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주요 지역 정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네소타 | ■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 |||
노스다코타 | ■ 노스다코타 민주-무당파연맹 | ||||
버몬트 | ■ 버몬트 진보당, ■ 그린 마운틴 평화정의당 | ||||
뉴욕 | ■ 뉴욕 독립당, ■ 뉴욕 보수당, ■ 뉴욕 자유당, ■ 뉴욕 생명권당 | ||||
캘리포니아 | ■ 평화자유당, ■ 미국 독립당 | ||||
알래스카 | ■ 알래스카 독립당 | ||||
푸에르토리코 | ■ 신진보당, ■ 대중민주당, ■ 시민승리운동, ■ 푸에르토리코 독립당, ■ 프로옉토 디그니다드 | ||||
( 중앙 정당 · 지역 정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미네소타 주의회 원내 구성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원 • 하원 의석 | ||
<rowcolor=#fff> 여당 | 야당 | ||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34석 • 70석 ]] | [[공화당(미국)| 미네소타 공화당 33석 • 64석 ]] | ||
<rowcolor=#fff> 재적 67석 • 134석 | }}}}}}}}} |
<colbgcolor=#223a59> Minnesota Democratic–Farmer–Labor Party (DFL) | |
<colcolor=#fff> 한국어 명칭 |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
창당일 | 1944년 4월 15일 |
전신 | 미네소타 민주당 미네소타 농민노동당 |
중앙당사 | 255 Plato Boulevard East 세인트 폴, 미네소타 |
이념 | 현대자유주의 진보주의 친노조 |
대표 | 켄 마틴 |
주지사 | 팀 월즈 |
부주지사 | 페기 플래너건 |
주 상원 원내대표 | 수전 켄트 |
주 하원의장 | 멀리사 호트먼 |
연방 상원의원[A] | 2석 / 100석 (2%) |
연방 하원의원[A] | 5석 / 435석 (1.15%) |
주 상원의원 | 33석 / 67석 (49.3%) |
주 하원의원 | 70석 / 134석 (52.2%) |
당색 | 파란색 (#223A59, Blue) |
제휴 정당 | |
청년 조직 | 젊은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MYDFL) |
웹사이트 | |
SNS |
[clearfix]
1. 개요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은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활동하는 개혁적 자유주의, 진보주의 지역정당이며 주지사와 주의회 하원 의석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정당이다.2. 역사
1944년에 미네소타주 민주당[3]과 미네소타 농민노동당[4]의 합당으로 설립됐다.지역정당이지만 연방의회 상하원 선거에도 출마하고 당선도 꽤 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정당은 민주당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어 1944년 이후로 연방의회에서 전원이 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한다. 주지사도 상-하원의원들도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출신이 정말 많다.
그래서 미네소타가 지역구인 민주당 당적의 연방 상·하원의원들은 모두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당적도 함께 보유하게 되는데, 미네소타 연방 상원의원이었던 전 부통령 휴버트 험프리, 월터 먼데일 등이 대표적으로 민주당 당적뿐만 아니라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당적 역시 함께 보유하고 있었다. 특히 험프리는 미네소타주 민주당과 미네소타 농민노동당의 합당을 이끌어낸 주요 인물 중 하나였다.
3. 민주당과의 관계
미국의 민주당과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은 별개의 정당이다. 다만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니며, 민주당과 제휴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소속의 연방 상원의원과 하원의원들은 연방의회에서 민주당과 함께 활동한다.4.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소속 정치인
4.1. 부통령
4.2. 주지사
- 플로이드 B. 올슨 : 미네소타 제22대 주지사
- 마크 데이턴 : 미네소타 제40대 주지사
- 팀 월즈 : 미네소타 제41대 주지사
4.3. 상원의원
- 헨리크 쉽스테드 : 미네소타 제68~79대 연방상원의원[5]
- 유진 매카시 : 미네소타 제86~91대 연방상원의원
- 폴 웰스턴 : 미네소타 제102~107대 연방상원의원
- 에이미 클로버샤 : 미네소타 제111~118대 연방상원의원
- 티나 스미스 : 미네소타 제116~118대 연방상원의원
- 매그너스 존슨
- 어니스트 런딘
4.4. 하원의원
- 윌리엄 레이턴 카스 : 미네소타 8구 제66대, 69~70대 연방하원의원[6]
- 올레 J. 크올리 : 미네소타 7구 제68~71대 연방하원의원[7]
- 베티 맥컬럼 : 미네소타 4구 제107~118대 연방하원의원
- 딘 필립스 : 미네소타 3구 제116~118대 연방하원의원
- 앤지 크레이그 : 미네소타 2구 제116~118대 연방하원의원
- 일한 오마르 : 미네소타 5구 제116~118대 연방하원의원
[A] 연방의회에서는 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A] [3] 전국단위 민주당의 지역당[4] 카이저라이히를 해본 호이4 게이머라면 한번 정도는 들어봤을 플로이드 B. 올슨이 이 당 출신이다.[5] 상원의원 재직기간이 총 18년으로, 26년에 걸친 임기를 2번으로 나눠 지낸 휴버트 험프리 다음으로 오랫동안 활동했다. 당내에서 부상하는 반공주의 노선 문제와 개인적인 반유대주의 관점 때문에 77대 국회 임기가 시작하는 1941년부터는 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겼다.[6] 민주농민노동당과 전신인 농민노동당을 통틀어서 최초로 배출한 연방 단위 정치인이다.[7] 성은 (/kwɒli/;)로 발음한다. 아들인 폴 J. 크올리 또한 지역구를 물려받아 제71~75대 연방하원의원직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