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하는 22개 팀들의 멤버를 정리하는 문서이다.2. 로스터
2.1. LPL (중국)
팀명 | | |||
| | | | |
Top Esports | JD Gaming | Suning | LGD Gaming | |
| ||||
| ||||
| ||||
| ||||
| ||||
| ||||
| ||||
2.2. LEC (유럽)
팀명 | | |||
| | | | |
G2 Esports | Fnatic | Rogue | MAD Lions | |
| ||||
| ||||
| ||||
| ||||
| ||||
| ||||
|
2.3. LCK (한국)
팀명 | | ||
| | | |
DAMWON Gaming | DRX | Gen.G | |
| |||
| |||
| |||
| |||
| |||
| |||
| |||
2.4. LCS (북미)
팀명 | | ||
| | | |
Team SoloMid | FlyQuest | Team Liquid | |
| |||
| |||
| |||
| |||
| |||
| |||
|
2.5. PCS (태평양 연안)
팀명 | | |
| | |
Machi E-Sports | PSG Talon | |
| ||
| ||
| ||
| ||
| ||
| ||
| ||
2.6. 플레이-인 리그
팀명 | | | |
| | | |
Unicorn of Love | Rainbow7 | Papara SuperMassive | |
| |||
| |||
| |||
| |||
| |||
| |||
| |||
팀명 | | | |
| | | |
INTZ e-Sports | V3 Esports | Legacy Esports | |
| |||
| |||
| |||
| |||
| |||
| |||
|
[S] 후보 선수 겸임[S] [A] 자가격리로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 불가[A] [5] 前 TL, 서민석 감독과 이종원 코치가 자가격리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불참하게 되면서 현재 팀 매니저를 맡고 있는 글렌이 플레이-인 스테이지 동안만 담당한다.[6] 대만이 중국 영사관이 없어서 비자 발급이 불가능한 탓에 시즌이 끝나자마자 바로 귀국해서 자가격리에 들어갔고 이후 상하이 출국 예정일이 9월 18일이라고 한다. 문제는, 상하이에 도착하면 또 자가격리에 들어가야 하고 이렇게 되면 25일에 시작하는 플레이-인 스테이지 출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조별리그부터 출전이 가능해진다.[7] 마찬가지로 자가격리 문제 때문에 플레이 인 스테이지 출전 불가. 조별리그부터 출전이 가능하다.[8] 홍콩-중국간 통행증 문제로 플레이 인 스테이지 1, 2일차 출전 불가. 3일차부터 출전이 가능하다.[9] River 선수의 자가격리로 인한 플레이 인 스테이지 출전 불가로 ahq e-Sports Club으로부터 임대[B] 선수 복귀 시 경기 참가 불가[11] Tank 선수의 자가격리로 인한 플레이 인 스테이지 출전 불가로 ahq e-Sports Club으로부터 임대[B] 선수 복귀 시 경기 참가 불가[13] Unified 선수의 중국-홍콩 간 통행증 문제로 인한 플레이 인 스테이지 출전 불가로 Machi E-Sports으로부터 임대. 참고로 Machi E-Sports의 코치이다.[B] 선수 복귀 시 경기 참가 불가[S] 로스터에는 서브로 등록[S] 로스터에는 서브로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