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3:58:05

웨이취안 드래곤스

미전룡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43f><tablebgcolor=#00143f> 파일:CPBL 로고.svg대만 프로야구 리그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중신 브라더스 로고.svg 파일:퉁이 라이온스 로고.svg 파일:라쿠텐 몽키스 로고.svg
중신
브라더스
퉁이
라이온스
라쿠텐
몽키스
파일:푸방 가디언스 로고.svg 파일:웨이취안 드래곤스.png 파일:타이강 호크스 공식 엠블럼.png
푸방
가디언스
웨이취안
드래곤스
타이강
호크스
과거 참가 구단 ▶
}}}}}}}}}}}} ||

파일:웨이취안 드래곤스.png
웨이취안 드래곤스
Wei Chuan DRAGONS
<colbgcolor=#dc202e><colcolor=#ffffff> 정식명칭 味全龍[1]
창단 1978년 1월 1일 중국문화대학 창단
1989년 1월 1일 공식 창단(프로 구단)
2019년 5월 13일 재창단
연고지 변천 타이베이 (1990~1999, 2020~ )
신주 (2022~)[2]
구단명 변천 중국문화대학 대학 야구부 (1978~1988)
웨이취안 야구단 (1988~1990, 실업 야구)
웨이취안 드래곤스 (1990~1999, 2020~ )
홈구장 변천 타이베이 시립 야구장 (1990~1999)
타이베이 시립 톈무 야구장 (2020~ )
신주 시립 야구장 (2022~)
모기업 딩신그룹 (웨이취안식품)
감독 예쥔장 (葉君璋)
키트 스폰서 미즈노
타이완시리즈 우승
(5회)
1990, 1997, 1998, 1999, 2023
플레이오프 진출
(3회)
1998, 1999, 2022
시즌 우승
(5회)
1990(후기), 1991(전기), 1996(후기), 1997(후기), 2023(후기)
역대 한국인 선수 김도현[3] (1999)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
2.1. 재창단2.2. 2021년2.3. 2022년2.4. 2023년2.5. 2024년
3. 선수단
3.1. 코칭스태프3.2. 투수3.3. 포수3.4. 내야수3.5. 외야수
4. 영구 결번5. 홈구장6. 유니폼7. 기타

[clearfix]

1. 개요

대만 프로야구 리그 소속의 야구단. 퉁이 라이온즈, 슝디 엘리펀츠, 싼상 타이거스와 함께 대만 프로야구 리그를 구성하던 원년 네 구단 중 하나였다.

1999년에 해체했으나 2019년에 재창단해서 2021년부터 대만 프로 야구 1군 경기에 재참가하게 된다.

모기업인 웨이취안(味全食品工業股份有限公司)은 1953년 설립된 대만과 중국에서 꽤 유명한 식품 및 유업 제조회사로 요구르트가 주력 제품이다. 대만판 야쿠르트 스왈로즈

2. 역사

웨이취안 그룹은 1978년 창단한 중국문화대학 야구부에 네이밍 스폰서로 참여한 것이 그 뿌리로 1988년 중국문화대학과의 10년 짜리 명명권 계약 종료 후 독자 실업 구단을 만든 것이 실질적인 창단이었다. 1989년 1월 1일 웨이취안 드래곤즈 프로 야구단을 창단했으며 1990년 기존 구단을 프로로 전환해 프로 리그에 참여한다. 현재의 구단은 2019년 리그에 재가입했으나 공식적인 구단 창단은 1989년으로 본다. 재가입 때문인지 리그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는 5번째 참여 구단으로 취급한다.[4]

타이베이라는 큰 시장성과 오래된 역사를 기반으로, 흥행시 매진을 기록한 적이 여러 번 있으며 우승 수 4회로 통산 3위의 우승 경력을 가진 구단이다.[5]

