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22:11:21

미쉐린 가이드

미쉐린가이드에서 넘어옴
<colbgcolor=#bd2333><colcolor=#ffffff> ✼✼✼
미쉐린 가이드
Michelin Guide
파일:Michelin Guide.png
창립일 1900년 ([dday(1900-01-01)]일, [age(1900-01-01)]주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텀블러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파일:샤오훙수.png | 파일:미디엄 아이콘.svg파일:미디엄 아이콘 화이트.svg | 링크바이오
1. 개요2. 역사3. 레드가이드
3.1. 선정 방식3.2. 등급
3.2.1. 스타 레스토랑3.2.2. 가이드 선정 레스토랑3.2.3. 빕 구르망(Bib Gourmand) 레스토랑3.2.4. 그린스타
4. 대한민국 등재
4.1. 레드가이드에 등재된 한국의 레스토랑
4.1.1. 미쉐린 가이드 서울
4.1.1.1. 스타 레스토랑
4.1.2. 미쉐린 가이드 부산
4.1.2.1. 스타 레스토랑
4.2. 레드가이드에 등재된 국외 한식 전문점
5. 비판

[clearfix]

1. 개요

프랑스타이어 제조 회사인 미쉐린이 매년 봄 발간하는 식당 및 여행 가이드 시리즈.[1]

숙박 시설과 식당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레드가이드>와 박물관, 자연경관 등 관광정보를 제공해 주는 부록 형태의 <그린가이드>가 있다. 이 중 흔히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듯 '식당에 별점 매기는' 가이드는 <레드가이드>다.

프랑스어로는 '기드 미슐랭(Guide Michelin)'이다. 기존에 흔히 '미슐랭 가이드'로 지칭했으나 한국지사에서 사명을 '미쉐린'[2]으로 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공식명칭도 '미쉐린 가이드'로 결정되었다. 그럼에도 회사의 바람과 달리 한국 사람들은 여전히 타이어는 미쉐린, 식당 가이드는 미슐랭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타이어 브랜드로서 '미쉐린'으로 불리는 경우가 훨씬 많지만[3] Michelin Guide는 '미슐랭' 가이드로 더 많이 불린다. 대한민국 한정으로 '미슐랭'은 맛집 관련 정보집을 연상시키는 단어로 인식되며, '미쉐린'은 타이어 회사의 상표로 자리잡혀 있다.[4] 그렇다 보니 이 둘이 같은 것을 지칭하는 걸 모르는 사람도 많은 편이다. 즉, 현 시점에서는 이미 쌍형어로 정착돼 버렸다고 봐도 무방하다.

앙드레 미슐랭은 "이 책은 20세기의 시작과 함께 태어났으며 20세기가 지속되는 한 남아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21세기로 넘어온 현재까지도 계속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이는 앙드레 미슐랭이 세기 구분을 잘 모르고 한 말인게, 1900년은 20세기의 시작이 아닌 19세기의 마지막 해이다.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지만, 새로운 세기의 시작은 00년부터가 아닌 01년부터이다. 이유는 (예수가 태어난) 원년이 0년이 아니라 1년이기 때문.[5]

2. 역사

미쉐린 가이드를 탄생시킨 미슐랭 형제는 마차용 고무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을 운영하고 있었으나 곧 고무 타이어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탈착식 타이어를 개발하여 크게 성공을 거뒀다.

1900년 프랑스 파리에서 만국박람회가 열렸는데, 이때 고객에게 무료로 나눠 주던 도로 안내 책자에서 출발했다. 처음에는 프랑스의 도로 정보와 정비소, 주유소 및 숙박시설 정보가 담겨있었으나 이 지도가 인기를 끌자 다른 나라들의 정보를 담은 책자들도 속속 발간되었다. 이 책자는 20여년간 무료로 제공되었으나 무료다 보니 물건 받침대 같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생겼는데 이를 인지한 미슐랭은 1922년 책자에서 광고를 빼는 대신 유료로 전환했다. 이와 함께 종류별 식당정보가 추가되었는데 이것이 인기를 끌자 1926년에는 별도의 식당 평가팀을 파견하여 등급을 매기게 되면서 식당지침서로 명성을 날리게 됐다. 그 후 100년의 세월 동안 엄격성과 정보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명성을 쌓아 오늘날 '미식가들의 성서'와 같은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프랑스에 이어 1957년부터는 모나코, 스위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영국, 아일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독일에 대한 레드가이드도 발간을 시작했으며, 이 이후로 일본, 홍콩, 마카오, 미국(샌프란시스코, 뉴욕, 시카고)이 추가되었고, 2015-16년에 중국, 싱가포르, 대한민국, 2017년에 브라질, 이후 태국, 대만, 러시아가 추가되었고 두바이도 예정되어 있다. 2023년 3월까지 전 세계에서 스타를 받은 레스토랑은 총 3400여개로, 1스타 레스토랑은 2743개, 2스타는 484개, 3스타는 139개이다.

