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10-12 19:40:03

문맹근

파일:문맹근.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족보명 문영우(文泳佑)
본관 남평 문씨[1]
출생 1914년 8월 15일
경상남도 마산부 진해면 이동
(현재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이동)
사망 1967년 4월 18일
경상남도 진해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
상훈 대통령표창

1. 개요2. 생애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200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

문맹근은 1914년 8월 15일 경상남도 마산부 진해면 이동(현 창원시 진해구 이동)에서 아버지 문기현(文奇鉉)과 어머니 온양 유씨 유경수(유慶洙)의 딸 사이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작은아버지 문봉현(文鳳鉉)에 입양되었다.

그는 1931년 경상남도 창원군 진해면에서 김상복(金相福)·박영수(朴永守)·박홍목(朴弘穆) 등과 함께 이동리 사립야학교에서 이동독서회(泥洞讀書會) 동맹구락부(同盟俱樂部)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을 고취했다. 그러나 이 일이 발각되면서 체포된 그는 4개월간 미결수 신분으로 옥고를 치른 뒤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진해시에서 조용히 지내다 1967년 4월 18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2년 문맹근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그리고 2005년에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안장했다.


[1] 순질공파-경숙공-장흥고령공-청도파 30세 영(泳) 항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