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54:22

매니페스토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ENHYPEN의 첫 월드 투어 콘서트}}}에 대한 내용은 [[MANIFESTO(ENHYPEN)]]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MANIFESTO(ENHYPEN)#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MANIFESTO(ENHYPEN)#|]]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ENHYPEN의 첫 월드 투어 콘서트: }}}[[MANIFESTO(ENHYPEN)]]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MANIFESTO(ENHYPEN)#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MANIFESTO(ENHYPEN)#|]]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매니페스토 (2016)
Manifesto
파일:매니페스토.jpg
장르
없음[1]
감독 | 제작 | 각본
율리안 로제펠트
주연
촬영
크리스토프 크라우스
음악
벤 루카스 보이젠, 닐 프람
분장
모라그 로스, 마시모 카타브루지
촬영 기간
제작사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수입사
배급사
개봉일
화면비
1.87:1
상영 시간
137분[3]
94분[4]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명[5]
상영 등급

> Manifesto 매니페스토(선언)
[manɪ'festəʊ]
noun, plural: manifestos
: 당과 조직, 개인이 방침과 목적을 공공연히 밝힌 것


1. 개요2. 예고편3. 등장 인물 및 설명4. 평가

1. 개요

율리안 로제펠트 감독 연출, 케이트 블란쳇이 출연한 예술사적 선언과 정치선언에 관한 영상 작품이다. 13명의 인물이 10분 30초의 분량으로 독립된 시퀀스에 등장하며, 13가지의 정치적, 예술적 매니페스토를 외치거나 간접적으로 설명한다.

2. 예고편

▲ 공식 예고편
▲ 공식 예고편

3. 등장 인물 및 설명

캐릭터 줄거리 / 선언문
부랑자 한 부랑자가 폐허 속을 거닐며 허공을 향해 소리치고 있다.
뉴스 앵커
&
기상 리포터
뉴스 앵커가 예술 선언에 대한 보도를 하고 있다.
추도문을 읽는 여인
[7]
장례식 추도사를 읽고 있다.
교사 학생들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고 있다. 그 뒤 문제를 풀고 있는 학생들을 한 명씩 지도해주며 틀린 점을 설명해준다.
보수적인
가정의 어머니
식전 기도문을 외우고 있다. 우리 밥은 언제 먹어?
증권사 직원
공사장 인부 공장 내부와 폐기물 처리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인형사 실존 인물을 비롯해 자기 자신까지 똑 닮은 인형들을 보여주고 있다.
파티에 온 CEO
펑크 가수 시니컬한 태도로 상대방을 마주하며 무언가를 설파하고 있다.
무대 안무가 무용수들에게 연기 지도를 하고 있다.
실험실 직원 무향실(無響室)에 들어간 과학자가 흘러나오는 음향을 테스트하고 있다.

4.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58887>"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58887>;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8887>|{{{#!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20 / 10
관람객
8.50 / 10
네티즌
7.31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20 / 10
관람객
8.50 / 10
네티즌
7.31 / 10
}}}}}}]]}}}}}}




예고편을 봐도 알겠지만 예술사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 하지만 안다고 해도 배경과 인물이 예술 선언에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가 보일 뿐, 숨겨진 메시지가 보일 정도로 감상에 큰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1] 서사라는 것이 없기 때문에 영화보다는 영상 작품에 더 가깝다.[2] 12일간 촬영되었다.[3] 함부르크의 미술관을 비롯해 전시용으로 쓰인 영상이다.[4] 극장개봉판[5] 국내에선 2017년 제18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한 뒤 2019년에 CGV 단독으로 개봉됐다. 관객 수는 천 명대로 추정.[6] 미국 내의 마르크시즘 성향의 작가, 예술가, 지식인들이 모여 활동하던 미국 공산당 내의 조직이다. 1929년 창설돼서 1935년 해산되었다.[7] 한글 소개에서도 그렇고 겉으로 보기엔 남편을 잃은 과부처럼 보이나 누가 죽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8] 독창적인 건 없다. 영감과 공명하거나 당신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어떤 것에서든 훔쳐라. 오래된 영화, 새로 나온 영화, 음악, 책, 회화, 사진, 시, 꿈, 지나가는 대화, 건축, 다리, 거리 표지판, 나무, 구름, 바다와 호수, 빛과 그림자를 탐독해라. 오직 당신의 영혼에 직접 말을 거는 것으로부터만 훔칠 것을 골라라.만약 당신이 이렇게 한다면, 당신의 작업물 (그리고 훔친 것)은 진정성을 가질 것이다. 진정성은 매우 귀한 것이다. 독창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당신의 도둑질을 숨기려고 걱정하지 마라. 그런 기분이 든다면 훔친 것을 축하하라. 어떤 경우건 항상 장 뤽 고다르의 다음과 같은 말을 기억해라. "중요한 건 당신이 그것을 어디서 가져오느냐가 아니라 그것을 어디로 가져가느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