1997년, 1998년, 1999년 3연속 우승을 이뤘지만 1996년부터 찾아온 모기업의 재정 문제와 경영 악화로 인해 1998년 모기업이 중국에 진출한 대만식품회사 딩신그룹에 인수됐다.[6] 딩신그룹은 야구단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아 이듬해인 1999년 구단 해산을 결정한다. 우연의 일치로 마지막 우승 다음 해에 홈구장도 해체됐다.[7]

2.1. 재창단

2019년 1월 17일 재창단을 선언했다. 우선 2020년 2군 경기 참여를 시작으로 2021년 1군에 진입한다. 족보는 1기 드래곤스 것을 그대로 이으면서 1990년 창단, 4회 우승팀으로 인정된다. 미국 내셔널 풋볼 리그클리블랜드 브라운스[8] 비슷한 이야기다.

이로써 대만 프로야구 팀은 5개로 늘어난다. 2020년 홈 경기장을 윈린더우류 구장으로 결정하였고 1군 진입시 연고지로 신주시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으나, 더우류구장은 2군 경기장으로 사용하기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2019년 11월 4일 신주시와 2022년 준공되는 신주시립야구장 운영권을 놓고 10년 계약을 맺고, 2020년 6월 타이베이 시립 톈무 야구장에 대한 경영권을 획득하여 당해 10월부터 5년간 운영권 계약을 맺었다. 2021 시즌에는 톈무 야구장을 주 홈경기장으로 쓰게 되며 주중 경기는 가오슝에서 개최하고, 2022년 이후에는 신주와 타이베이 두 구장을 동시에 사용할 예정이다. 어차피 톈무 야구장은 야간 경기는 주말에만 가능하기에 톈무에서 모든 홈경기를 소화할 수도 없다.[9] 애초 구장 운영권 계약을 맺을 때부터 홈경기는 30경기 이하로만 편성하기로 계약이 되어 있었다.

일단 2군 경기는 2020년부터 하므로 2019년 드래프트부터 참가하는데 신생팀 특혜를 받는다. 1-4라운드까지는 2명씩 지명을 할 수 있다.[10] 또한 시즌이 끝난 후 KBO의 2차 드래프트처럼 다른 팀의 30인 보호명단[11] 이외의 선수를 4팀 합쳐서 최대 8명까지 데려올 수 있다. 단 모든 팀별로 한 명씩은 데려와야 한다.

일본프로야구의 가와사키 무네노리가 일본에서 야구생활을 접은지 얼마 안되어 코치 겸 선수로 입단해 큰 주목을 받았고 메이저리그까지 경험했던 가와사키의 경력을 통해 팀내 선수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2019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에 참가하며 담금질을 시작했다. 그리고 한국과의 첫 경기에서 끝내기 안타로 승리하면서 좋은 출발을 보였다.

2020시즌 CPBL 시범 경기에서 3월 23일 라쿠텐 몽키스를 꺾고 시범경기 첫 승을 따냈다. 시범경기 최종성적은 1승 1무 10패로,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다른 팀들은 1군 선수들도 일부 기용했던 반면 웨이취안은 2군 선수들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웨이취안은 엄연히 2020시즌은 2군 리그에만 참가하고 2021년에 1군리그에 정식으로 참가하게 되는 팀이다. 여느 신생팀이 그랬듯이 전력차가 확연히 드러나는건 어쩔 수 없는 부분.

2020년 2군 리그에서 압도적인 성적으로 정규 시즌을 우승한 뒤에 2군 리그 결승전에서 중신 브라더스 2군을 4승 1패(1차전 부전승 포함)로 꺾고 2군 리그 통합 우승을 차지했다.

2.2. 2021년

2021 시즌 홈경기 60경기 중 주말 32경기는 타이베이에 배정하고 나머지 주중 28경기 중 대부분은 가오슝에 배정하며, 자이시 4경기, 화롄 3경기, 더우류 2경기를 편성하였다. 3월 14일 퉁이 라이온스와의 타이난 원정경기가 재창단 후 1군 첫 경기가 되며, 최초 홈경기는 타이베이 톈무 야구장에서 3월 26일 푸방 가디언스와의 경기로 편성된다.

