4.jpg
<rowcolor=#19419d,#7296e9> 티저 비주얼 3탄 티저 비주얼 4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한글 키 비주얼.jpg
파일: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신 비주얼 약속.jpg
<rowcolor=#19419d,#7296e9> 키 비주얼[6] 신 비주얼 『약속』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시츄에이션 비주얼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밤의 해파리 시츄에이션 비주얼 1.jpg
<rowcolor=#19419d,#7296e9> episode1 밤의 해파리 𓂃◌𓈒𓐍🪼
『카노에게 기타를 배우는 마히루』
파일:밤의 해파리 시츄에이션 비주얼 2.jpg
파일:밤의 해파리 시츄에이션 비주얼 3.jpg
<rowcolor=#19419d,#7296e9> episode2 메이의 덕질 𓂃◌𓈒𓐍🪼
『최애와 연주하는 피아노』
episode3 와타세 키우이 𓂃◌𓈒𓐍🪼
『마지막 돌아오는 길』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감독 일러스트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밤의 해파리 감독 일러스트 1.jpg
파일:밤의 해파리 감독 일러스트 1-2.jpg
<rowcolor=#19419d,#7296e9> 방영 당일 1화
파일:밤의 해파리 감독 일러스트 2.jpg
파일:밤의 해파리 감독 일러스트 3.jpg
<rowcolor=#19419d,#7296e9> 2화 3화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스태프 일러스트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1.jpg
토요타 아키코(豊田暁子)
(총 작화감독, LO 작화감독)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2.jpg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3.jpg
<rowcolor=#19419d,#7296e9> 핫토리 미유(服部未夢)
(프롭 디자인)
나가사와 쇼코(長澤翔子)
(의상 디자인)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5.jpg
쿠즈하라 시노(葛原詩乃)
(의상 디자인)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4.jpg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6.jpg
<rowcolor=#19419d,#7296e9> 오오사코 미츠히로(大迫光紘)
(연출)
나카오 카즈마(中尾和麻)
(메인 애니메이터)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8.jpg
쵸즈이
(원화)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7.jpg
파일:밤의 해파리 스태프 일러스트 9.jpg
<rowcolor=#19419d,#7296e9> Saurabh Singh
(메인 애니메이터)
타니구치 준이치로
(캐릭터 디자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응원 일러스트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파일:밤의 해파리 응원 일러스트 1.jpg
파일:밤의 해파리 응원 일러스트 2.jpg
파일:밤의 해파리 응원 일러스트 3.jpg
<rowcolor=#19419d,#7296e9> 네무리네무(ねむりねむ) ran9u 키스미 레이(木澄 玲生)
파일:밤의 해파리 응원 일러스트 4.jpg
파일:밤의 해파리 응원 일러스트 5.jpg
<rowcolor=#19419d,#7296e9> 마시로 K타(真白K大) 코미즈키(古弥月)
파일:밤의 해파리 응원 일러스트 6.jpg
파일:밤의 해파리 응원 일러스트 7.jpg
<rowcolor=#19419d,#7296e9> 니이 마나부 토키와타(ときわた) }}}}}}}}}
}}}

3. 줄거리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고 싶어"

정체성이 넘치는 거리, 시부야.

밤의 시부야를 둥실둥실 떠다니며
아무것도 되지 못하고 있는 소녀는,
하나의 특별한 만남을 계기로 변하기 시작한다.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동화공방이 선사하는,
감독·타케시타 료헤이 × 시리즈 구성&각본·야쿠 유우키에 의한 청춘 군상극.

