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10:22:20

MEGALOVANIA

메갈로바니아에서 넘어옴

1. 개요2. 공식 버전
2.1. Radiation's Halloween Hack: Bad Fur Day Edition2.2. Homestuck
2.2.1. AlterniaBound
2.3. 언더테일
2.3.1. Song That Plays When Somebody Verses Sans2.3.2. 리듬 게임 수록
2.4.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2.5. 동방 탄막 카구라 판타지아 로스트
2.5.1. Necrolovania2.5.2. Megalovania of the Empty Corpse(空しき骸のメガロヴァニア)
3. 방송 삽입곡4. 여담

1. 개요

MEGALOVANIA(메갈로바니아)

토비 폭스가 만든 곡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언더테일의 등장인물 샌즈전투 테마곡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그가 작곡에 참여한 작품에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토비 폭스의 메인 테마라고 볼 수 있다.[1] 단, 현재 미완성 상태인 델타룬에선 아직까지 나온 적이 없다. 참고로 후에 다룰 것이지만 샌즈 버전과 비슷한 곡으로 토비 폭스가 만든 마더 2 개조롬에서 가장 처음 나왔다.[2] 와샌즈!

시모무라 요코가 작곡한 라이브 어 라이브의 음악 Megalomania[3]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이름의 뜻은 과대망상을 의미하는 Megalomaniac[4]과 할로윈과 연관지을 수 있는 Transylvania를 합성한 단어라고 한다.[5]

공식적으로는 총 5번 사용되었다.

2. 공식 버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Radiation's Halloween Hack: Bad Fur Day Edition


전투 영상(스포일러 주의, 음악은 7분 53초 경부터)

최종 보스인 '안도너츠 박사의 분노'의 테마곡으로 사용되었다. 가장 처음에 만들어진 곡이며, 전체적으로 어두운 분위기이다.

2.2. Homestuck

여기서의 제목은 MeGaLoVania. 곡명의 앞부분이 대문자와 소문자가 번갈아가며 쓰여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애니메이션(스포일러 주의)

두 번째로 만들어진 버전이며, 전체적으로는 원곡의 강화판이자 락 버전이다.[6] 일렉트릭 기타 소리[7][8]가 매우 강렬하게 들어가 있는 것을 들을 수 있다. 그 외의 특징으로는 후반부에 브리스카 세르켓의 관련 곡 중 하나인 '거미의 발톱'이 리믹스되어 들어갔다.[9] 그 외에도 솔럭스의 테마곡 The La2t Frontiier도 들어가 있다.[10] 원작보다는 소리가 조금 높아졌고 중후반부에 멜로디가 바뀌는 부분이 생략되었다.

해외에서는 홈스턱의 인지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언더테일 출시 전부터 이 곡을 홈스턱을 통해 알고 있었던 사람들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2.2.1. AlterniaBound

이쪽의 제목은 Megalovania.

해당 페이지
유튜브 링크

이스터 에그로 들을 수 있는 곡으로, Ctrl + T, Ctrl + Alt + T, Shift + T, Ctrl + Alt + Shift + T[11] 중 하나를 누르면 잠시 뒤에 조종하던 캐릭터가 MOTHER 2의 캐릭터들과 춤추는 겜지 마카라가 있는 방으로 이동한다. 춤추는 겜지에게 스페이스 바를 눌러 말을 걸면 12가지 음악을 들을 수 있는데, 그 사이에 끼어있다. 전체적으로 Homestuck 원곡과 비슷하지만, 전주와 후반의 거미의 발톱 구간이 없는 등 약간 차이가 있다.

곡을 선택할 때는 그냥 Megalovania라고만 나온다. AlterniaBound는 팬들이 붙인 제목.

2.3. 언더테일


몰살 루트의 샌즈 전투 테마곡으로 쓰였다. 가장 큰 특징은 전주가 없는 것. 이는 샌즈의 대사가 그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주가 없어 노래를 연속으로 반복시키기도 용이하다. 샌즈전 플레이를 보면 알겠지만, 중간 즈음에 노래가 다시 시작하여 한번 더 반복되는 구간이 있다. 독특하게도 언더테일의 모든 전투 BGM 중 혼자만 다른 곡과 멜로디를 공유하지 않고 전용 멜로디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샌즈나 파피루스 등 다른 캐릭터들의 라이트모티브가 하나도 들어가 있지 않다. 이는 브리스카의 관련 곡을 사용한 Homestuck 버전과의 차이점이다. 참고로 게임의 OST에는 Song That Might Play When You Fight Sans라는 곡이 있는데, 이 곡에는 샌즈와 파피루스의 테마를 사용하지만 실제 게임에서는 쓰이지 않으며 음악 파일조차 없다. 대부분은 다른 곡과 관련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편이 많지만, 일부는 샌즈의 메인 테마와 멜로디를 공유한다는 시각도 있다.[12] 처음 멜로디에서 블루스 스케일로 내려가는 부분이 비슷하기 때문. Bring It In, Guys!와의 비교 영상