전반기는 3할 후반대 승률로 최하위인 5위로 마무리했다.

후반기에는 나름 분전하며 탈꼴지를 위해 힘쓰는 중. 결국 라쿠텐 몽키스와 푸방 가디언즈를 제끼고 3위의 성적으로 후반기를 종료했다.[12]

2.3. 2022년

리그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린즈성을 FA로 영입했다. 지난 시즌 33게임만 출장 .185의 타율(2군에서는 4할대)로 최악의 시즌을 보낸 1982년생의 노장이기에 팬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2월 초 웨이취안 드래곤즈가 구단 역대 최고의 투수로 한국인 언더핸드 투수 김덕칠(김도현으로 개명)지목했다는 신문기사가 나왔다. 실제 대만 매체의 기사 내용은 마이너리그와 일본에서 활약한 투수 랴오런레이(廖任磊)의 배번이 11번으로 변경됨을 보도하면서 구단 역사상 최고의 11번은 99년의 김덕칠이라는 기사 내용이다. 재밌는 점은 한국 매체의 위 기사가 다시 대만으로 건너가 김덕칠의 근황 기사로 둔갑되었다는 점이다. 김덕칠 본인의 증언은 2009년 기사[1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시즌은 당초 신주 시립 야구장에서 주중 경기를 소화하기로 했으나 개장 일정이 늦어지면서 7월 22일 주말 경기로 신주야구장 개장 경기를 갖게 된다. 신주에서는 후반기에 총 8경기만 소화하며 타이베이 시립 톈무 야구장 경기수가 총 40경기로 늘어나고 주중 경기 일부도 톈무에서 진행하게 된다. 작년 주중 경기 홈구장이었던 가오슝은 전반기에만 7경기 배정되는 것에 그쳤고, 후반기에 화롄 3경기, 자이 1경기, 더우류 1경기를 홈경기로 배정했다.

4월만 해도 10승 6패로 괜찮게 시작했으나 이후 겨후 5할을 맞추고 있다. 승률 5할이 살짝 넘지만 그 아래 승점자판기인 푸방이 있어서 전반기는 4위에 그쳤다. 하지만 2위 중신과의 승차는 겨우 2게임차에 불과했을 정도로 선전하였다.

후반기에는 승률 5할에 미치 못하였고 전반기에 비해 부진한 모습으로 4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시즌 막판으로 갈수록 예상지 못한 가을야구 진출 가능성이 높아져 갔다. 결국 전기/후기리그 우승팀 제외한 구단 중 종합승률이 가장 높아 2022년 CPBL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전기 3위를 기록했던 퉁이가 후기에 승률 .288로 거대한 삽질을 하는 바람에 퉁이보다 무려 10게임차로 앞서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후기 3위를 기록한 푸방은 전기의 거대한 삽질로 종합승률에서 마지막 자리를 차지한다.

플옵 1차전에서는 선발이었던 제이크 브리검이 1.2이닝 6피안타 5실점의 난조를 보이며 패하였다. 2차전에서는 드류 가뇽이 6 1/3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면서 승리를 가져갔다. 3차전은 왕웨이중이 선발로 등판하였으나 1회 2실점 포함 4이닝을 던지며 물러났으며, 5회부터 불펜을 가동하며 7회 지리지라오 공관의 투런 홈런으로 동점에 성공하였으나 7회말 린카이웨이가 1실점을 허용하며 3-2로 패배하였다. 이로서 중신이 부전승 1승을 포함하여 총 전적 3승 1패로 타이완시리즈에 진출하였다. 사실 중신도 종합승률에서 1게임차로 뒤져 플레이오프를 치른 것인데 타이완시리즈에서 이를 설욕하며 리그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한다. 웨이취안으로서는 재창단 후 첫 포스트시즌을 치른 것에 만족해야 했고, 디펜딩 챔피언 중신을 상대로 선전한 가을야구였다.