처음으로 창작을 접하는 소녀들의
익명 크리에이티브 활동이 시작된다―――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 Introduction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19419d,#7296e9> 등장인물 성우
코우즈키 마히루 이토 미쿠
야마노우치 카노 타카하시 리에
와타세 키우이 토미타 미유
타카나시 킴 아누크 메이 시마부쿠로 미유리
미코 우에사카 스미레
세토 메로 오카사키 미호
야나기 모모코 슈토 유키나
스즈무라 아카리 아마키 샐리
코우즈키 카호 마츠우라 아유
미온 안자이 치카
아리에루 토야마 나오
코하루 세토 아사미
유키네 카이다 유코
호나미 점장 시이나 헤키루

5. 설정

6.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음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19419d,#7296e9><table 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fffff,#2d2f34><color=#fff,#fff><width=50%> OP
채색
||<-2><width=50%> ED
하루는 25시간.
||
파일:KICM-2153.jpg 파일:NOPA-5894.jpg
노래 카노에 라나(カノエラナ) 노래 츠루시마 안나(ツルシマアンナ)
3화 ED
최강걸
4화 ED
달의 온도
5화 ED
시부야 아쿠아리움
파일:NOPA-5758.jpg 파일:NOPA-5759.jpg 파일:NOPA-5760.jpg
노래 JELEE 노래 JELEE 노래 JELEE

7. 회차 목록

<rowcolor=#19419d,#7296e9> 회차 제목[11]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夜のクラゲ
밤의 해파리
타케시타 료헤이 타케시타 료헤이 나카지마 치아키
타니구치 준이치로
토요타 아키코
(豊田暁子)
야마노 마사아키
(山野雅明)
이자와 타마미
(伊澤珠美)
타니구치 준이치로 선행: 2024.03.03.
日: 2024.04.07.
韓: 2024.04.17.
제2화 めいの推しごと
메이의 덕질
오오사코 미츠히로
(大迫光紘)
타니구치 준이치로
스즈키 아야노
(鈴木彩乃)
토쿠나가 사야카
(徳永さやか)
마츠시타 이쿠코
(松下郁子)
사키구치 사오리
(崎口さおり)
선행: 2024.03.03.
日: 2024.04.14.
韓: 2024.04.24.
제3화 渡瀬キウイ
와타세 키우이
소에지마 야스후미
(ソエジマヤスフミ)
쿠보 마리코
야마모토 하스오
(山本蓮雄)
이자와 타마미
토요타 아키코 日: 2024.04.21.
韓: 2024.05.01.
제4화 両A面
더블 A면
사이토 테츠히토
(斉藤哲人)
시라하타 요시유키
(白幡良志之)
토쿠나가 사야카
마츠시타 이쿠코
사키구치 사오리
스즈키 아야노
스즈키 아스카
(鈴木明日香)
日: 2024.04.28.
韓: 2024.05.08.
제5화 コメント欄
코멘트란
카와하라 류타 이자와 타마미
사코 유리카
(迫 由里香)
야마모토 하스오
김경수
(金慧秀)
키쿠치 아이
소가 아츠시
(曾我篤史)
쿠보 마리코
타니구치 준이치로 日: 2024.05.05.
韓: 2024.05.15.
제6화 31(サーティワン)
31(서른하나)
사토 마사코 胡麻黄粉 스즈키 아야노
하야카와 아사미
(早川麻美)
오누마 요시이
(小沼よしい)
사키구치 사오리
카와모토 유키코
(川本由記子)
쿠보 마리코
토요타 아키코 日: 2024.05.12.
韓: 2024.05.22.
제7화 夜明け
여명
시라하타 요시유키 미야나가 아즈사
(宮永あずさ)
스즈키 아야노
마츠시타 이쿠코
토쿠나가 사야카
치바야마 나츠에
(千葉山夏恵)
스즈키 아스카 日: 2024.05.19.
韓: 2024.05.29.
제8화 カソウライブ
가상 라이브
소에지마 야스후미 카와모토 유키코
김경수
이자와 타마미
야마모토 하스오
쿠보 마리코
오사시미마루
(おさしみ丸)
분야마
(ぶんやま)
토요타 아키코
키쿠치 아이
마지로
카츠마타 마사토
日: 2024.05.26.
韓: 2024.06.05.
제9화 現実見ろ
현실을 봐
카와하라 류타 나카노 미유
(中野美柚)
야마모토 에츠코
(山本悦子)
모토야 아이
(本谷 愛)
이자와 타마미
소가 아츠시
사키구치 사오리
스즈키 아야노
타니구치 준이치로 日: 2024.06.02.
韓: 2024.06.12.
제10화 推される側
응원받는 쪽
오오사코 미츠히로 이자와 타마미
토쿠나가 사야카
미야나가 아즈사
스즈키 아야노
모토야 아이
야마모토 하스오
마츠시타 이쿠코
치바야마 나츠에
나카노 미유
스즈키 아스카
스즈키 아스카 日: 2024.06.09.
韓: 2024.06.19.
제11화 好きなもの
좋아하는 것
카와무라 하지메
(川村 一)
후지타 쇼헤이
(藤田星平)
쿠보 마리코
야마모토 하스오
카와무라 유키코
모토야 아이
김경수
야마모토 에츠코
치바야마 나츠에
토요타 아키코
타니구치 준이치로
日: 2024.06.16.
韓: 2024.06.26.
제12화 JELEE 타케시타 료헤이 타니구치 준이치로
나카지마 치아키
스즈키 아야노
스즈키 아스카
나카오 카즈마
(中尾和麻)
마츠시타 이쿠코
토쿠나가 사야카
쿠보 마리코
사키구치 사오리
나카노 미유
나카타 아키코
(中田亜希子)
미야나가 아즈사
슈리
(朱里)
타니구치 준이치로 日: 2024.06.23.
韓: 2024.07.03.