앞서 나온 두 작품 모두 한국에서의 인지도가 적은 데 반해 이 작품의 인지도는 높은 편이기 때문에, 이 문서를 보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한 버전일 것이다. 사실 해외에서의 인지도도 별로 다르지는 않아 팬들에 의해 작곡되는 메갈로바니아의 어레인지곡도 대부분 이 버전이다. 관련 밈으로 인해 다소 우스운 이미지를 가진 곡이지만 언더테일 버전은 특히 잘 만들어진 메탈곡이다.

몇몇 사람들은 몰살 루트와 샌즈 전투의 특성상, 그리고 이 BGM이 토비 폭스의 작품에서 쓰인 경우와 전투 BGM 중 유일하게 전용 멜로디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실제로는 이 곡이 샌즈의 테마가 아니라 차라플레이어[13][14]의 테마곡이라는 추측을 제기하기도 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추측일뿐이고, 관점에 따라서는 "불굴과 불멸, 진정한 영웅을 상징하는 언다인도 감히 당해내지 못했거늘, 감히 체력 1의 최약체인 샌즈 '따위'가 막겠다니 이게 가당키나하겠는가"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어찌됐건, 어느쪽이든 생각은 자유. 대난투에 샌즈가 Mii 파이터 코스튬으로 참전하면서 샌즈의 테마곡인 'sans.'가 아닌 메갈로바니아가 추가되었으나 샌즈가 언더테일 대표로 참전한 셈이므로, 샌즈 테마곡으로서가 아니라 단순히 언더테일의 대표곡으로서 타 캐릭터 테마 음원도 어느 정도 섞였다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이후 10주년 기념 불살루트 샌즈 전투에서도 메갈로바니아의 리믹스가 사용되면서 샌즈의 테마곡 취급에 더 무게가 실리게 되었다.

노래의 16초 즈음에[15] 소리가 갑자기 격렬해지는 부분에서 유튜브 댓글로 일종의 이 생성되었는데, 예를 들어 0:16 당신은 조심히 문을 열었다[16], 0:16 당신은 이 부분을 듣기 위해 16초를 기다렸다 등의 댓글을 볼 수 있다. 대난투 리믹스 버전에서는 그 타이밍이 0:08로 앞당겨져 '0:16 드립이 소용없어질 때' 등의 댓글도 달렸다.

이전에 비해 소리가 훨씬 풍성해졌고 노래 자체도 긴박감이 더해졌기 때문에, 다른 버전을 들으면 사람에 따라 무언가 허전할 수도 있다.[17] 또한 타 버전들이 전부 A마이너 키로 연주되는 것과 달리, 언더테일 버전의 MEGALOVANIA는 D마이너 키다.

언더테일 게임 내에서 들을 수 있는 버전과 토비 폭스 채널에 올라온 버전이 엄연히 서로 다르다. 대표적인 차이는 16초 즈음의 바이올린, 1분 51초 즈음에서 들리는 솔로 기타 부분이다. 이상하게도 게임 내에서 들리는 버전은 유독 음질이 나쁘며, 그렇기에 유튜브에 올라온 버전FL Studio로 다시 추출하여 업로드한 듯하다.

프로레슬러 케니 오메가가 본인의 등장신에 샌즈 코스프레와 함께 이 음악으로 등장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2.3.1. Song That Plays When Somebody Verses Sans



10주년 기념 스트리밍에서 재즈풍으로 리믹스된 메갈로바니아. 불살루트 진행 중 기부를 위해 샌즈에게 전투로 몇차례 요청하던 걸 계속 피하다 마침내 싸우게 되면서 흐르는 음악이다.

독특한 건 몰살루트가 아닌 전투임에도 미사용 음원이었던 'Song That Might Play When You Fight Sans'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곡 제목도 미사용 음원의 '당신이 샌즈와 싸울 때'가 아닌, '누군가가 샌즈를 상대할 때'라는 다소 의미심장한 방향으로 붙었다.