3. 레드가이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식하는 미쉐린 가이드는 '레드시리즈'로서 1,300여 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책머리에 간단하게 실려 있는 여행 정보와 레스토랑 선택에 대한 몇 가지 조언을 빼면 그 방대한 분량은 전부가 식당과 호텔 정보에 할애되어 있다. 어찌보면 맛집 지도라고 할 수 있다.[6]

전담요원이 평범한 손님으로 가장해 한 식당을 1년 동안 5~6차례 방문해 직접 시식하고 평가를 내리는데 음식 맛, 가격, 맛의 일관성 등을 기준으로 일정 수의 식당을 엄선하고 다시 이들 가운데 뛰어난 식당에 별(1-3개)을 부여해 등급을 매긴다. 최고 등급인 별 3개를 달게 되면 성대한 시상식을 치르며 별 3개를 달게 되는 요리사는 최고의 명성을 가지게 된다.

3.1. 선정 방식

원칙적으론 가이드의 평가원(Inspector)은 요식, 호텔, 케이터링 업계 경력이 있는 미쉐린사의 정직원이다. 이들은 해당 지역에 대해 타당성 조사가 몇 차례 진행된 뒤에 투입된다. 평가원은 절대로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으며, 당연히 모든 요리 대금을 지불한다.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에는 갑자기 암행어사처럼 미쉐린 가이드의 조사원이 출두해서는 가난한 주인공에게 별 3개를 주거나 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지만 사실은 이와 전혀 다르다.

가이드 발간을 위해 편집자들과 평가원들이 동석한 자리에서 별점 수여 여부를 결정하는 스타세션이 진행된다. 이 과정은 만장일치가 원칙이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올 때까지 적어도 세 차례 이상 다른 평가원들이 식당을 방문해 심사를 하게 된다.

다만, 위와 같은 절차는 어디까지나 '원칙'으로, 국가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미쉐린 가이드 서울"의 경우엔 한국 지사 정규 직원이 아닌 관련 업계 전문가를 계약직 평가원으로 고용하여 평가를 진행하며 외부 전문가들도 평가[7]에 참여한다. 이들은 평가 결과를 놓고 여러 차례의 집단 토의를 하며, 평가 결과의 근거를 확보하고 보정한다. 물론 이들은 자신이 평가원으로 참여한 사실을 평생 비밀로 유지해야 한다. 미쉐린 가이드 서울의 평가원들 역시 모든 요리 대금을 지급하나, 가이드 파트너사들 중에 식음 업체가 없진 않아서 결과 발표시 항상 편향성 논란이 일기도 한다.

여기서 한번 받았다고 끝이 아니며, 정기적으로 재심사를 걸쳐 재고의 여지가 있으면 별을 박탈하므로[8] 무작정 별을 받았다고 안심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한편 평가원들의 평가 기준은 다음의 다섯 가지다.
보면 알 수 있듯, 철저하게 '요리'에 대한 평가이며 식당의 '분위기'나 '서비스'는 고려하지 않는다. 가이드에서 '식당의 편안함, 분위기, 서비스, 식기는 별점(스타)의 고려사항이 아닙니다.'라고 공지하고 있을 정도다.[9] 정확히 말하면 편안함이나 서비스는 별점 평가와 다른 별도의 픽토그램 수여를 하고 있다.

그러므로 '미쉐린 가이드에서 별 3개의 심사 기준은 분위기이며 레스토랑에 발을 들이는 순간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인테리어, 테이블웨어, 음식, 와인 등을 아우르는 'total experience'로서의 파인다이닝을 다룬다'는 주장은 따라서 엄밀히 말해 옳은 해석은 아니다. 이를테면 2016년 싱가포르 레드가이드에서 음식 가격이 1.85달러(약 2천원)에 불과한 치킨과 누들 노점[10]이 별점을 받은 일 등이 좋은 예이다. 별점 두세 개 정도 되면 몸값이 높은 셰프가 있는 고급식당인 경우가 많다. 당연히 이런 고급식당일수록 분위기나 서비스가 좋기 마련이기 때문에 으레 서비스도 같이 보는구나하고 생각해 상기와 같은 오해가 생긴 듯하다. 좋은 음식을 만들기 위해선 필연적으로 좋은 재료와 도구가 따라붙기 마련이므로, 대체로 3스타를 받을 정도의 레스토랑은 최고급 시설과 재료를 갖추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요리의 가격 또한 비싸지는 것이다.