8.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감독 타케시타 료헤이, 캐릭터 디자인 타니구치 준이치로, 제작 프로듀서 시이토 신고(齊藤真吾)의 인맥으로 실력 좋은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한 작품이다.
<colbgcolor=#ffffff,#2d2f34> 파일: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애니메이션 일본 로고.png
<colcolor=#19419d,#7296e9> 제1화 오오타 신노스케(太田慎之介)LO 원화 100컷 담당., Saurabh Singh, 나카오 카즈마(中尾和麻), 스즈키 아스카(鈴木明日香), 타카하시 미즈키(高橋瑞紀), 코이소 사야카(小磯沙矢香), 스기타 슈, 무토 미키(武藤 幹), 사토 호노카(佐藤歩野花), 야스에 안쥬(安江杏珠), 히노시타 히로유키(樋下博之), 마츠시타 이쿠코(松下郁子), 스즈키 아야노(鈴木彩乃), 토쿠나가 사야카(徳永さやか), 미야나가 야즈사(宮永あずさ), 치바야마 나츠에(千葉山夏恵), 키쿠치 쇼노제2원화
제2화 야마노 마사아키(山野雅明), 오오사코 미츠히로(大迫光紘), 야기 사오리(八木佐織), 미즈노 키미아키피아노 연주 작화, 야스에 안쥬, 오오타 신노스케, Saurabh Singh, 키리우치 코즈에(桐内 梢), 이모토 아유(井元愛夕), 치바야마 나츠에, 요시다 아츠시(吉田篤史), 야마모토 하스오(山本蓮雄), 시바타 유지(柴田ユウジ), 오오노 야스에(大野泰江)
제3화 요시다 아츠시, 치바야마 나츠에, 키리우치 코즈에, 오오노 야스에, 후에키 요코(笛木陽子),堂 佳織, 후나코시 마유미(船越麻友美), YINXELH, 이모토 아유, 햐아미즈 코이치(速水広一), 야마모토 에리사(山本恵理沙), 이세 나오코(伊勢奈央子), 모리시타 치에(森下智恵), Bebert, 나카오 카즈마, Kidi, (范 言新)
제4화 오오타 신노스케, 사토 호노카, 나카노 미유(中野美柚), 키리우치 코즈에, 이모토 아유, 오오노 야스에, 모리시타 치에, 타카다 카즈노리(高田和典), 카와구치 마오(河口真緒), 스즈키 유지로(鈴木湧二朗), (陳晟), (蔡 鸿達), 오기와라 마코토(おぎ原まこと), 시마이 카즈요시(縞居和慶),(湯圓A), 타케구치 린타로(竹口凛太郎)
제5화 키리우치 코즈에, 사쿠마 신이치(佐久間信一), 요시다 아츠시, 미세키 히로유키(三関宏幸), 모토야 아이(本谷 愛), Kei, 나카가와 마리코(中川まりこ), 쿠리니시 유스케(栗西祐輔), 시바타 유지, 카와모토 유키코(川本由記子), 후나코시 마유미(船越麻友美), 츠카모토 류스케(塚本龍介), 타케모토 카즈키(武元一貴), 토이 카즈키(戸井一樹), 나카오 카즈마, 모리시타 치에, 오오노 야스에, Saurabh Singh, 오오타 신노스케
제6화 사토 호노카, 나카노 미유, 이모토 아유, 키리우치 코즈에, 후나코시 마유미, 이세 나오코, 나카오 카즈마, 아모지, 후에키 요코, 이가라시 신(五十嵐 心), (向 書君), 마에다 아야(前田 綾), 사와다 요시유키(澤田善行), 마츠시마 유키(松嶋祐樹), (范 言新), 고다 아사미(合田麻美), 타케다 미츠노부(竹田光伸), 스기우라 타카유키(杉浦尭侑), 마츠다 하야토(松田隼人), (宣 子豪), (蕨餅), 미야모토 하루미(宮本晴海), 야마모토 카나(山本果奈)