2.4. 2023년

올해도 공동 홈구장인 신주 야구장의 부실 시공 문제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또다시 떠돌이 생활을 해야 할 판이다. 그래도 홈 경기 60경기 중 톈무에서 51경기를 배정할 수 있어 사정이 많이 나아졌다. 일단 올해도 동부 시리즈인 화롄에서 3경기, 제2 홈구장인 더우류에서 5경기 그리고 자이시립구장에서 1경기를 분산 개최하게 되었다.

전기리그에서는 퉁이 라이온스에 3.5게임 밀린 2위를 차지하였으나 후기리그에서는 라쿠텐 몽키스와 치열한 1위 싸움을 벌이고 있다. 퉁이가 현재 후기리그 꼴찌이며 경기차도 많이 벌어져있기 때문에 라쿠텐과의 경쟁에서 이긴 팀이 사실상 타이완시리즈에 직행하고, 패하는 팀이 플레이오프 부전패를 떠안는 3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14]

결국 후기리그 우승에 타이완시리즈 직행까지 확정지었다. 상대는 플레이오프 페널티를 극복하고 올라온 라쿠텐 몽키스. 그리고 3승을 먼저 내줬지만 6, 7차전을 모두 이기면서 24년 만에 우승했다.

2.5. 2024년

창단 당시 공동 연고로 설정해 두었던 신주야구장 문제가 장기화되고[15], 중립구장인 타이베이돔이 개장하면서 이번 시즌부터는 사실상 타이베이를 단독 연고로 삼게 된다.[16] 타이베이돔에 홈경기 10경기를 배정받아 가장 많은 경기를 소화한다.

응원단 확충 차원에서 라쿠텐 몽키스에서 린샹 치어리더[17]를 영입하였고, 이어서 이다혜를 치어리더 팀장으로 영입하였다. 치어리더 팀장이 한국인인 팀은 신생구단 타이강 호크스에 이어 두번째이다.

디펜딩챔피언으로 2024 시즌을 시작했으나 전반기는 여러가지 악재가 겹치며 승패마진 -8을 기록하며 5위로 마감했다.

3. 선수단

3.1. 코칭스태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dc202e> 파일:WEICHUAN_DRAGONS_SMALL_LOGO_01.png 웨이취안 드래곤스
2025년 코칭스태프 (미완성)
}}}
{{{#dc202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15px; margin-bottom: -15px"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3.2. 투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C202E> 파일:WEICHUAN_DRAGONS_SMALL_LOGO_01.png 웨이취안 드래곤스
2025년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C202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 유쭝루 · 7 썬룽훙 · 11 류위쥔 · 15 오야오쫑
16 왕웨이중 · 17 궈위정 · 18 쉬뤄시 · 19 뤄쟈런 · 20 우쥔제
26 차이밍셴 · 29 좡위빈 · 30 랴오런레이 · 31 류쟈카이 · 32 천량즈
37 차오웨이양 · 39 뤼웨이청 · 40 뤼용전 · 41 랴오원양 · 43 브리검
45 양위샹 · 47 린정셴 · 48 린이다 · 51 린왕이 · 52 우달
56 황동위 · 59 천관웨이 · 61 청보룽 · 64 가뇽 · 68 뤄화웨이
71 린쯔위 · 75 천밍쉬안 · 76 류충성 · 90 왕위푸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3.3. 포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dc202e> 파일:WEICHUAN_DRAGONS_SMALL_LOGO_01.png 웨이취안 드래곤스
2025년 포수
}}}
{{{#dc202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15px; margin-bottom: -15px"
9 린천위 22 좐하오웨이 44 지리지라오공관 60 류스하오
63 쟝사오홍 98 웨이좐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3.4. 내야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dc202e> 파일:WEICHUAN_DRAGONS_SMALL_LOGO_01.png 웨이취안 드래곤스
2025년 내야수
}}}
{{{#dc202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15px; margin-bottom: -15px"
3 오우진 6 장하오웨이 10 황보하오 13 우뤼성 21 리카이웨이 25 장정위 31 린즈성 33 청촨성 35 왕쉰허 44 첸시종(존 클락) 46 류지훙 57 주샹린 67 우둥룽 72 스샹위 101 정자오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3.5. 외야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dc202e> 파일:WEICHUAN_DRAGONS_SMALL_LOGO_01.png 웨이취안 드래곤스
2025년 외야수
}}}
{{{#dc202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15px; margin-bottom: -15px"
1 린샤오정 2 궈톈신 5 린이덩 28 린왕웨이 34 장유밍
55 가오화이안 58 쩡타오룽 69 둥빙쉬안 73 에레라
77 천젠양 88 훙웨이한 93 천핀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4. 영구 결번