3.2. 등급

3.2.1. 스타 레스토랑

<colcolor=#bd2333> ✼ ✼ ✼ 3스타: 요리가 매우 훌륭하여
특별한 여행을 떠날 가치가 충분한 식당

(Exceptional cuisine, worthy of a special journey)
✼ ✼ 2스타: 요리가 훌륭하여 멀리 찾아갈 만한 식당
(Excellent cooking, worth a detour)
1스타: 요리가 훌륭한 식당
(Very good cooking in its category)
자동차여행 가이드북으로 시작한 가이드답게 각각의 별점에는 여행자를 위한 맥락이 담겨 있다. 별 한 개(★)는 해당 지역을 방문하면 들러볼 가치가 있는 요리가 훌륭한 음식점이라는 뜻이다. 다음으로 별 두 개(★★)는 본래의 목적지에서 다소 떨어진 지역이더라도 길을 우회(detour)해서 방문할 만한 가치가 있는 요리가 훌륭한 음식점이라는 뜻이다. 끝으로 별 세 개(★★★)는 오직 이 음식점을 방문하기 위한 목적만으로도 해당 지역에 여행(journey)을 떠날 가치가 있는 요리가 매우 훌륭한 음식점이라는 뜻이다.

등급 외적으로도 현실적 별의 가치는 매우 높다. 별 1개만으로도 가게의 매출이 평생 보장받을 정도며, 별이 2개나 3개쯤 되면 세계적인 장인 수준이다. 특히 별 3개의 레스토랑은 약 17,000여개의 표본 중에 그 수가 채 1%도 되지 않으므로 그 수준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 짐작케 한다. 2024년 기준 3스타가 가장 많은 나라는 프랑스로 총 30개점이며 일본, 스페인, 이탈리아, 미국이 그 뒤를 잇는다. 2스타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으로 총 82개점이며 그 뒤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미국 총 별의 수로는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순이다.

3.2.2. 가이드 선정 레스토랑

가이드 선정 레스토랑은 주목할 만한 새로운 레스토랑, 혹은 스타에서 강등되었으나 여전히 훌륭한 음식을 제공하면서 또한 아래 빕구르망 가격 요건에 들어가지 않는 레스토랑 등 미쉐린 가이드에 리스트 되어있는 레스토랑 목록을 말한다.

3.2.3. 빕 구르망(Bib Gourmand) 레스토랑

빕 구르망은 가이드 레스토랑에 견주지는 못하지만 유럽에서는 35유로 이하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충분히 맛볼 수 있는 음식이 훌륭한 식당에 부여하며 대한민국 서울에서는 4만 5000원 이하 가격으로 맛볼 수 있는 식당에 부여한다. 이에 더해 더 플레이트도 생겼는데 2016 미쉐린 가이드 파리에서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한국에서는 미쉐린 가이드 서울 2018부터 적용되었다. 좋은 요리를 맛볼 수 있는 식당들을 뽑는다고 하는데 가격이 저렴하지는 않지만 빕 구르망에 준하는 식당 정도인 듯. 더 플레이트는 2020년부터 셀렉티드라는 명칭으로 변경됐다.

3.2.4. 그린스타

미쉐린 그린 스타는 2020년에 프랑스를 시작으로 2021년부터 모든 국가에 적용됐는데 식재료의 윤리적 및 환경적 기준을 가지고 가치를 평가하기 때문에 맛과 서비스 항목인 별의 등급과 별개로 취급되며 별과 함께 중복으로 받을 수 있다.

4. 대한민국 등재

홈페이지

식당, 호텔 정보를 다룬 레드가이드는 홍콩&마카오, 상하이 (중국)// 도쿄, 오사카&교토 (일본)[11]// 싱가포르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4번째로 대한민국 서울 편이 2016년 11월 7일에 공개되었다.# 지방의 음식점이나 제과점도 소개되고 있다. 서울에 이어 7년여만에 부산이 대한민국 미쉐린 레드가이드 도시로 선정되어 2024년 2월 발간되는 미쉐린 가이드부터 등재된다.

그린가이드는 2011년에 이미 발간되었다.[12] 다른 그린 가이드보다 분량이 많은 편이며 대한민국의 경제성장과 높은 자살률, 개고기 문화에 대한 오해, 화려한 밤문화 등을 다루고 있다.