제7화 타테구치 노리타카(立口徳孝), 야노 모모코(矢野桃子), 스즈키 유지로, 36.5°C, 카와무라 료코(河村涼子), 타카하시 나오유키(高橋尚千), 키리우치 코즈에, 김도영(金到瑛), (沈玥), 하야노 마사키(早野正樹), 후쿠케 이오리(福家いおり), 오오타 신노스케, 나카오 카즈마, 이소모토 마사히로(磯本雅大), 츠지무라 요시코(辻村佳子), 나리마츠 요시토(成松義人), 오오노 야스에, 타케우치 카즈마사(竹内一将), 코케츠 마스미(纐纈真澄), (鄧 遠芳), 난베 히로미(南部広海), 오츠지 히로아키(尾辻浩晃), 미야나가 아즈사(宮永あずさ), Saurabh Singh
제8화 타카다 카즈노리, 나카오 카즈마, 야마모토 에리사, 키리우치 코즈에, 모리시타 치에, 오오노 야스에, 나카노 미유, 나가타 쿄코(永田杏子), 하코다 나나미(箱田ななみ), 히네노 유코(日根野優子), 시바타 유지, 츠치다 코타로(土田虎太郎), 이세 나오코, 후나코시 마유미, 사토 호노카, 우노 토모코(夘野智子), 아모지, 이가와 하루나(井川春奈), 치바야마 나츠에, 이주형
제9화 스즈키 유지로, 요시다 아츠시, (二瓶令暁), 카와구치 마오, 니시카와 아사미(西川あさみ), 오오시미즈 에이라(大清水瑛良), 이토 토모미(伊藤知美), 야마모토 에츠코(山本悦子), (金井 思), 이모토 아유, 후쿠케 이오리, 타테구치 노리타카, 소가 아츠시, 쿠로에 레이(黒絵レイ), 사와다 요시유키, M Ali Mukhtar, 나카오 카즈마, 쵸즈이, 키리우치 코즈에, 쿠즈하라 시노(葛原詩乃), 키타가와 토모코(北川知子)
제10화 미즈노 키미아키, 야기 사오리, 쵸즈이, 카리노 마사시(狩野正志), 히라츠카 토모야(平塚知哉), 야마구치 리나(山口倫奈), 마츠시마 유키, 사토 히카루(佐藤ひかる), (椎奈七逢), 타카하시 노부오(高橋伸郎), (會 品喬), (蔡 孟書), 혼다 소이치(本田創一), 토모마츠 테루키(友松照稀), EVAKOI, 시라하타 유지(白幡裕二), (趙 禮琳)
제11화 야마모토 에츠코, 사토 호노카, (金井 思), 난베 히로미, 오오노 야스에, 후쿠케 이오리, 타카다 카즈노리, 소가 아츠시, 스즈키 미사(鈴木水彩), 모토야 아이, 요시다 아츠시, 나가타 쿄코, 타테구치 노리타카, 히라츠카 토모야, 후나코시 마유미, 우노 토모코, 시바타 유지
제12화 오오타 신노스케, Saurabh Singh, 나카오 카즈마, 쿠즈하라 시노, 야기 사오리, 사토 호노카, (金井 思), 미즈노 키미아키, 오오사코 미츠히로, 야마구치 리나, 타테구치 노리타카, 히라츠카 토모야, 키리우치 코즈에, 나카타 아키코(中田亜希子), 이모토 아유, 모리시타 치에, 시바타 유지, 이세 나오코, 난베 히로미, 오오노 야스에, 하마자키 히데키, 미야카와 슌, 타카하시 미즈키, 타카하시 나오유키, 아오키 유이(青木優衣), 아부라야 요스케(油谷陽介), 마츠다 유코(松田侑子)

