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4 10:13:55

만철도

흥아일심도에서 넘어옴
1. 개요2. 상세3. 제조4. 특징5. 관련 문서

1. 개요

흥아일심도(興亞一心刀) 또는 만철도(滿鐵刀)

만주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서 생산한 일본군도의 총칭.

2. 상세

만철도는 쇼와 10년대(1935년 이후)부터 1945년 패전까지 일본 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서 생산한 일본군도를 일컫는다. '만철도'라는 단어는 속칭이고 정식 명칭은 '흥아일심(興亞一心)'이다. 철도회사에서 칼을 만든다는 게 언뜻 이상하게 비칠 수 있겠지만, 실상 만철은 단순한 철도회사가 아니었다. 일본 정부가 지분 50%를 보유했던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1923년 이후로부터 종전 시까지 일본 제국 내 자본금 규모 1위인 거대 기업이었다. 미쓰이, 미츠비시, 스미토모 재벌보다 큰 기업이었다는 뜻이다. 당연히 철도사업만 한 것이 아니라 철도 선로 부설 토지 및 배후 역세권 개발사업이라든지 토지 관련 사업, 각종 숙박업, 금융업 및 유통사업을 했고 광산 개발 및 제련업, 각종 군수품 생산을 담당했던 거대 복합기업이었다.

2차 대전 당시의 독일의 전차인 티거 중전차를 생산한 헨셸社는 중장비와 철도설비를 만드는 회사였고, 러시아의 전차 계보 중 중요한 1곳이 우랄열차공장임을 생각해본다면 군수품에 대한 철도 계열 회사의 참여는 결코 낯선 것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1] 본디 철도회사란 금속의 성질을 잘 알고 열처리 등으로 다루는 데 달통해야 한다. 도검이라는 것도 근본적으로 이에 벗어나지 않으므로, 걸맞은 회사가 걸맞은 일을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철도회사가 처음부터 군도를 만들지는 않았다. 그러나 1937년 중일전쟁 개전 이후 일본군의 규모가 급속히 커지자 장교용 군도도 덩달아 수요가 폭증하자, 골동품 칼날을 재활용하거나 장인이 만든 수제작품으로 조달하던 기존 방식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가 없었다.[2] 이 때문에 원래 95식 부사관도만 만들던 조병창에서도 일부 라인을 전용하여 장교용 군도의 칼날을 제조하기 시작하였다. 만주철도주식회사(이하 만철)에서도 이러한 어려운 세태를 감안했고, 관동군 등의 요청에 따라 능률이 낮은 전통방식이 아닌, 기계를 이용한 생산체계를 갖춘다면 군도가 부족한 사태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쇼와 12년(1937) 5월에 일본도 제작부를 신설, 차후에 남만주철도공사 다롄공장에 독립된 작업장을 마련하였다.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a8100089f.jpg
다롄 공장 전경

3. 제조

만철도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 전통방식과 현대 기계공업이 혼합된 제조방식에 있다. 대략적인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파일:/pds/201010/14/02/c0063102_4cb6b062dcfd0.jpg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b077566de.jpg
파일:external/pds19.egloos.com/c0063102_4cb6b0a233fa9.jpg
파일:/pds/201010/14/02/c0063102_4cb6b0bc82168.jpg
파일:external/pds19.egloos.com/c0063102_4cb6b0c82e5a7.jpg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b0d8c69a0.jpg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b0e55be82.jpg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b1d683d50.jpg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b1f2007e7.jpg

4. 특징

만철도의 특징은 전통적인 제조방식을 현대적으로 개량하였기에, 전통 일본도와 형상은 크게 다를 바 없으면서도 성능은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장인의 감으로 두들겨 만드는 전통 일본도를 절단하여 단면을 보면, 신가네가 매우 불규칙하게 분포하였고 때로는 바깥으로 노출되었다. 그런데 만철도는 기계제조를 하였기에 신가네와 하가네의 비율이 일정하다.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aba013a3c.jpg
만철도 도신의 5개 부위를 절단한 모습. 중앙이 유연한 신가네, 외부가 고탄소강인 하가네이다.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63102_4cb6ad5d36587.jpg
전통 일본도의 좋지 않은 예. 위는 시즈사부로 카네우지(志津三郎兼氏), 아래는 아이즈노카미 후지와라 야스시게의 작품. 특히 아래 물건은 신가네가 심각하게 노출되었다.
파일:/pds/201010/14/02/c0063102_4cb6ae2eae9c5.jpg
'도검계에 혁명을 가져온 쇼와의 명도'. 만철도의 우월함을 선전하는 내용.

