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9:52:01

문명 7/전작과의 차이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문명 7
파일:문명7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373a3c><colbgcolor=#c7bba0>게임
관련
<colcolor=#373a3c><colbgcolor=#ecd7ad>규칙시대
문명지도자 · 등장 문명 · 독립 세력
건설불가사의
유닛유닛 · 지휘관
내정사회 제도 · 기술
확장팩 · DLC 세계의 교차로 · 지배할 권리
평가평가 · 비판 및 논란
커뮤니티문명메트로폴리스 · 문명 마이너 갤러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개요2. 그래픽3. UI4. 플레이 메커니즘
4.1. 지도자와 문명의 분리4.2. 게임 시대의 변화4.3. 기타 변경사항
5. 유닛6. 타일7. 도시와 마을8. 특수지구9. 정책10. 정부11. 과학12. 문화13. 종교14. 교역15. 전쟁과 AI16. 외교17. 첩보18. 독립 세력19. 위인20. 불가사의21. 자원22. 멀티플레이23. OST24. 한국어 번역

1. 개요

문명 7에서 이전 작품과 어떤 부분이 변경되고 추가되었는지 서술한 문서. 아래에는 지금까지 확인된 모든 차이점을 서술한다.

2. 그래픽

카툰풍에 높은 채도와 강한 대비가 특징이었던 전작과 달리 문명 5와 비슷한 실사 느낌이 특징적이며, 시가지 건물 디자인과 자연환경 그래픽 등 디테일적인 측면에서 발전이 이루어졌다. 문명 특유 유닛과 건물의 디자인도 기본 유닛과 구분될만한 특징들을 추가하여 신경을 쓴 모습이다. 하지만 지도자의 경우 문명 6의 데포르메형 캐릭터와 문명 5의 사실적 디자인 사이 어중간한 느낌이라 문명 6 출시 때와 마찬가지로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고 있다. 지도자의 모션이 어딘가 이질적이게 느껴지는 이유는 문명 7의 VR 버전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 UI

정식 출시 시점을 기준으로 변경된 특징 중 거의 이견 없이 많은 유저들에게 혹평받는 요소이다. 이번 작품이 콘솔, 모바일, VR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게 개발된 만큼 PC 게임에 적합하지 않은 UI 디자인 요소들이 매우 많기에 이전부터 시리즈를 플레이 해오던 PC 유저층에서 특히 불만이 많은 편이다. 단순히 미적으로 불만족스러운 것을 넘어 게임 플레이에 지장이 갈 정도로 심각한 UI도 있기 때문에 수정이 시급하다.

그래픽이 실사 느낌으로 바뀐 만큼 UI도 전작보다 무채색에 딱딱한 디자인으로 변한 느낌이다. 또한 문명 5와 비슷한 비교적 어두운 UI로 출시됐다.

아래는 변경된 특징 및 문제점들을 나열한 것이다.
각 산출량을 색상만으로도 구분되도록 했던 전작과 달리 시가지 특수지구에 어떤 건물이 지어진 지 한눈에 구분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4. 플레이 메커니즘

<colbgcolor=#0e1d32><colcolor=#c7bba0>
2024년 8월 21일 진행한 게임플레이 쇼케이스와 2024년 8월 27일 진행한 닌텐도 다이렉트 파트너 쇼케이스. 그리고 2024년 9월 13일에 진행된 라이브스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작 대비 변경점은 다음과 같다.

4.1. 지도자와 문명의 분리

4.2. 게임 시대의 변화

4.3. 기타 변경사항

5. 유닛

6. 타일

7. 도시와 마을

문명 7 도시의 가장 큰 변화는 정착지가 도시와 마을로 구분된다는 점이다. 게임을 시작하면 창시자 유닛으로 수도를 설립하고 이후 개척자로 새로 설립하는 정착지나 다른 문명에게서 빼앗은 점령지는 마을로 시작한다. 도시에서는 전작의 일반적인 도시처럼 생산 및 구매 등의 활동이 가능하지만, 마을은 생산 메뉴가 없으며 자동으로 생산력을 금으로 변환한다.

* 도시 건설의 변화
* 일꾼 유닛이 삭제됨. 도시 인구로 개간하는 방식으로 변경됨.
* 도시의 경계 확장은 자동 방식이 아닌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으로 변경됨. 새 시가지 특수지구를 지어 경계를 확장시킬 수도 있음. 경계를 확장하면 무료로 타일의 지형에 맞는 시설물이 건설됨.
* 농장, 광산과 같은 타일 시설물이 있는 타일은 교외 타일로 분류됨. 농촌 타일에 건물을 건설한 순간 해당 타일은 시가지 타일로 변화함.
* 각 시가지 특수지구에 성벽을 건설할 수 있음. 도시를 점령하려면 공격자는 요새화된 이 지역들을 모두 파괴해야 함.
* 새로운 도시는 막 정착했을 때 마을 상태이며 망치/톱니를 이용해 새 건물이나 유닛을 생산하지 못하고 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만 새 건물을 건설할 수 있음. 대신 일반 도시보다 더 많은 비율로 금을 생산함. 모든 생산력을 금으로 전환함.
* 마을은 금을 지불하여 도시로 변환하기 전까지 금만 이용해 성장하거나, 무역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거나, 광산 마을과 같은 전문 마을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 전문화를 하면 성장을 멈추고 해당 지역에 연결된 모든 도시에 음식을 보내게 됨. 선택 가능한 집중 전문화는 농업 마을, 광산 마을, 군사 요새, 무역 전초기지,도시 중심지까지 5가지임. 집중 전문화 선택은 영구적이며 다음 시대 전까지는 자라는 마을을 제외한 다른 선택지로 바꿀 수 없음.
* 마을은 기본적으로 성장률이 50% 증가하는 자라는 마을 특성을 가지고 시작함.
* 골드를 사용하면 마을을 도시로 바꿀 수 있음.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시의 수에 따라 비용이 증가함.