9.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19419d,#7296e9>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9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10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1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1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0. 엔드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엔드 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해외 공개

11.1. 대한민국

파일:애니박스 현재 로고(2022.09).png 신작 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white><colcolor=white>
시간
08​:00 [[베이블레이드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clor: white" [[베이블레이드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clor: white"
09​:00
파워레인저
킹덤포스
(파일:태극기 태극.svg)
10​:00
11​:00 [[짱구는 못말려/극장판|극장판{{{#!wiki style="margin: -6px 0px -9px 0px"
14​:00 [[임금님전대 킹오저|{{{#!wiki style="margin: 0px -10px"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7기)|{{{#!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10px"
18​:00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7기)|{{{#!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7.5px; letter-spacing: 2.5px"
19​: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1px; border: 1.5px Dashed LimeGreen; font-weight: bold" [[페어리 테일: 100년 퀘스트/애니메이션|{{{#!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2px; brder: 2px Solid #c11b17; border-radius: 12px; color: #808080;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transparent 64%,#808080 0%,#808080 66%,transparent 0%)"
19​:30 윈브레
-WINBRE-
(자막)
20​:00
[[윈브레 -WINBRE-|{{{#!wiki style="margin: -7px -10px -5px -10px;display:none" [[드래곤볼(애니메이션)#대원방송|{{{#!wiki style="margin: -5px -10px 0px -10px"
21​:00
[[드래곤볼(애니메이션)#대원방송|{{{#!wiki style="margin: -5px -10px 0px -10px;display:none"
22​:00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7기)|{{{#!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10px"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7px 1px 17px 0px; brder: 2px Solid #128afa; border-radius: 12px; backgrund-image: linear-gradient(#1e73ea,#4296f0,#00d2ff); clor: #2b2b2b; text-shadw: -1px -1px white, 0px -1px white, 1px -1px white, -1px 0px white, 1px 0px white, -1px 1px white, 0px 1px white, 1px 1px white" {{{#!wiki style="min-width: 45px; word-break: keep-all" 원피스 31기
(자막){{{#!wiki style="margin: 0px -10px; font-size: 0.82em; letter-spacing: -0.5px"
원피스 31기
파일:애니원 로고.svg
22​:30
23​:00 [[이웃집 요괴씨/애니메이션|{{{#!wiki style="margin: 0px -10px"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애니메이션|{{{#!wiki style="margin: -6px -10px; letter-spacing: -1px" 윈브레
-WINBRE-
(자막)
{{{#!wiki style="margin: 0px -10px; font-size: 0.82em; letter-spacing: -0.5px"
23​:30 [[용족(애니메이션 1기)|{{{#!wiki style="min-width: 65px; margin: -6px -10px -5px -10px"
24​:00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wiki style="min-width: 65px;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order: 2px Solid RoyalBlue; border-radius: 12px; color: RoyalBlue; text-shadow: -1px -1px white, 0px -1px white, 1px -1px white, -1px 0px white, 1px 0px white, -1px 1px white, 0px 1px white, 1px 1px white" 다녀왔어,
어서 와
(자막)
파일:애니원 로고.svg
[[시끌별 녀석들(2022년 애니메이션)|{{{#!wiki style="display: none"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px; brder: 2px Solid #128afa; border-radius: 12px; backgrund-image: linear-gradient(#1e73ea,#4296f0,#00d2ff); clor: #2b2b2b; text-shadw: -1px -1px white, 0px -1px white, 1px -1px white, -1px 0px white, 1px 0px white, -1px 1px white, 0px 1px white, 1px 1px white"
25​:00 [[나루토 질풍전#s-6|{{{#!wiki style="margin: 0px -10px"
25​:30 [[용족(애니메이션 1기)|{{{#!wiki style="min-width: 65px; margin: -5px -10px -3px -10px"
26​:00 시끌별
녀석들
2기(자)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Checklist.png채널 번호표 [[https://www.tving.com/player/C05441| 파일:TVING 로고.svg '''무료 스트리밍
(모바일 환경에서는 '앱으로 이용하기'를 터치한 뒤,
'라이브' 탭으로 이동해야 함)
''']]
}}}
}}}}}}}}} ||


