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5 23:02:02

메가케롭스

브론토테리움에서 넘어옴
메가케롭스(브론토테리움)
Megacerops
파일:큰뿔얼굴.jpg
학명 Megacerops
Leidy, 1870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기제목Perissodactyla
†브론토테리움과Brontotheriidae
아과 †브론토테리움아과Brontotheriinae
†브론토테리움족Brontotheriini
아족 †브론토테리움아족Brontotheriina
메가케롭스속Megacerops
  • †메가케롭스 콜로라덴시스 (M. coloradensis)모식종
    Leidy, 1870
  • †메가케롭스 쿠와가리누스(M. kuwagarhinus)
    Mader and Alexander, 1995
파일:메가케롭스 모형.jpg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복원 모형

1. 개요2. 연구사3. 등장 매체

1. 개요

고진기 에오세 후기의 북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기제목 동물. 이름의 뜻은 거대한 뿔이 달린 얼굴.

동물 이명이 꽤 많은데, 잘 알려진 브론토테리움 이외에도 아텔레오돈, 브론톱스, 하플라코돈, 오레이노테리움, 텔레오두스, 티타놉스 등이 있다.

2. 연구사

과거 수우족 원주민들이 폭우에 노출된 메가케롭스 뼈들을 최초로 발견했다. 수우족은 메가케롭스를 '천둥 짐승'이라 불렀는데, 이는 이명인 브론토테리움[1]의 어원이 되었다.

코뿔소와 닮았지만 진화적으로 과 더 가까우며 따로 한 과로 동정되어 있어 별다른 유연관계는 없다. 사실 코뿔소쪽도 말과 비슷한 히라코돈이 실재하며, 서로의 관계는 우제류의 하마+고래와 돼지류 관계나 식육목의 개과와 고양이과 관계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상당히 거대한 동물로, 오늘날 세 번째로 큰 육지 동물인 둥근귀코끼리와 비등한 크기로 성장했었다. 체중 3.3~3.8t, 체고 약 2.5m, 체장 4.63m였다. 두개골은 최대 89.5cm에 달했고, 최대 70mm의 송곳니도 가지고 있었다.

코 위에는 최대 43cm의 Y자 모양 돌출부가 있다. 수컷의 돌출부가 암컷의 것보다 훨씬 큰데, 이를 통해 메가케롭스가 번식을 목적으로 수컷끼리 경쟁하는 동물이었으리라 추정하기도 한다. 부분적으로 치유된 수컷의 갈비뼈가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어깨 위의 등뼈는 무거운 두개골을 운반하는 데 필요한 거대한 목 근육을 지탱하기 위해 추가적인 긴 가시를 가지고 있었다. 이빨 모양으로 보아 질긴 초목보다는 부드러운 줄기와 잎과 같은 먹이를 선호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입술은 도톰하고 먹이를 고르기 위한 긴 혀를 가졌을 것이다.

덩치가 워낙 거대해서 경쟁자라고는 당시 서식하고 있던 우인타테리움이나 다른 메가케롭스밖에 없었을 것이다. 공존했던 포식자인 호플로포네우스와 같은 동물들도 성체 메가케롭스의 적수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물론 오늘날의 코뿔소와 사자, 호랑이같은 포식자들의 관계처럼 새끼 메가케롭스들은 천적으로부터 취약했을것이며 따라서 성체들이 포식자로부터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뿔을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치아 법랑질에 대한 산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서식지로 습한 기후의 숲을 선호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멸종 이유는 에오세 이후 기후가 냉각 건조해지고 주 서식지인 숲이 줄어든 것으로 인하여 여겨진다. 멸종한 이들의 생태적 위치는 이후 거대 동물로 진화한 코뿔소가 차지한다.

3. 등장 매체

쥬라기 월드: 더 게임쥬라기 월드: 얼라이브에 등장한다. 이 두 게임에선 브론토테리움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대신 더 게임에서는 설명문에서 메가케롭스라는 이름이 언급되기는 한다.

아이스 에이지의 프랭크가 메가케롭스이며, 함께 등장하는 칼은 엠볼로테리움이다. 다만 둘 다 코뿔소로 소개되는데, 정작 털코뿔소와 같은 진짜 코뿔소는 이 시리즈에서 안 나온다.

왕의 귀환펠렌노르 평원의 전투에서 공성병기를 이끌며 잠시 등장한 코뿔소같은 생물들이 메가케롭스를 모티브로 하였다.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고생물 다큐멘터리 지구 위의 생명에서는 뿔이 짝짓기 경쟁에 쓰였다는 학설을 반영하여 한 수컷이 암컷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 돌아다니는 모습이 나온다. 방황하던 중 마침내 한 암컷을 찾았지만, 그 암컷은 이미 큰 수컷의 차지였던 터라 실패한다. 이후 다른 암컷을 발견,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크기가 비슷한 다른 수컷과 싸우다가 실패하고 쫓겨나게 된다.

만화로 보는 고대 야생동물 대탐험이라는 책에 등장한다.
[1] bronto(천둥)+therium(짐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