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 | ||||
말레이시아 항공 | 바틱에어 말레이시아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Low-cost Carrier (LCC) ||
에어아시아 | 에어아시아 엑스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소형 항공사 Regional Airline | |||||||
MAS윙스 |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MAS 카고 | ||||||||
}}} {{{#!wiki style="margin: -43px -1px -11px"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 ||||
싱가포르항공 | ||||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
스쿠트항공 | 젯스타 아시아 |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실크에어 | 타이거에어 | 발루에어 | 제트8 항공 | |
|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 ||||
|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Malaysia–Singapore Airlines | |
부호 | 항공사 호출 부호 (MALAYSIAN) IATA (ML) ICAO (MSA) |
항공권식별번호 | ??? |
설립일 | 1966년[1] |
해체일 | 1972년 9월 30일 |
후신 | 말레이시아 항공 싱가포르항공 |
허브공항 | 수방 국제공항 싱가포르 국제공항 |
보유항공기수 | 20개 이상 |
취항지수 | 31 |
|
DH-106 코멧 |
|
B737-200 |
1. 개요
1966년부터 1972년 9월 30일까지 존재한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합작 항공사2. 역사
1965년 8월,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을 자진 탈퇴해 독립국이 된다. 이때 금전적 원인으로 자체 항공사를 세우기 어려웠던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에 항공사 공동 운영을 제안했고, 말레이시아는 중국계 다수인 싱가폴을 탐탁지 않게 여겼음에도 이를 수락해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이 세워지게 된다.그러나 몇 년 동안 잘 굴러가나 싶었지만 국내선 확충을 원했던 싱가포르 지사와, 국내선 또는 단거리 국제선 확충을 원했던 말레이시아 지사 사이의 갈등으로 결국 1972년 4분기에 각각의 새 항공사로 독립하게 된다. 이때 인구 비례에 따라 항공기 수도 나누기로 하고, 싱가포르 항공이 동년 10월 1일 신생 항공사로 분리되었다.
3. 노선
총 31개가 있었으며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노선의 경우 사실상 국내선이나 다름 없었다.대부분 인도네시아, 태국, 남베트남, 인도, 필리핀, 호주, 영국령 홍콩 등 중단거리 노선이 많았으며 대만, 일본, 중동, 유럽 등 중장거리 노선은 비교적 소수였다.
4. 보유 항공기
5. 여담
스칸디나비아 항공처럼 여러 국가들이 연합해 운영하는 다국적 플래그십 캐리어 중 하나였다.[1] 사실 기원은 말라얀 항공이 설립된 1946년으로 보기도 하나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으로 운행된 시기를 기점으로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