5. 홈구장

타이베이 시립 톈무 야구장신주 시립 야구장 두 곳을 홈구장으로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재창단 이후 톈무 야구장을 사실상 단독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사정은 각 구장 문서 참고.

신주 시립 야구장 재개장 일정에 맞춰 신주를 메인 홈구장으로 두고 두 개의 홈구장을 운영하려 하였으나, 재개장한 신주 야구장의 상태가 겉만 멀쩡하고 야구 경기 자체가 불가능한 구장이 되어버려 단 두 경기만 개최한 이후 버려진 상황이다. 여담으로 신주시와 맺은 연고지 협약 및 야구장 경영 위탁 자체는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지만, 리그 및 구단 홈페이지의 구장 소개에 신주 야구장은 빠져 있다.

재창단 시 주 홈구장으로 고려했던 더우류 야구장은 2군 기지로 사용하고 있다.

6. 유니폼

파일:왕웨이중웨이치안.jpg 파일:브리검대만2022.png
홈(왕웨이중) 원정(제이크 브리검)

2021년 정규시즌을 앞두고 새 유니폼을 도입하였으며 1990년부터 써오던 로고에도 변화를 주었다. 유니폼 색은 여전히 붉은색이나 기존 유니폼들보다는 짙은 붉은색 유니폼으로 변경하였다.

파일:WEICHUAN_TSUNG-JU_YU.jpg
재창단 후 2021시즌 시범경기까지는 홈 유니폼은 오른쪽 가슴에 모자와 동일한 W로고를 새겼으며, 원정 유니폼은 주니치 드래곤즈의 필기체 Dragons를 새겼다.

파일:Tamiya_Dragons.jpg
모기업인 웨이취안의 기업로고가 빨간색이라 원년부터 쭉 빨간색 유니폼만을 사용하고 있다. 유니폼 디자인에 큰 변화없이 모자도 웨이취안의 W가 새겨진 디자인을 쭉 유지해 왔다. 단, 유니폼에 새겨진 명칭은 달랐는데 초창기에는 퉁이나 슝디처럼 한자로 웨이취안을 크게 새기기도 했고, 바로 위의 사진처럼 오른쪽에 기업 로고를 크게 새긴 적도 있었다.

홈 유니폼은 스트라이프와 민무늬의 두 가지 형태를 번갈아 사용하였다. 기업 로고를 새기던 시절 원정유니폼 중에는 붉은색이 아닌 회색 유니폼도 있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다저스 필기체와 똑같은 Dragons를 새긴적도 있었는데, 2019년 재창단하면서 원정은 이 유니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홈 유니폼에 이 필기체를 사용한 적은 드물었다.

재창단 전 푸방 가디언즈쉬성밍 감독 추모의 의미로 웨이취안의 유니폼을 모티브로 한 얼트 유니폼을 착용한 바 있다.

