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47a0><colcolor=#fff> 광복 80주년 기념 열여덟 별이지다 | |
제작 | 극단 바오 |
극본 | 정민혁 |
연출 | 정민혁 |
작곡,편곡 | 주예민, 문기백, 고윤호 |
음악감독 | 이후성 |
공연장 | 초연 : 하남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아랑홀 재연 : 안양아트센터 수리홀 |
공연 기간 | 초연 : 2023.01.28 ~ 2023.01.29 [1] 재연 : 2024.12.20 ~ 2024.12.22 |
관람 시간 | 초연 : 80분 재연 : 120분 (인터미션 : 10분) |
공식계정 |
[clearfix]
1. 개요
내 나라를 위한 고개는 들 수 있으나 왜놈들을 향한 고개는 절대 들지 않을 것이다.
청년들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전문창작공연예술단체 극단바오의 첫번째 창작뮤지컬이다.
삼일절은 어떤 날인가에 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뉴스를 접하며, 역사를 배제하는 현실이 심각하다는 것을 느끼며,
역사를 기억하고 가슴에 새기며, 무엇보다 그날의 함성을 보다 더 오래 들려주고자 시작되었다.
2. 시놉시스
“대한.. 독립.. 만세..“ 1916년, 높은 보름달이 뜨는 밤에 관순과 동순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독립을 꼭 해야 할까?" 그 물음에 답하듯 관순은 언니와 함께 이화 학당의 학생이 된다. 1919년, 관순이는 그간의 학교생활 속에서 독립에 관한 관심이 점점 작아졌지만, 만세 운동 소식을 접하게 되면서 마음속 불꽃이 된다. 그리고 어느 날 교사로 하나의 보따리가 창문을 깨고 날아오는데, 유관순은 그 안에 담겨 있던 태극기를 끌어안고 마음에 더 큰불을 지피게 된다. 독립운동가 유관순 그녀의 생에 업적을 이야기한 작품. "열여덟, 별이 지다" |
3. 등장인물
- 유관순 : 18세, 독립에 대해 열망하는 열정적인 소녀이자 독립에 대해 앞장서 주도하는 인물.
- 이중서 : 가상인물, 비밀 결사대 소속이나 이를 숨기고 일본군에 잠입하여 정보를 캐내며 관순이와 연이 있는 인물.
- 남동순 : 독립운동가이자 관순의 친구로 항상 관순이와 함께 하며, 마지막까지도 옆에서 함께하는 든든한 조력자. 인물설명
- 조명호 : 가상인물, 조국에 대한 사랑과 애국심이 강하며, 중서와 동료로 독립을 다짐했으나, 일본에 서있는 중서를 보며 큰 배신감을 느낌.
- 유예도 : 유관순의 사촌 언니, 누구보다 독립을 염원하지만 신분으로 인해 좌절을 하고 명호를 뒤에서 지원하며 독립운동을 이어감.
- 형사 : 일본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며, 인생을 나라에 바칠 정도로 충성심이 강한 인물
- 하란사 : 이화학당 선생님이자 비밀결사대 연락책으로 비밀 결사대의 정보책 독립을 지지하고 일제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고자 함.
- 유중권 : 유관순의 아버지, 관순이가 독립운동을 주도하는 것을 자신이 부추긴것같아 마음이 좋지 않지만 이소제와 함께 아우내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함.
- 이소제 : 유관순의 어머니, 관순이가 혼자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기특하지만 한편으론 안쓰러워하며, 유중권과 함께 아우내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함.
- 서명학 : 이화학당의 학생이자 관순의 친구. 인물설명
- 호외소녀 : 나라의 소식을 가장 먼저 전해주기 위해 발빠르게 돌아다니는 인물.
- 가와사끼 : 이화학당 선생님, 반항하는 유관순이 거슬림.
- 재판관 : 만세운동을 주도한 유관순의 재판을 맡은 재판관.
4. 넘버
4.1. 1막
M01. 대한의 별
M02. 내가 바라는 당신과
M03. 여기는 이화학당
M04. 꿈
M05. 별의 가호 속에
M06. 독립 선언식
M07. 별의 가호 속에 rep
M08. 서로가 원하는 조국
M02. 내가 바라는 당신과
M03. 여기는 이화학당
M04. 꿈
M05. 별의 가호 속에
M06. 독립 선언식
M07. 별의 가호 속에 rep
M08. 서로가 원하는 조국
4.2. 2막
M09. 독립 군가
M10. 내가 바라는 당신과 rep
M11. 신념
M12. 광복을 위해
M13. 별이 되어
M14. 열여덟 별이 지다
M10. 내가 바라는 당신과 rep
M11. 신념
M12. 광복을 위해
M13. 별이 되어
M14. 열여덟 별이 지다
5. 출연진
5.1. 2023년 초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order-radius: 0px 0px 8px 8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69BAF, #969BA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0; color: #fff; min-width: 10%" | ## | ## | ## |
}}}}}}
* 2023년 1월 28일 ~ 2023년 01월 29일
- 공연 장소:
- 하남문화예술회관 아랑홀
- 캐스팅:
- 유관순 : 노지우
- 이중서 : 박영운
- 남동순 : 황준희
- 조명호 : 이민혁
- 유예도 : 김서현
- 형사 : 한정호
- 하란사 : 박서영
- 이소제 : 서유진
- 유중권 : 김영익
- 서명학 : 백아름
- 호외소녀 : 김수안
- 가와사키, 재판관 : 문기백
- 순사 : 유승현
5.2. 2024년 재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order-radius: 0px 0px 8px 8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47444F, #1C171F, #47444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0; color: #FFF; min-width: 1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유관순 役 | 이은정 | 이중서 役 | 민광준 | 남동순 役 | 이지연 | |
조명호 役 | 박정석 | 유예도 役 | 김경희 | 형사 役 | 김동영 | |
하란사 役 | 김다안 | 유중권 役 | 백형열 | 유중권 役 | 황순영 | |
이소제 役 | 유승현 | 이소제 役 | 양서진 | 서명학 役 | 손지은 | |
호외소녀 役 | 노유정 | 가와사끼 役 | 박한울 | 재판관 役 | 김재남 |
}}}}}}}}}
- 공연 기간:
- 2024년 12월 20일 ~ 2024년 12월 22일
- 공연 장소:
- 안양아트센터 수리홀
- 캐스팅:
6. 기타
6.1. 무대
<rowcolor=#3E7ED7> 재연무대 |
6.2. MD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8F8C><rowbgcolor=#FACFCE><tablebgcolor=#fff,#008F8C> 제품명 || 가격 || 실물/링크 ||
재연 | ||
포토카드 | 1매 500원 1SET(15매) 5,000원 | |
떡메모지 | 2,500원 | |
엽서 | 1,000원[3] |
6.3. 여담
- 초연 당시, 제 1회 G.G청년연극페스티벌 개막공연으로 선정되어 하남문화예술회관 아랑홀에서 공연했으며, 아리랑Tv에서 소개되었다. 아리랑Tv, 뉴스1, 뉴스2
- 재연 계획이 없는 공연이었으나, 극단에 문의가 많이 들어와 제작을 확정 짓고 재연을 진행했다고 한다.
6.4. 무대
<rowcolor=#3E7ED7> 재연무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