2.3.2. 리듬 게임 수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EGALOVANIA/리듬 게임 수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EGALOVANIA/리듬 게임 수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EGALOVANIA/리듬 게임 수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2019년 9월 5일, 놀랍게도 언더테일이 나온 지 약 4년 만에 새로운 버전의 메갈로바니아가 공개되었다! 그것도 닌텐도의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서. 사격형 Mii샌즈 코스튬 구입시 번들로 제공되며, 토비 폭스 본인이 직접 편곡을 담당했다.[18] 언뜻 보면 뒤늦은 만우절 농담 혹은 낚시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공식 계정에서 인증했으니 말 다 했다.

곡 자체는 언더테일 버전을 기반으로 편곡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코드와 사운드 등이 다채로워지고, 후반부 피아노 소리와 Heartache 혹은 ASGORE, Bonetrousle에서 사용한 커버를 사용했다. 다만 다른 시리즈에서도 이런 식으로 메들리 비슷하게 다른 곡의 커버를 이어붙인 노래가 있고, 정식 참전이 아닌 Mii 파이터 복장을 위해 토비 폭스가 직접 준비한 노래[19]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그리고 언더테일에서 가져온 곡은 이 곡 하나가 전부인 만큼 '다른 곡의 커버를 쓰지 않는다' 란 특징 자체는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샌즈 코스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샌즈, Mii 파이터 문서를 참고.

2.5. 동방 탄막 카구라 판타지아 로스트

2.5.1. Necrolovania

Necrolovania
파일:Dankagu_Necrolovania.png
일러스트: Temmie Chang
<rowcolor=white> 서클 편곡
TobyFox × ZUN TobyFox
<rowcolor=white> BPM BOSS
139 야쿠모 유카리 & 샌즈
<rowcolor=white> EASY NORMAL HARD LUNATIC
10
(268)
14
(469)
20
(891)
26
(1607)

2024년 12월 31일, 토비 폭스가 작곡에 참여한 동방 탄막 카구라 판타지아 로스트의 수록곡으로 공개되었다. 여기서의 제목은 Necrolovania. 야쿠모 유카리의 테마곡인 네크로 판타지아가 메인으로 들어간 것이 특징.

2.5.2. Megalovania of the Empty Corpse(空しき骸のメガロヴァニア)

空しき骸のメガロヴァニア
텅 빈 해골의 메갈로바니아
파일:Dankagu_空しき骸のメガロヴァニア.png
일러스트: 언노운 X
<rowcolor=white> 서클 편곡
ZUN ZUN
<rowcolor=white> BPM BOSS
225 야쿠모 유카리 & 샌즈
<rowcolor=white> EASY NORMAL HARD LUNATIC
7
(181)
14
(394)
20
(661)
26
(1252)

위 라이브에서 Necrolovania와 함께 공개된 곡으로, 이쪽은 반대로 동방 프로젝트의 원작자 ZUN이 작곡하였다.

3. 방송 삽입곡

국내에서 가히 대중적으로 메가히트를 친 BGM인 만큼 TV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종종 삽입곡으로 쓰이는데, 다들 가장 많이 알려진 언더테일 버전을 사용한다. 아래는 확인된 목록들. 종종 리믹스된 버전을 쓰기도 한다.

4. 여담

이 곡이 쓰이는 상황들은 모두 재미있는 공통점이 존재하는데, 첫 등장인 EarthBound(MOTHER 2) 할로윈 해킹롬 버전에서는 주인공 일행의 학살을 안도너츠 박사가 막아서는 상황에서, 홈스턱에서는 학살자인 베타 세션의 잭 느와르가 더스에서 깽판을 벌이는 것을 아라디아 메기도가 막는 것과 그 원인을 제공한 브리스카에게 타브로스 니트람이 정의구현을 시도하는 상황에서, 언더테일에서는 몰살 루트를 타는 주인공샌즈가 저지하려는 상황에서 재생된다. 즉 주인공이 최종 보스가 되자 조연에 불과한 캐릭터가 최종보스가 된 주인공을 막고자 정의의 히어로로 각성한 상황에서 재생되는 곡인 것이다. 한마디로 주인공이 아니라 주인공의 적수의 테마인 셈. 하지만 그 결과는 꿈도 희망도 없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워낙 서브컬처계에서 유명한 음악이라 팬들에 의해 자주 리믹스되기도 한다. 팬 리믹스 중에도 원곡 못지 않게 훌륭한 음악들이 많이 있고 그 중에는 팬덤에서 거의 공식 버전 수준의 인기와 조회수를 얻은 것도 있다. 일부 유저들한테는 더이상 음악이 아니라 장르나 다름없다는 댓글까지도 달리기도 한다. 인게임 내에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면 꼭 커버가 있는 곡이기도 하다.[22]

2019년에 인게임 음악으론 최초로 유튜브 조회수 1억을 찍었었다. 하지만 공식이 아닌 팬이 업로드한 영상이었고 1억을 찍었으니 자기가 직접 삭제한다고 해서 현재는 볼 수 없다.