4.1. 레드가이드에 등재된 한국의 레스토랑

4.1.1. 미쉐린 가이드 서울

4.1.1.1. 스타 레스토랑
<rowcolor=#ffffff> 연도별 합계 스타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colbgcolor=#8f8f8f><colcolor=#ffffff> ✼✼✼ 2 2 2 2 2 2 2 1
✼✼ 3 4 5 7 7 7 8 9
19 18 19 22 23 24 25 23
<rowcolor=#ffffff> 레스토랑별
코리안 이노베이티브
모수
✼✼ ✼✼ ✼✼ ✼✼✼ ✼✼✼
폐업[13]
한식
권숙수
✼✼ ✼✼ ✼✼ ✼✼ ✼✼ ✼✼ ✼✼ ✼✼
한식
라연
✼✼✼ ✼✼✼ ✼✼✼ ✼✼✼ ✼✼✼ ✼✼✼ ✼✼ ✼✼
컨템퍼러리
레스토랑 알렌new
✼✼
일식
미토우new
✼✼
코리안 컨템퍼러리
밍글스
✼✼ ✼✼ ✼✼ ✼✼ ✼✼ ✼✼
이노베이티브
스와니예
✼✼ ✼✼
이노베이티브
알라 프리마
✼✼ ✼✼ ✼✼ ✼✼ ✼✼ ✼✼
코리안 컨템퍼러리
정식당
✼✼ ✼✼ ✼✼ ✼✼ ✼✼ ✼✼ ✼✼
스시
코지마
✼✼ ✼✼ ✼✼ ✼✼ ✼✼ ✼✼ ✼✼
프렌치 컨템퍼러리
강민철 레스토랑
재패니즈 컨템퍼러리
고료리켄
프렌치 컨템퍼러리
라망시크레
프렌치
라미띠에
일식
무니
이노베이티브
무오키
한식
비채나
컨템퍼러리
빈호new
컨템퍼러리
세븐스도어
한식
소설한남
컨템퍼러리
소울
코리안 컨템퍼러리
솔밤
스시
스시마츠모토
이노베이티브
에빗
한식
온지음
한식
윤서울
이노베이티브
이타닉 가든
이노베이티브
익스퀴진
이노베이티브
임프레션new
✼✼ ✼✼ 휴업
휴업[14]
이노베이티브
제로 컴플렉스
아시안
코자차
스시
하네
중식
호빈new
한식
가온[15]
✼✼✼ ✼✼✼ ✼✼✼ ✼✼✼ ✼✼✼ ✼✼✼ ✼✼✼
폐업
한식
곳간
✼✼ ✼✼ 폐업
프렌치 컨템퍼러리
다이닝 인 스페이스
폐업 [재개업]
이노베이티브
도사
폐업
스패니시
떼레노

폐업
[재개업]
이탤리언 컨템퍼러리
리스토란테 에오
[평가철회요청]
이노베이티브
묘미

폐업
사찰음식
발우공양
바비큐
보름쇠
프렌치 컨템퍼러리
보트르 메종
폐업
스시
스시상현
프렌치 컨템퍼러리
스테이
프렌치
오프레
폐업
중식
유 유안
코리안 컨템퍼러리
이십사절기
폐업[19]
한식
이종국104
폐업 [재개업]
테판야키
일판
코리안 컨템퍼러리
주옥
✼✼ ✼✼ 폐업[21]
중식
진진
게장
큰기와집
유러피안 컨템퍼러리
테이블포포
한식
프렌치 컨템퍼러리
피에르 가니에르
✼✼
한식
하모
한식
한식공간
폐업[22]
그린스타 신설[23]
지중해식
기가스
한식
꽃밥에피다
두부
황금콩밭

