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1:15:14

마물(장송의 프리렌)

1. 개요2. 목록

1. 개요

장송의 프리렌에서 인족과 싸우는 주적. 흔히 몬스터라고 부르는 인간을 적대하는 괴물들의 총칭이다. 다만 천맥룡처럼 드물게 사람에게 별 해를 끼치지 않는 마물도 존재한다.

사망할 때는 마력의 입자가 되어 흩어지는데 마족도 마물의 아종이나 다름 없었기에 이쪽도 사망하면 마력의 입자가 되어 시체조차 남기지 않는다. 간혹 같은 부산물이 그대로 남겨지는 경우가 있다.

상당히 지능이 높아 인간의 전투 방식을 모방하는 개체도 있지만 마족과 달리 언어 능력이나 고위 마법은 사용하지 못한다.

2. 목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독일어 명사 Bande는 '패거리', '범죄 단체', '울타리' 등의 뜻이 있다.[2] 작중 복제체는 에델이 작중 손꼽히는 정신 조작 마법을 써서 무력화하려고 했지만 통하지 않았고, 에델은 이에 이들은 마음을 정교하게 모방했을 뿐, 마음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아 정신 조작 마법이 통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또한, 비어벨 파티와 복제체 비어벨 파티 싸움에서 비어벨의 지휘 아래 완벽한 연계 플레이로 복제체 상대로 유효타 하나 허용하지 않고 비교적 쉽게 쓰러뜨렸던 반면, 복제체 비어벨 파티는 복제체 에레가 파티에서 떨어져 혼자 놀다가 진짜 비어벨에게 쉽게 당하는 등 연계도 지휘도 없는 모습을 보였다. 개개인의 능력은 완벽하게 복제할 수 있어도, 복제체끼리 소통하여 연계를 꾸리는 건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3] 황옥룡을 쓰러뜨린 비화가 참으로 용사 힘멜 답게 우스운데, 여신의 석비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다가 마을 주민들의 퀘스트를 해결하기 위해 딴 길로 샜고, 그 결과 황옥룡을 쓰러뜨린 것이었다.[4] 용과 마족을 포함해서 마물 전체가 몹시 호전적인 것을 생각하면 굉장히 특이한 경우다. 그래서 마물이나 마족이라면 가차 없이 해치우는 프리렌도 천맥룡에게는 적대감을 보이지 않는다.[5] 이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이 기운이 힘멜의 탈모약화 및 사망 사유 아니냐는 농담성 추측이 돌기도 한다.[6] 힘멜이 사망한 해에 약 20~30년 동안 암흑룡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했고, 104화는 힘멜 사망에서 30년 후이므로 50년 전이면 딱 암흑룡이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시기다.[7] 독일어 명사인 Laub(나뭇잎) 또는 Raub(약탈)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Blatt(나뭇잎)과의 차이는 Laub은 나뭇잎의 집합, Blatt는 각각의 나뭇잎. 지도상에는 Laub으로 표기된다. 독일어 표기법을 따를 경우 '라우프'가 된다.[8] 사실 프리렌에게 간단히 파훼당했고 그라우잠에 비교하면 떨어져 보이지만 마족에 비해서 꿇리지 않은 능력이다.(리볼테 전에서 리볼테 부하 중 하나가 어린아이로 변했긴 했지만 환영귀의 경우 거의 100%에 가깝게 대상의 친밀했던 사람으로 환영을 만들고 대화까지 했다. 대상의 기억이 멋대로 보여주는 환영이지만. 페른은 저게 가짜 하이터라는 걸 알지만 너무 똑같아서 잠시 멍 때렸고 자신의 소중한 추억을 건드렸다고 분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