[1] Dogsong도 그의 테마이긴 하지만, 짜증나는 개에만 한정되어 있다.[2] 나중에 토비 폭스가 말하길 이 게임이 자신의 흑역사라고 한다.[3] 언더테일의 시나리오는 막부 말기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Megalomania가 각 시나리오의 최종 보스 테마곡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사용례도 거의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4] 라이브 어 라이브의 음악 Megalomania도 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5] 이 음악이 처음 사용된 것이 MOTHER 2의 할로윈 기념 개조 롬이었다는 걸 생각하면, 라이브 어 라이브의 Megalomania(c)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과 드라큘라의 고장으로 유명한 트란실바니아가 할로윈과 연관지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두 단어를 합쳐서 명명한 듯하다.[6] 배경에 원곡이 작게 깔려 있는 것을 보아 원곡에 기타 리프와 추가적인 악기를 덮어씌워서 만든 것 같다.[7] 같은 홈스턱 뮤직 팀 멤버중 한 명인 텐세이가 연주했다.[8] Ultimate Guitar Kit 2 사운드폰트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높다.[9] 애니메이션에서는 시점이 아라디아 메기도에서 브리스카로 바뀌는 시점부터. 밴드캠프 파일에서는 정확히는 2:04부터이지만 곡의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듣고 싶다면 1:52초부터 들어도 좋다.[10] 정작 플래시에서는 솔럭스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11] 팬들 사이에선 트릭스터 모드라고 불린다.[12] 그러나 두 음악 모두 언더테일과 무관한 프로젝트를 위해 처음으로 사용되거나 만들어졌기에 연관이 없다고 보는 것이 맞다.[13] 곡명을 살짝 비튼 megalomania라는 단어는 '과대망상증'이라는 뜻인데, 이는 게으른 샌즈보다 차라에게 더 어울린다. 그리고 프리스크가 아니다. 이 게임을 진행하고 있는 플레이어를 말한다.[14] 그 이유는 이미 몸의 모든 주도권을 빼았겼지만 아직도 자신이 프리스크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것이 과대망상증이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15] 샌즈와의 전투가 시작되는 부분.[16] 두근두근 문예부의 I GENTLY OPEN THE DOOR.[17] 원곡 자체는 SFC 음악이기 때문에 화음 수가 제한되고, Homestuck 버전 또한 원곡을 기반으로 한 것이어서 동일한 느낌이 들지만, 언더테일 버전은 아예 새로 작곡한 것이기 때문.[18] 닌텐도 게임2차 창작 개조 롬 게임을 위한 곡으로서 처음으로 세상에 발표된 곡이 시간이 지나 닌텐도 게임정식으로 수록된 셈이다. 참고로 닌텐도 게임의 2차 창작에서 수록되었던 곡이 정식으로 닌텐도 게임에 수록된 경우는 지금까지 이 곡이 유일무이하다. 닌텐도가 얼마나 저작권에 깐깐한지 생각해 본다면 닌텐도도 사실상 토비 폭스를 인정한 거나 다름 없는 셈.[19] 같이 복장이 공개된 제로, 블루스와 고에몽은 이런 대우를 받지 못했다. 그나마 제로는 본인도 어시스트 피규어로 나오고 록맨 제로 시리즈에서 곡을 하나 가져온 게 있었지만 그것도 원곡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이후 샌즈와 비슷한 느낌으로 추가된 컵헤드 역시 게임내 인기 음악인 꽃모양 분노의 원곡을 그대로 가져왔다.[20] 채널이 해지됐다고 뜬다.[21] 시즌3 15회에서도 향어를 잡을때 나왔다[22] 슈퍼 마리오 메이커 시리즈 등[23] 할로윈 핵 버전 도입부분이 끝난 후 시작한다.[24] 그 외에도 토비 폭스가 음악을 작곡한 델타룬이나 이스케이프드 캐즘 시리즈에서도 리믹스 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것들이 모두 성사된다면 공식 버전만 7개가 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