=====# 가이드 선정 레스토랑 #=====
=====# 빕 구르망 레스토랑 #=====
<rowcolor=#ffffff> 연도별 합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35 48 61 60 60 61 57 57
<rowcolor=#ffffff> 레스토랑별
만두 / 종로구
개성만두 궁
게장 / 강남구
게방식당
곰탕 / 성동구
계월곰탕new
돼지국밥 / 중구
광화문 국밥
우동 / 마포구
교다이야
바비큐 / 용산구
교양식사
만두 / 용산구
구복만두
바비큐 / 중구
금돼지 식당
한식 / 종로구
꽃, 밥에 피다
바비큐 / 서초구
꿉당
냉면 / 중구
남포면옥
라멘 / 마포구
담택new
도가니탕 / 종로구
대성집
설렁탕 / 마포구
마포옥
만두 / 강남구
만두집
족발 / 중구
만족 오향 족발
타코 / 성동구
맷돌new
라멘 / 중구
멘텐
칼국수 / 중구
명동 교자
메밀국수 / 종로구
미진
베지테리언 / 마포구
베이스 이즈 나이스
만두 / 서초구
봉산옥
육회 / 종로구
부촌육회
라멘 / 마포구
사루카메new
수제비 / 종로구
삼청동 수제비
타이 / 강남구
소이연남마오
소바 / 서초구
스바루
아시안, 싱가포리안 / 강남구
원 디그리 노스
돼지국밥 / 종로구
안암new
메밀 국수 / 서초구
양양 메밀 막국수
이탤리언 / 용산구
에그 앤 플라워
불고기 / 마포구
역전회관
라멘 / 마포구
오레노 라멘
돼지국밥 / 마포구
옥동식
추어탕 / 중구
용금옥
냉면 / 중구
우래옥
누들 / 종로구
우육면관
메밀 국수 / 중구
유림면
칼국수 / 서초구
임병주 산동 칼국수
만두 / 종로구
자하 손만두
국수 / 광진구
정면
면 / 서대문구
정육면체
냉면 / 영등포구
정인면옥
냉면 / 강남구
진미 평양냉면
중식 / 마포구
진진
타이 / 마포구
툭툭 누들 타이
딤섬 / 강남구
팀호완
이탤리언 컨템퍼러리 / 성동구
팩피
냉면 / 중구
필동면옥
곰탕 / 중구
하동관
족발 / 종로구
할매집
곰탕 / 마포구
합정옥
우동 / 강남구
현우동
타이 / 종로구
호라파new
게장 / 영등포구
화해당
두부 / 마포구
황금 콩밭
칼국수 / 종로구
황생가 칼국수
탄탄면 / 중구
금산제면소
냉면 / 강남구
능라도
칼국수 / 서초구
목천집 (앵콜칼국수)
소바 / 서초구
미나미
소바 / 강남구
미미면가
코리안 컨템퍼러리 / 종로구
미쉬매쉬
[[#|
]]
칼국수 / 성동구
밀본
두부 / 서초구
백년옥
냉면 / 송파구
봉피양
생태탕 / 종로구
부산식당
[[#|
]]
타이 / 용산구
부아
[[#|
]]
폐업
한식 / 종로구
북막골
폐업
중식 / 강남구
산동교자관
바비큐 / 용산구
세미계
폐업
한식 / 중구
아리랑
[[#|
]]
한식 / 용산구
안씨막걸리
야키토리 / 마포구
야키토리 묵
타이 / 용산구
어메이징 타이
베트남 / 종로구
에머이
[[#|
]]
족발 / 강남구
오가네 족발
바비큐 / 용산구
오근내 닭갈비
냉면 / 중구
오장동 함흥냉면
한식 / 강남구
오통영
한식 / 종로구
용수산
[[#|
]]
타이완 / 용산구
우육미엔
우동 / 영등포구
이나니와 요스케
설렁탕 / 종로구
이문 설농탕
이탤리언 / 종로구
이태리재
[[#|
]]
한식 / 용산구
일호식
폐업
칼국수 / 종로구
찬양집
바비큐 / 중구
충무로 쭈꾸미 불고기
두부 / 강남구
피양콩 할마니
유러피언 / 강남구
필레터
[[#|
]]
한식 / 강남구
한일관

4.1.2. 미쉐린 가이드 부산

4.1.2.1. 스타 레스토랑
<rowcolor=#ffffff> 연도별 합계 스타 2024
3
레스토랑별
일식 / 해운대구
모리
컨템퍼러리 / 남구
팔레트
이탤리언 / 해운대구
피오또
/

=====# 가이드 선정 레스토랑 #=====
25new
=====# 빕 구르망 레스토랑 #=====
<rowcolor=#ffffff> 연도별 합계 2024
15
<rowcolor=#ffffff> 레스토랑별
라멘 / 해운대구
나가하마 만게츠
타이완 / 수영구
뉴러우멘 관즈
냉면 / 부산진구
담미옥
장어 / 수영구
동경밥상
비건 / 수영구
러브얼스
타이완 / 부산진구
바오하우스
냉면 / 해운대구
부다면옥
장어 / 북구
슌사이쿠보
비건 / 영도구
아르프
돼지국밥 / 수영구
안목
야키토리 / 부산진구
야키토리 온정
이탤리언 / 부산진구
코르 파스타바
타이완 / 수영구
피리피리
돼지국밥 / 남구
합천국밥집
일식 / 해운대구
해목

4.2. 레드가이드에 등재된 국외 한식 전문점

5. 비판

음식의 맛에 절대적 기준을 부여해서 등급을 나눈다는 발상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있다. 좋아하는 맛이나 음식의 호불호는 사람마다 매우 다르다. 하지만 '미쉐린의 별' 때문에라도 먹게 되고, 보통의 소비자는 본인의 주관과는 무관하게 맛있다는 심리적인 만족과 안정을 느낄 여지가 있다. 마치 고가의 음식은 반드시 맛있을 거라 생각하는 것처럼.[32] 그리고 별을 받기 위해서는 꽤 많은 돈을 내야 한다고 하는데, 그것으로 마케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영국의 가디언지는 인터뷰를 실어 "가이드의 주요 목적은 문화제국주의의 도구이다." 라고 비판했다. 일본에서는 미쉐린가이드에 대해서 여러 비판이 있는데, 등급을 매김으로써 우열을 만들어 버리고, 특정 요리에 집중되어 있다는 등 서양인에게 접대하기 좋은 가게만 선정되며, 이러한 미쉐린 가이드를 보고 일본인이 맛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도 한다. 무엇보다 현지인이 아니라 해당 식문화에 익숙하지도 않고, 몇번이나 올지도 모르는 외국인들이 미쉐린 가치를 판단하는것부터 모순되지 않았냐는 평가도 있는 편이다.