한국에서는 KT알파에서 수입하여 일본 최속 방영일보다 약 9일 이상 늦은 2024년 4월 17일 00:00에 애니원을 통해 방영하기 시작했다. 특이하게도 이미 영상물등급위원회로부터 별도의 사전 심의를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TV 방영이 결정되었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일반적인 위탁방영과는 달리 VOD 심의와는 무관하게 TV 방영을 하는 듯하다.

스트리밍은 한국 최속 방영일로부터 약 8일 뒤인 2024년 4월 25일부터 대부분의 스트리밍 사이트를 통해 공개하기 시작했다.

영상의 경우 MF고스트(애니메이션 1기)와 유사한 자막과 더불어 일본어 크레딧 내용이 없는 영상을 사용하였다.

자막이 아쉽다는 평이 좀 있다. 전체적으로 은어로 점철되어 있어 어느 정도 의역이나 정서상 번역을 한 점은 어쩔 수 없다 쳐도 원래의 의도와 좀 벗어난 번역이 자주 보인다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3화에서 "スーパーチャ(슈퍼챗) ありがとう"를 "슈퍼 고마워"[12], 회상 장면에 "[ruby(와타세, ruby=わたせ)] 키우이"를 "[ruby(나, ruby=わたし)] 키우이"로 해석한 부분은 그냥 오역이라 커버가 안 될 정도.

12. 평가

12.1. 방영 전

에로망가 선생포켓몬스터 방과후의 숨결로 명성을 쌓은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과 시청자들에게 인지도 높은 동화공방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여기에 공개 초기에는 컨셉을 의도적으로 숨겨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다 음악을 베이스로 한 청춘물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이쪽 계열 팬들에게도 주목도가 올라갔다.

12.2. 방영 후

사전 제작되어 스케줄 문제 없이 초반에 높은 영상미와 과거의 불미스러운 일로 마음의 상처를 받은 주연들이 JELLE라는 그룹을 결성하고 음악과 미술 활동을 통해 상처를 치유해나간다는 전형적이지만 착실하게 가벼운 분위기의 청춘 군상극으로 전개하며 기대를 불러모았다.