또 강재 부문에서도 전통 일본도는 불순물이 많고 열처리 노하우가 적은 전통 강재를 사용한 반면, 만철도는 현대적으로 제련된 강재를 사용하므로 도검의 휨이나 파괴 한계가 월등히 높다. 만철도는 4톤짜리 힘을 7분 동안 가했을 때 칼이 완전히 휘어지고 칼날 부분이 갈라진 데 비해, 전통 일본도는 1톤짜리 힘을 7분 동안 가하자 칼날이 갈라지고 휘어 버렸다. 열처리는 전통 일본도와 같은 부분 열처리를 하지만, 전통 일본도에는 장인이 감으로 열처리를 하지만, 만철도는 기술자가 온도계를 사용하여 처리하므로 실패율이 월등히 낮았고, 당연히 가격도 절감할 수 있었다.

부분 열처리를 가했기 때문에 통 열처리를 한 무라타도나 조병도와는 달리 하몬이 있다.[4] 숙련된 연마사들이 하몬을 선명하게 표현하였다.

만철도는 육군 제식을 따르므로 외형으로는 당장 알아보기는 어렵지만, 여타 일본도가 그러하듯이 칼날을 분해하면 바로 알 수 있다. 슴베(나카고)에 흥아일심 만철작(興亞一心 滿鐵作)이나 흥아일심 만철작지(興亞一心 滿鐵作之), 또는 흥아일심 만철근작(興亞一心 滿鐵謹作)[5]이라는 메이(名)를 새겼기 때문에 금방 구별할 수 있다.

만철도의 평가는 대체로 호평일색이었다. 군도 수리 반장으로 재직하며 일본 군도의 문제점에 대해 많은 글을 쓴 나루세 칸지(成瀬關次)도 자신의 저서 <실전도론>에서 만철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특수강 파이프에 연강을 넣어 제조하고 진흙 열처리로 제조했다는 점이 전통 일본도와 비슷하기 때문에 완전히 특수강에 통열처리로만 제조한 조병도에 비해 평이 좋았다. 성능 또한 뛰어나서 "만철도는 휘지도 부러지지도 않는다." 하는 이야기가 돌았다.

또한 조병창에서 제조한 조병도와는 달리 하몬이 있어 1945년 패전 이후 GHQ의 칼 사냥에서도 예술도로 분류되어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러나 공장 양산형이라는 점 때문에 전통 일본도의 칼날을 사용한 군도보다는 저평가되었고, 2010년대만 하더라도 100~200만 원 선에서 진품을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후로 만철도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400~600만 원 정도에 가격이 형성되었고, 값이 비싸지자 사재기 경향이 나타나 진품 가격은 점차 올라갈 전망이다. 전통 일본도는 수작업으로 만다는 근본적인 한계 때문에 실성능 면에서는 한없이 실망스러웠으나, 만철도는 전통적 일본도의 제법을 현대 금속 과학과 공업기술로 구현하여 성능 면에서 일본도의 이상에 가장 가까이 도달한 기념비적인 물건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70년도 지난 현재 시점에선 최상의 도검은 아니다. 다른 데도 아닌 중국산 강판을 프레스로 검신 모양으로 잘라 날만 세워 파는 콜드스틸제 도검이 마무리가 엉성하고 미감이 안 좋다는 등 악평이 많지만 기본적인 절삭능력은 아주 좋단 평을 들을 정도로 현대사회의 철강소재 기술이 좋아졌으니 말이다. 중대형 도검 쪽이 아닌 나이프로 가면 탄소강 따위는 명함도 못 내미는 성능을 자랑하는 소재들이 즐비하고...그러나 현대 시점에서도 여전히 현역으로 쓸만한 성능인 것이 중대형 도검은 크다는 특성상 날 안 부러지는 인성 및 경제성이 중요해 스프링강 이상은 가성비가 안 맞아 못 쓰는 게 현실이니 탄소강이 여전히 현역인 실정에서 무라타도 역시 좋은 도검이니 말이다.

5. 관련 문서


[1] 멀리 볼 것도 없이 가까운 현대로템만 봐도 방산업체로서 K-1 전차, K-2 흑표 등 생산을 담당한다.[2] 장교용 군도는 개개인이 사비로 구매해야 했다. 부사관 및 병사용 군도가 지급품인 것과 다른 점. 조병창 등지에서 만들어준 칼날이나 외장이라도 돈 내고 사야 했다.[3] 동호인(銅護刃)이라고도 부르는 칼날 뿌리 부분의 황동제 부품. 칼집에 넣을 때 칼집 입구와 꽉 맞물려 칼이 안 빠지게 하며, 이때 칼날은 하바키 덕택에 칼집 중간에서 붕 뜨므로 칼집 어디와도 닿지 않는 최적의 수납 상태를 유지한다.[4] 하몬이 일직선이면 스구하(直刃), 물결 무늬 등 곡선이면 미다레바(乱れ刃)라고 한다.[5] 흥아일심(興亞一心)은 '아시아를 일으키는 한 마음'이란 뜻이다. 만철작(滿鐵作)이나 만철작지(滿鐵作之)는 '만철이 만듦', 만철근작(滿鐵謹作)은 '만철이 삼가(정성스러이) 만듦'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