아사히 파리 지국장은 성급한 일본진출, 졸속한 가이드 만듦에 대해 이야기하였으며, 오사카, 도쿄 가게들 일부가 사진촬영 금지하고 가이드에 실리는 것을 거부했으나 결국 미쉐린 측은 강제로 실었는데, 실린 것만으로 뽑히게 된 것이라 이야기한다. 이에 대해 미쉐린 비판자인 파스칼 레미도 미쉐린이라는 브랜드와 권력을 위해 이미지를 높이는 전략에 불과하다고 평했다.

미슐랭 가문 출신이 아니며 2000년 중반에 취임한 장 뤽 나레 회장은 최고급 호텔에서 여러 요리사와 인맥을 쌓은 매니저 출신으로, 미쉐린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미쉐린을 약 16년 동안 조사하고 비판한 파스칼 레미는 인터뷰에서 평가 시스템이 엉성하기 그지 없으며, 좋은 평가를 받는 식당 중 평가원들이 1년에 한번도 들르지 않은 식당이 수두룩하다고 이야기했다. 심지어 2005년 뉴욕에서 처음 발간되었을 때, 비평가들이 평가 시스템을 강력하게 비판한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별 덕분인지 가이드가 당시에 붐을 이뤘다고 하며 뉴욕의 2배 가량 가게 매출이 올랐다고 한다.[33][34] 인구가 적은 홍콩, 마카오의 경우 출간 한해에만 합 70개의 별이 쏟아진 사례가 있다. 심지어 미쉐린 식당은 그 값어치를 하지 못하고 그냥 동네의 저렴한 식당이 더 낫다고 평가한 비평가, 그리고 너무 비싼 음식만 중시, 음식에 사치 조장, 패권주의, 서민과 다른 개념 등 여러 비판을 받고 있다. 모나코의 경우에도 그 작은 나라에 지금 3스타 식당이 2곳이나 있다.

아무래도 미쉐린이 프랑스 회사인 만큼 프랑스 내부나 서부 유럽에 한해서는 자주 조사가 행해지고 철저하게 행해지기에 상당히 정확하지만, 타 대륙은 조사나 검증도 불성실한 편도 사실이고 특히 유럽 대륙 중에서도 일부를 빼고는 제대로 평가조차 되지 않았다.[35] 실제로 미쉐린 가이드에게 돈을 줘야 이름을 올릴 수 있다고 한다.[36] 인도 요리가 전 세계 어느 요리와 비교해도 절대로 떨어지지 않음에도 미쉐린 가이드에 등재되어있지 않은 이유가 이 때문. 특히나 미쉐린과 별개로 따로 세계 레스토랑을 발표하는 'Restaurant'에서 아시아판 Top50위에 가장 많이 들어가는 게 인도 레스토랑이다. 당장 1위도 태국의 인도 레스토랑이고 우리에겐 생소한 스리랑카 레스토랑도 2곳이 포함되어 있다[37]. 레드가이드 2012년판 기준으로 홍콩, 마카오 지역에 69개[38], 일본의 경우 317개가 있지만 중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선 아직 스타를 부여하지 않았다. 북유럽 및 남부 유럽의 경우엔 저평가 아니냐는 논란이 많은데, 아무래도 기준이 미쉐린의 본사가 있는 프랑스 요리 기준이라 그런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도 가장 많은 미쉐린 스타를 받은 국가는 프랑스이며, 북쪽이나 남쪽의 경우 그 수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나마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는 3스타가 나라마다 열 곳 정도 되는데 북유럽은 다 합쳐서 3개 정도다. 덴마크에 있는 다른 기관에서는 모두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이라고 불리는 곳도 미쉐린에서만 2스타의 대접을 받는다.