7. 기타



[1] 웨이취안 롱[2] 연고지 협약과 구장 위탁 계약은 여전히 유효하나 아래 언급되는 홈구장 문제로 사실상 타이베이 단독 연고가 된 상황이다.[3] 김덕칠에서 개명[4] CPBL의 가맹 순서는 다소 독특한데, 2003년 창단하여 2020년 인수된 라쿠텐 몽키스는 제 3구단인 반면 1993년 창단한 푸방 가디언스는 푸방이 인수한 2017년을 리그 가맹으로 쳐서 제 4구단 취급이다.[5] 여기에 한번 해체됐다는 것 때문에 현대 유니콘스와 묘하게 비슷한 점이 있다. 현대도 우승 4회로, 해체 당시에는 공동 2위였고 2016년 두산의 V5 전까지는 통산 3위였다. 그러나, 웨이취안 드래곤스는 부활한 반면 현대 유니콘스는 그룹이 국내 1위의 대기업에서 중견 기업으로 몰락했고 당시 모기업다른 야구단을 가지고 있던 그룹에 넘어가 부활이 불가능하다는 차이가 있다. 그 대신 선수단을 이어받은 사실상 후신 구단을 남기고 해체했지만 역사와 우승 기록을 인정 못 받으니(...) 논외.[6] 딩신이라는 대만 그룹 이름보다 캉스푸라는 중국 브랜드명으로 유명하다. 팍스콘처럼 중국에 주 사업장을 둔 대만 회사로 중국 최대 식품 회사다.[7] 현재 타이베이 아레나 자리에 위치했던 타이베이시립야구장은 슝디 엘리펀츠 그리고 싼상 타이거스와 함께 공동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14,000석의 개방형 구장으로 타이베이 시내에서 유일하게 프로 야구를 개최할 수 있는 구장이었다. 다만 당시에는 출장 경기도 많이 가졌기 때문에 3개 구단이 공동으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었다. 접근성 면에서 최고의 입지에 위치했는데 2014년 타이베이 아레나역이 생겨 접근성이 훨씬 좋아져서 아쉬울 뿐이다. 바로 인접한 곳에 쑹산공항도 있다.[8] 차이점이라면 브라운스는 해체 원인이 구단주가 클리블랜드를 떠나 다른 데에 팀을 만들기 위함이었고, 웨이취안은 모기업의 경영난이었다.[9] CPBL 리그는 낮경기는 일요일에만 그것도 봄에 잠깐 편성하는 정도다.[10] 참고로 이 해 드래프트에서 무려 28라운드까지 지명했다. 물론 10라운드 이하는 뎁스용으로 긁어본 것이라는 게 중론.[11] 2018년과 2019년 드래프트 지명자는 자동보호.[12] 가디언즈와 몽키스는 공동 꼴지.[13] 본인 인터뷰를 토대로 한 기사인데 팀명이 죄다 엉망이다. 그리고 본인은 시리즈 MVP를 받은 것으로 기억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MVP 외에 팀 별로 한 명씩 수여하는 우수선수상(優秀球員獎)을 획득하였다.[14] 단 하나의 변수로 현재 후기리그 3위를 기록하고 있는 중신 브라더스가 웨이취엔을 따라잡는것은 남은 경기에서 전승하는 급이 아닌 이상 어렵지만(웨이취엔이 10월 14일 기준 남은 2경기를 전승할 시 중신보다 윗순위, 1승 1패를 할 시 중신이 남은 경기를 전승하지 않는 한 윗순위, 전패할 시 중신이 6승 1패 이상 하지 못하면 윗순위다.) 라쿠텐과의 맞대결은 무려 4경기나 남아있기 때문에 여기서 3승 이상을 기록한다면 3위로 포스트시즌에 올라가고 라쿠텐을 떨어뜨리는 것도 가능한 상황이다.[15] 게다가 가오훙안 신주시장이 보좌관 급여 횡령 문제로 직무정지 상태다.[16] 나머지 5경기는 사실상 제2구장이 되어버린 더우류와 동부지역 중립경기에 배정된다.[17] 원래 라쿠텐 몽키스의 최고 인기 치어리더였으며 2023년에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 경기에 시구자로 초청받은 적도 있다. 라쿠텐의 유망주 마제선과 연인이었으나 결별했다. 1997년생.[18] 후에 김도현으로 개명, 아마추어 야구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19] 정작 용각산은 중신 브라더스 스폰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