백합 팬들에게 고무적인 반응을 얻었는데, 특히 5화 마지막에서 카노가 마히루에게 한 볼키스씬이 해당 팬덤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8화까지는 괜찮았다는 반응이었다.[13]

그러나 8화 이후의 후반부 전개는 호불호가 갈리는데, 캐릭터들 간의 관계나 갈등, 그리고 어두운 과거들을 그려내는 데에는 꽤 공을 들였지만 정작 그걸 해소하는 과정이 너무 전형적으로 청춘물 공식을 답습하는데다 분량상 문제로 급전개가 일어나 해소 과정에서 여러 날림 전개가 빈발해 맥이 빠진다는 비판이 있다.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의 연출력 덕분에 연출은 극적이지만 전개만 놓고 보면 어이가 없을 정도. 이런 급전개와 서사의 남발, 그리고 회수의 실패는 11화 방영 이후 가장 크게 비판 받는 부분으로 과거 후반부 서사 회수에 실패해 비판받았던 오리지널 애니들과 비교되고 있다. 그리고 12화는 그동안 조명해왔던 빌드업과 다르게 갈등들을 해소하는 과정이 오로지 선플라워 돌즈와 JELLE의 콜라보 합동 공연만으로 맥없이 끝나버리며 서사의 기본 뼈대가 부실하다는 비판을 뒤집지 못했다.

스토리가 부진한 대표적인 이유로는 시리즈 구성 작가 야쿠 유우키가 꼽히고 있다. 애니메이션 각본은 분량의 제약이 있고 글로 묘사하는 소설과 달리 영상이라는 시각적 묘사가 수반되어야 하는 차이점이 큰 분야인데 시리즈 구성 역량이 검증되지 않은 야쿠에게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시리즈 구성을 바로 맡겨버리니 실력의 한계가 바로 드러났고,[14] 여기에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도 연출력 말고 서사나 각본에는 딱히 두각을 나타낸 적이 없어[15] 야쿠의 각본을 수정하지 않아 문제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각본의 완성도가 떨어진 후반부에서 대두된 문제는 보여주고 싶은 주제의식의 부족이었다고 볼 수 있다. 마히루가 과거의 경험 때문에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하는 것이 문제였다면, 카노는 어두운 과거 때문이라고 훼이크를 넣으면서 사실은 하고 싶은 것이 없었다(=엄마한테 잘보이고 싶을 뿐이었다)는 게 문제였다. 이 작품은 그런 두 사람을 통해서 자기가 하고 싶은 걸 찾아서 그걸 하면서 행복하게 살자는 걸 보여 주는 게 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에 모든 중점을 두면서 연출을 해야하는데 중간에 라이브 이야기, 애딸린 지하 아이돌 이야기 등을 넣으면서 너무 난잡해졌다. 이 사람들도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들" 이라는 점에선 공통점이 있으나 너무 여러 사람이 나오고 중구난방하여 그런 공통점을 느낀 사람들이 많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메인 인물들의 서사가 균형을 제대로 잡아 준 것도 아니다. 그나마 메이가 감동적인 10화의 주역이 됐으나, 그녀를 제외한 나머지 셋 모두 후반부의 서사가 굉장히 어정쩡해서 시청자들의 공감과 납득을 이끌어 내지 못했다. 그 바람에 다양한 스토리가 쌓였음에도, 그것들이 하나 되어 주제 의식을 완성하여 제대로 된 마무리를 연출한 게 아니라, 뭔가 많은 일이 있었는데 어째저째 하다 보니 아무튼 행복하게 끝났다라는 졸속적인 마무리가 된 것이다. 전형적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의 중구난방을 그대로 답습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떡밥 미회수라는 측면보다는 총체적인 제작 방향성 미스가 두드러지며, 소설가 출신 각본가가 흔히 보이는 분량 조절 실패가 치명적이었다.