혹시 주변에 미식 취미가 있는 아저씨가 있다면 한국편에서 소개된 식당에 대해 물어보는 것도 좋다. 십중팔구 맛있는 집, 가볼만한 집이라는 대답이 돌아오긴 하지만... 같은 메뉴를 취급하는 다른 식당들에 비해서 특출나게 좋은 식당이냐고 물어보면 딱히 그렇지는 않다거나 자기 기준에서는 다른 집이 더 낫다는 대답이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즉, 나름 납득 가능하고 신뢰할만한 기준으로 평가하기는 하지만 특히 한국처럼 조사의 빈도와 밀도가 불충분한 지역에서는 어떤 이유로든 조사원과 인연이 닿은 식당만 소개되고 그 못지 않은 다른 식당은 언급되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가이드북의 특성상 이런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롭기는 어렵지만, 조사의 밀도와 빈도가 낮을수록 이런 문제가 더욱 두드러질 수 밖에 없으므로, 다양한 참고자료 중 하나 이상의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즉, 가장 공신력있고, 유명하며, 업계에서 가장 권위가 높은 가이드북이기는 하나, 결국에 그 본질은 가이드북인만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절대적인 척도로 간주하기에는 어렵다는 것이다. 매우 유용한 세계적 범위의 맛집 참고 자료 정도로 보는 것이 좋고, 미슐랭만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는 것은 지양해야 만족스러운 식사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미쉐린 가이드는 많이 팔리는 책이 아닌데, 2008년 처음 일본에서 출간되었을 때 한 대형서점에서 2만권 전권 매진시키면서, 이후에 마케팅을 강화해 평가 가게를 늘리고 2014년판까지 나왔다. 해외판으로서는 매우 드문 일이었다고. 하지만 2010년에는 별 3개(일본), 2013년에 별 2개(덴마크), 2016년도에 여름도 아닌데 식중독에 걸린 사례(일본)가 있어 선정 기준에 논란이 있다.

이 외에도 돈을 받고 별을 달아주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 해외에서도 간혹 제기되던 의혹인데 2019년 11월, 2020 미쉐린 가이드 서울편 발표되기 직전, 한식당 윤가명가의 윤경숙 대표가 미쉐린이 돈을 받고 별을 달아준다고 주장했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자신의 언니는 일본에서 2스타를 받은 한식당 윤가(尹家 ginza)의 쉐프인데, 언니로부터 어니스트 싱어라는 미쉐린 컨설턴트를 소개받았다고 한다. 어니스트 싱어는 연 4만불과 그의 항공비, 숙박비 등 연 약 2억원을 제공하면 다른 두 식당과 함께 서울편 3스타를 달아주겠다는 얘기를 하였는데, 계약서에 사인까지 하였지만 변심하여 계약을 파기하였다. 결국 2017 서울편에선 자기 식당 이름이 언급도 안되었다고 한다. 이 주장은 사실 예전부터 하였으나 최근 윤경숙 대표와 어니스트싱어간의 미쉐린 출간 과정에 대한 채팅 내용이 공개되고 제도권 언론을 통해 보도되어 더욱 주목을 받았다. # 당연한 얘기지만, 미쉐린 측은 강하게 부정하고 있는 상태.

미쉐린 가이드 서울 한정으로 스타 레스토랑 선정 시 정말 식당의 분위기와 서비스가 평가 요소가 아니냐는 의문도 있다. 미쉐린 가이드 서울의 스타 레스토랑 중에선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상술된 싱가포르의 누들 노점과 같은 식음업장은 단 한 곳도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반 대중에서 맛보다는 플레이팅과 접객으로 승부를 본다고 평가받는 식음업장들이 스타 레스토랑에 지속적으로 선정되는 경우도 없지 않기 때문에, 미쉐린 가이드 서울의 평가 방식이 제대로 된 것인지 의문을 표하는 경우도 있다.

2021년 1월 미슐랭이 '미슐랭 가이드 2021'을 발표한다고 하자 지난 한 해 동안 대부분의 식당들이 제대로 영업을 못했는데 평가가 객관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냐라는 비판이 나왔다.#

더불어, 미슐랭 가이드에 오른 식당들이 문닫은 경우도 많다. 워낙에 많은 재료비에 인건비에 시달려서 못 버틴다는 것. 미슐랭 가이드 최고 레스토랑 1위에 여러 번 오른 덴마크 레스토랑 노마는 2023년 12월에 문닫아버렸다. 주방장이자 사장조차도 도저히 버틸 수가 없다라고 적자에 시달리면서 스트레스도 받아 그만 쉰다고 SNS로 심정을 밝혔다.