8. 특수지구

문명 6의 특정 산출에 집중하던 전문화된 특수지구는 사라졌고 대신 시가지 특수지구라는 개념이 새로 만들어졌다. 시가지 특수지구는 교외 특수지구나 개발되지 않은 영토에 건물을 새로 지을 경우 자동으로 생성되며, 여러 건물들이 모여 있는 모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심부와 시가지 특수지구에는 건물의 유형과 상관없이 타일 하나당 건물을 두 개씩 건설할 수 있다.[5] 전작에서 많은 건물이 텍스트로만 표현되었던 것과 달리 건물마다 모델링이 존재해 타일에 실제로 지어진다.

타일 하나에 두 개의 건물을 지어 건물 슬롯을 채울 경우 구역(quarter)이 형성되며 불가사의, 사회 정책과 건물 효과로부터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한 구역에 같은 유형의 건물을 짓는다고 별도의 보너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서관과 아카데미를 같은 시가지 타일에 짓는다고 추가 과학 산출량이 생기지는 않는다. 이런 점 덕분에 더 유연한 도시 건설이 가능하다. 다만, 문명마다 같은 타일에 특유 건물 두 가지를 함께 배치할 때 형성되는 특유 구역이 존재한다. 이 경우 상당한 보너스와 함께 시가지 특수지구가 문명에 걸맞는 특별한 디자인으로 변한다.

9. 정책

10. 정부

11. 과학

12. 문화

13. 종교

14. 교역

15. 전쟁과 AI

16. 외교

* 외교 시스템의 변화

17. 첩보

스파이 유닛이 삭제된 대신 외교 화면에서 영향력을 지불하고 첩보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한 가지의 첩보 활동을 동시에 여러 문명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외교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불가능하다.

18. 독립 세력

* 독립 세력은 전작들의 야만인을 완전히 대체하는 상호 작용이 가능한 소규모 세력임. 이들은 야만인처럼 항상 적대적이지 않고 플레이어에게 오히려 호의적일 수도 있음. 외교로도 독립 세력에 대응이 가능함.
* 게임 시작부터 등장하는 도시국가는 사라졌으며 독립 세력이 성장해 추후 도시국가가 되는 방식을 택함.[6]

19. 위인

공통으로 경쟁하여 영입하던 위인은 사라졌고 문명 특성으로 특유 위인을 생산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고유한 효과를 지닌 위인이 무작위로 생산되며 각 효과를 지닌 위인은 한 번씩만 생산할 수 있다. 위대한 선지자처럼 승리에 필수적인 위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20. 불가사의

21. 자원

22. 멀티플레이

23. OST

24. 한국어 번역


[1] 시대에 따라 문명이 바뀌는 변경 사항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아우구스투스가 로마를 이끈다고 하더라도 대항해시대가 되면 로마가 아닌 이탈리아 도시국가를 이끌게 되고 나폴레옹으로 고대 시대를 플레이할 경우 갈리아를 이끌 수밖에 없기에, 어차피 실제 역사에 들어맞지 않는다. 일찍이 문명 4에서도 고급 옵션으로 이런 기능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 이 때는 지도자 특성 자체가 공용 특성 중에 둘씩 골라 가진 것이었던 반면 본작에서는 문명 6과 마찬가지로 모든 지도자가 고유한 보너스를 받기에 플레이가 더욱 다채로워질 수 있다.[2] 게임 설정에서 비활성화할 수 있다[3] 표준 속도 125턴 기준 기원전 1150년.[4] 본작의 프리뷰 내용을 기준으로 하면, '군대가 질병 때문에 시름시름 앓고 있습니다. 어떤 약물을 처방할까요?'라는 이벤트 선택지가 뜬 다음 플레이어가 선택을 하고 그 결과를 받는 방식이다. 비욘드 어스는 선택의 결과를 미리 알 수 있었으며 곧바로 적용되었는데, 본작은 선택의 결과를 가르쳐주지 않고 그 결과가 시대가 바뀐 다음에야 나타나는 등 굉장히 오랜 시간 뒤에 드러날 수도 있다고 한다.[5] 도심부의 경우 궁전과 시청 건물이 기본적으로 들어있기 때문에 건물을 하나만 건설할 수 있다.[6] 전작의 ‘야만인 부족 모드’와 유사한 방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