본 작품이 중국인의 감성에 잘 맞아서 여러 나라 중 유독 중국에서 인기가 높았는데 결말이 중국인들이 싫어하는 방식이이다 보니 완결 후 난리가 났으며 많은 중국인들이 야쿠 유우키에게 사이버 테러를 하였다.[16] 빌리빌리 평점도 8화까지는 10점 만점에 9.6 수준이었으나 최종화 이후 단번에 8.5까지 추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나마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은 연출과 작화는 힘을 냈기 때문에 크게 욕 먹지 않고 대부분의 비판은 야쿠에게 쏠리고 있다. 하지만 야쿠를 데려온 게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이고 분량 조절 실패가 뻔히 보이는데도 각본 리테이크를 요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같은 분기에 음악활동으로 과거의 상처를 씻고 앞으로 나아간다는 점이 겹치는 경쟁작인 걸즈 밴드 크라이가 예상치 못한 흥행을 이끈 것과 대조되게 이 작품은 뛰어난 영상미와 음악, 매력적인 캐릭터에도 불구하고 정작 스토리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 바람에 적지 않은 아쉬움을 남겼다.[17]

13. 미디어 믹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미디어 믹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기타



[1] 그 외:
AT-X / (일) 22:30
간사이 TV / (월) 01:59
HTB 홋카이도 TV / (화) 02:25
[2] KT알파 판권 위탁방영.[3] 1~6화만 해당. KT알파영등위 사전심의를 통해 OTT에 공급하려다가 방송사(애니원)를 통해 방송심의를 받기로 방침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 등급이 적용된 OTT는 없다.[4] 이토 미쿠 (코우즈키 마히루 역)
타카하시 리에 (야마노우치 카노 역)
토미타 미유 (와타세 키우이 역)
시마부쿠로 미유리 (타카나시 킴 아누크 메이 역)
우에사카 스미레 (바바 시즈에 역)
카노에 라나 (OP 주제가 담당)
츠루시마 안나 (ED 주제가 담당)
기부 유코 (MC)
[5]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후지미 1초메 1-4 #[6] 파일:밤의해파리는헤엄칠수없어_애니 키비주얼.jpg[7] 코우즈키 마히루(光月まひる)[8] 야마노우치 카노(山ノ内花音), JELEE 명의[9] 와타세 키우이(渡瀬キウイ)[10] 타카나시 킴 아누크 메이(高梨・キム・アヌーク・めい)[1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대원방송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2] 슈퍼챗은 유튜브 도네 명칭이자 일본에서 유튜브 도네를 부르는 말로 옳게 해석하면 도네 고마워, 슈퍼챗 고마워 정도로 해석해야 했다.[13] 이 작품의 인기가 높았던 중국에서는 아예 이 작품을 8부작 애니메이션으로 취급한다.[14] 실제로 전문 각본가가 아님에도 업계의 높은 인지도로 시리즈 구성을 맡았다가 망한 작가와 작품의 대표적인 사례로 나스 키노코Fate/EXTRA Last Encore가 있다. 해당 작품은 원작이 있으나 나스가 완전히 재구성한 작품이기에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인 본작과 궤가 비슷하다 할 수 있다.[15] 타케시타 감독의 대표작인 에로망가 선생은 기본적인 서사는 있으나 원작자 후시미 츠카사가 각본에 적극적으로 관여했고 본작 이전의 연출 커리어도 대부분 오프닝, 엔딩처럼 서사가 필요하지 않은 단편 위주였다.[16] 일본인처럼 보이지만 대부분 번역기를 돌린 중국인이다.[17] 동화공방의 또다른 음악 소재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SELECTION PROJECT처럼 본작도 작화나 캐릭터, 음악은 좋았으나 스토리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18] 티저 PV 제1탄 ~ 제4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