미쉐린 가이드에 돈을 줘야 올려준다는 취지의 다큐멘터리

이런 사항을 다룬 영상

- 기타 기사들

[1] 이와 비슷하게 기네스 세계 기록기네스라는 맥주회사가 발표한다.[2] 정확히는 '미쉐린 코리아'[3] 타이어를 찾는 사람이 '미슐랭' 타이어를 찾는 경우는 거의 없다.[4]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미슐랭'으로 불리는 경우가 더 많다. 반면 뉴스에서는 '미쉐린'으로 불리는 빈도가 많은데 정확한 공식 명칭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뉴스 기사에서 인명이나 지명 등의 자막이 잘못되었을 시에는 VOD에서 정정을 해 주지만 예능 프로그램이나 시사교양(소위 '정보' 프로그램)에서는 방통위에 진정이 들어가지 않는 한 아무리 항의해도 이미 나간 방송은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버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5] 기원전 1년의 바로 다음해는 0년이 아니라 기원후 1년이라서 1세기는 1년부터 100년,2세기는 101년부터 200년 이런 식이다. 마찬가지로 2000년 또한 21세기의 시작이 아닌 20세기의 마지막 해.[6] 저 시기야 자동차 수리부터 개조까지 일일이 알아서 해야 했지만 (그래서 과거에는 '운전'라고 불렸다. 운전 방법도 현재의 차량과는 전혀 달랐다. 포드 모델 T 문서 참조.) 지금은 카센터도 있고 현지에서도 부르면 정비공이 오기도 하니 흐지부지되었다.[7] 조리과학과 교수, 언론사 문화부 기자, 관광회사 임원, 네임드급 리뷰어 등이 있다.[8] 실제로 고든 램지의 경우 경영중인 식당을 전부 합쳐서 제일 많을 때는 미쉐린 스타 16개를 보유했으나, 현재 기준으로 9개나 별을 박탈당했다.[9] 즉, 노점상에서 일회용 그릇에 음식을 내와도 별을 받을 자격이 있다.[10] Liao Fan Hong Kong Soya Sauce Chicken Rice Noodle이라는 곳으로 2018년에도 원스타를 유지했다. 아직까지 싱가포르 2019년판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11] 일본은 이외 지역도 많이 실려 있는데 삿포로에만 3스타가 4곳이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홋카이도 지역에 대해서 2012년, 2017년 미쉐린 가이드 특별판이 나왔던 것이다.[12] 한때 이것 때문에 한국에도 미쉐린 스타 받은 식당이 있다고 잘못 알려졌다.[13] 사업자등록번호 627-85-00627, 폐업일자 2024년 3월 15일, 하얏트 호텔 근방으로 이전하여 2025년 2월 이후 재개업 예정[14] 재개업 후 별을 획득했으나 재휴업[15] 화요를 판매하는 광주요에서 운영하는 식당이다. 특이하게 본업이 도자기 제작인데, 식당에 광주요에서 만든 도자기를 사용한다.[재개업] [재개업] [평가철회요청] [19] 두레유로 재오픈[재개업] [21] 뉴욕 이전 예정[22] 레스토랑주은으로 통개편[23] 띄어쓰기가 공식 사이트에서도 있다가 없다가 하는 등 정확한 표기 확인은 어렵다. 영어 명칭은 띄어쓰기가 있는 Green Star로 통일되어있다. 영문 국문[24] 2017년 Simon Kim 쉐프가 오픈하여 다음 해 바로 스타 등재[25] 뉴욕에서 Atoboy라는 캐주얼 식당을 운영하던 정식당에서의 경력이 있는 Junghyun Park 쉐프가 2018년 오픈하여 다음 해 바로 스타 등재[26] 폐업[27] 한국인 쉐프인 Corey Lee 운영[28] 3스타 Benu의 쉐프 Corey Lee의 세컨드 업장[29] 뉴욕의 Cote 세컨드 업장, 오픈한지 1년만에 스타 등재[30] 2020년 밍글스 강민구 쉐프가 오픈 (헤드 쉐프: 이상근) 2021년 현재 장소로 이전 후 다음 해 바로 스타 등재. 홍콩 한식당 중 첫 번째 스타 기록[31] 박웅철 쉐프가 아내 기보미 파티시에와 운영하는 곳. 한국인 쉐프로는 유럽에서 최초로 스타 기록[32] 미쉐린스타를 받은 식당이 모두 고급 레스토랑은 아니다. 싱가포르의 '호커 찬'과 '힐 스트리트 타이 화 포크 누들'은 노점상임에도 미쉐린 1스타이다.[33] 음식평론가는 일본만큼 프랑스 디자이너에 집착하는 나라도 적다며 매출은 프랑스 브랜드 때문이라고 평가한다.[34]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첫 도쿄판의 5명의 조사원 중 2명이 일본인, 3명이 프랑스인이었다라고 하며, 최근판에서는 7명 조사원 모두가 일본인이 감독했다고 한다.[35] 대한민국, 일본, 홍콩, 마카오, 중국만이 발매되었다. 차후 대만, 태국, 두바이 편이 발간예정. 미국도 샌프란시스코, 뉴욕, 시카고 말고는 없다.[36] 한국은 미쉘린에게 무려 20억을 냈다고 한며 태국은 정부 예산 50억을 냈다.[37] 그러나 이 가이드도 완전히 신뢰하기는 무리인 것이, 아시아판의 스폰서가 상당수 태국 기업이고 유럽판의 스폰서는 거의 이탈리아 기업인데 높은 순위를 받은 레스토랑들의 국적과 높은 상관을 보인다.[38] 현재는 비브 구르망 포함 300개 가까이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