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6:32

민충식(하얀거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독립운동가에 대한 내용은 민충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파일:하얀거탑 로고 화이트.png의 등장인물
민충식

Min Choong-shik
파일:Min Choong-shik.jpg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성별 남성
직업 의사
소속 민충식 정형외과 병원
직책 의사협회 부회장
민충식 정형외과 병원장
가족 민수정, 사위 장준혁
배우 정한용
1. 개요2. 작중 행적3. 자이젠 마타이치와의 차이점

[clearfix]

1. 개요

하얀거탑의 등장인물로 원작 소설에서의 이름은 자이젠 마타이치 이다. 한국판 드라마에서의 배우는 정한용.

2. 작중 행적

파일:attachment/민충식.jpg
정형외과 전문의. 강남에 자신의 이름을 건 정형외과를 개원한 장준혁의 장인어른. 교통사고 전문[1]으로 떼돈을 벌었다. 그런데 극중 길에서 마주친 환자가 인사를 건네자 익숙한 듯 "환자복 입고 돌아다니지 말랬지!" 라며 핀잔을 주는 것으로 보아 나이롱 환자도 가리지 않는 듯하다.

남편을 안 챙긴다고 딸 민수정을 야단칠 정도로 사위인 장준혁을 매우 아끼고 있으며, 호형호제하는 사이인 유필상과 함께 장준혁을 명인대병원 외과 과장으로 만들기 위해 온갖 술수와 로비를 아끼지 않는다.[2]

원작에서는 자신이 의학전문학교 출신인 것에 컴플렉스를 지니고 있는데, 쿠로카와 고로를 의대 수석입학 직후 데릴사위로 데려온 것도 일종의 컴플렉스의 일환이다. 여기서 말하는 의학전문학교는 의학전문대학원이 아니라 일본군에서 군의관활발한 양성을 목적으로 만든 속성 교육 시스템으로, 비록 단기 과정이었어도 의사 국가고시 자격이 주어졌기에 의사 면허를 딸 수 있었다.[3][4] 현대 시점에서 '의학전문학교 출신'라는 설정은 이해하기 어려운 면이 많으며, 이 설정을 현대 시점으로 반영하자면 메이저 의대 출신이 아니라는 것에 컴플렉스를 가졌다' 정도가 될 듯 하다. 하지만 한국판 드라마에서는 민충식도 명인대학교 출신으로 나온다.[5]

그가 장준혁에게 헌신적이었던 이유는 아들 대신 삼은 사위 장준혁의 성공을 통해 대리만족을 얻기 위해서였지만, 대사나 행동을 보면 그 뿐만 아니라 진짜 아들처럼 여기고 아끼는 마음도 드러난다. "자네 혹시 여자 있나?"하고 장난삼아 물어보자 흠칫하는 사위에게 오히려 "아내 말고 다른 여자 한둘쯤 없으면 남자가 아니다."라는 말을 할 정도. 참된 장인

장준혁이 담관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고는 가슴 아파하며 그를 찾아가 빨리 수술을 받으라고 종용하는데, 자신이 단순한 담관염인 것으로만 알고 있던 장준혁이 아직 병원 일도 바쁘니 천천히 받겠다고 하자 "그거 뭐 좋은 거라고 달고 다녀! 어서 수술 날짜 잡으라고!!" 라고 버럭 역정을 내고는 과장실에서 나와 눈물을 흘리며 터벅터벅 발걸음을 옮기기도 했다. 장준혁이 수술대에 오른 날, 참관실에서 집도의인 이주완에게 고개를 숙이며 잘 부탁한다는 인사를 했지만 이미 담관암이 내장기관 전체로 전이되어 버린 상황이라[6] 수술도 제대로 못받은 채 장준혁이 숨을 거두자 마치 친아들이 죽는 것처럼 애통해하는 장면은 하얀거탑 팬들의 가슴을 찡하게 했다.

3. 자이젠 마타이치와의 차이점

일본판 드라마에서의 자이젠 마타이치는 비중도 줄어들지 않았고 재담꾼 기질을 강조하면서 한국판보다 좀더 개성적인 캐릭터로 묘사되었다. 한국판에 비해 캐릭터 묘사가 전체적으로 심심하다는 평을 듣는 일본판 드라마에서는 예외적인 캐릭터. 스페셜에서도 잠깐 등장하는데, 자이젠 고로 사망 이후 생기를 잃은 듯 하면서도 권력에 대해 은근히 미련이 남아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1] 원작 소설에서는 산부인과.[2] 장준혁이 외과 과장이 되자 단골 일식집에서 축하연을 열고 장준혁에게 뽀뽀까지 하는 등 크게 기뻐하는 모습을 보였다.[3] 지금은 고인이 된 만화가 데즈카 오사무도 이곳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한국에도 의학전문학교로 경성의학전문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평양의학전문학교, 대구의학전문학교, 함흥의학전문학교, 광주의학전문학교 등이 있었다고 한다.[4] 그리고 경성의학전문학교는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와 합병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는 연희대학교와 합병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대구의학전문학교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광주의학전문학교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이 되어 지금에 이른다.[5] 일본판 드라마에서는 대학병원 의사들이 개업의를 속물 취급하며 대놓고 하대하는데, 한국판에서는 이를 살리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일반의와 전문의의 구도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겠으나 그렇게 되면 일반의 비하 한다고 난리가 났을 것이다.[6] 이 때 이주완은 참담한 표정으로 "그만 닫지" 라며 어쩔 수 없이 수술을 포기해야 했다. 비록 한때 으르렁대던 사이였지만 장준혁은 이주완의 제자였고, 무엇보다도 의사로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에 비통함을 느꼈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