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0:43:16

루시드(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하루시드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루시드(메이플스토리)

{{{#!wiki style="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5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2d343c; margin-top: 7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10px 0px; color: #fff; max-width: 97%; min-width:4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보스 ]
}}}

'''
루시드

Lucid
'''

"후훗, 악몽은 이미 시작됐어요."
레벨제한 : 220
주요 보상
파일:몽환의 벨트.png
몽환의 벨트

파일:루시드로이드.png
루시드로이드

파일:트와일라이트 마크.png
트와일라이트 마크

파일:나비날개 물방울석.png
나비날개 물방울석
테마곡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표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설명3. 난이도
3.1. 스토리 모드(✦250)
3.1.1. 페이즈 13.1.2. 페이즈 2
3.2. 이지/노멀/하드 모드(✦360)
3.2.1. 페이즈 13.2.2. 페이즈 23.2.3. 페이즈 3(하드 전용)
4. 공격 패턴
4.1. 페이즈 14.2. 페이즈 24.3. 페이즈 3(하드 전용)
5. 평가6. 공략7. 역사
7.1. 이지 모드7.2. 노멀 모드7.3. 하드 모드
8. 보상
8.1. 이지 모드8.2. 노멀 모드8.3. 하드 모드
8.3.1. 군단장의 흔적
9. 소울: 루시드
9.1. 소울 컬렉터
10. 업적11. 메이플스토리M: 루시드
11.1. 원작과의 비교
12. 외부 링크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루시드입장.gif
루시드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중 하나. 모바일 버전인 메이플스토리M의 보스 루시드에 대한 내용도 서술한다.

2. 설명

2016년 8월 18일, V 업데이트의 3차 패치를 통해 아케인 리버의 지역인 꿈의 도시 레헬른의 보스로 등장했다. 모바일 버전인 메이플스토리M에는 2023년 7월 27일 패치로 추가되었다.

원작 기준 요구 아케인 포스 양은 360. 아르카나 심볼을 획득하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여로, 츄츄, 레헬른 각 세 아케인 심볼의 레벨 합이 적어도 30은 되어야 한다. 주어지는 데스 카운트는 10. 최초로 레벨 이외에 다른 페널티 제한이 있는 보스이다.

메이플스토리에서 전례 없는 탄막이 즐비한 보스이다. 이펙트는 광역 즉사기를 제외하고 대체로 매우 화려하고 아름답다는 평. 테스트 서버에서는 탄막의 양이 그렇게까지 많지는 않았으나, 본 서버에 들어오면서 탄막의 양과 잡몹 소환 빈도가 많아졌다.[1]

체력 게이지가 분홍색과 보라색이며, 그 밑에 ×n이라고 적혀있다. 최초 입장 시엔 ×9라고 적혀있으나, ×1에서 체력이 전부 소진되면 숫자가 없어지고 체력바가 하나 더 생기기 때문에 사실상 체력은 10줄이며, 노멀 난이도의 페이즈 1의 경우 한 줄당 체력이 약 1조 2000억 (1,200,000,000,000)으로 노멀 데미안과 동일하다. 페이즈 2 역시 10개의 체력바가 있다. 패턴 중 한 줄이 까일 때마다 일부 패턴(무수히 많은 나비들이 생성되는 패턴)을 저지시키는 형태의 시스템이 존재해 체력 게이지를 이런 식으로 설정시킨 듯하다.

이동형 보스로 나올 것이라는 당초의 추측과는 달리 고정형 보스로 나오는 바람에 은월의 분혼 격참이 먹히지 않을 것이라 우려되었다. 또한 테스트 서버에서는 루시드가 독, 전기를 제외하고 비반감이었기 때문에 아크메이지의 입지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본 서버로 넘어오며 2페이즈에서 분혼 격참이 먹히게 되었으며, 모든 보스와 동일하게 전 속성 반감으로 변경되었다.

카루타와 앱솔의 가격이 폭락해버린 현 상황에서 카오스 벨룸과 함께 유일하게 리워드가 제대로 잡혀 있다고 평가받는 보스였으나, 드롭퍼 관련 아이템 하향 패치 이후 아케인 리버 물방울석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결국 앱솔과 비슷한 테크를 타게 되었다.

아케인 리버의 보스이기 때문에 아케인포스 1.5배 증가 효과가 적용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들어가는 딜은 스우와 데미안보다 1.5배 가량 높다. 특히 루시드를 잡을 스펙이면 아케인포스 540은 이미 우습게 넘겼기 때문에[2] 루시드가 스우나 데미안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멀 스우와 이지 루시드와의 차이가 8배, 노멀 데미안과 이지 루시드의 체력 차가 10배나 되고 1.5배 포스뻥을 감안해도 노멀 스우의 약 5.33배, 노멀 데미안의 약 6.67배가 되어 차이가 크다. 그래도 이 정도 수치면 대략 노멀 스우 및 데미안 솔플 스펙≒이지 루시드 6인 파티격 스펙이므로 이지 루시드 6인격 정도는 웬만한 저자본들도 노려볼 수 있을 정도이다.

반 레온, 매그너스, 과 더불어 이지, 노멀, 하드 모드가 전부 다 있는 보스이다.

혼테일 이후로 10년 만에 등장한 페이즈에 따라 맵 이름이 바뀌는 보스다.

보스로 등장하는 루시드는 본인은 아니고 플레이어의 꿈 속에서 엄청나게 강해진 모습으로 구현된 환각체이다.

아케인 리버의 첫 번째 레이드 보스다. 소멸의 여로의 아르마와 츄츄 아일랜드의 츄릅나무는 일반 필드 보스다.

첫 클리어/1인 클리어 업적 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2024년 11월 15일 기준)
이지 루시드 : 9.90%[3] / 6.81%[4]
노멀 루시드 : 7.84%[5] / 4.38%[6]
하드 루시드 : 6.59%[7] / 2.84%[8]

노멀 루시드 격파 업적이 배정된 직업은 메르세데스[9] 1개 직업이다.

3. 난이도


파일:루시드_전신.png

3.1. 스토리 모드(✦250)

BEYOND 아르카나 업데이트로 추가된 난이도. 1페이즈와 2페이즈의 체력의 합이 210억으로 피조물의 2배 정도이며 이지에 비해 굉장히 낮은 편이다. 이지/노멀/하드처럼 10줄이고, 줄당 각각 14억 7000만, 6억 3000만이다. 이름부터 스토리 모드이며, 보상은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2페이즈 체력이 1페이즈보다 더 낮은 것과 피격 대미지가 굉장히 감소된 것이 특징. 폭탄 패턴과 2페이즈의 돌진은 시전하지 않으며 소환수의 브레스 역시 즉사가 아닌 체력 비례 대미지라 펫물약 설정이 있으면 맞으면서 싸울 수 있다. 원판 루시드의 흉악한 난이도에 일조하는 물약 쿨타임이 없기 때문이다. 독버섯을 소환하지 않고 요구 아케인 포스량도 250으로 낮으며, 방어율도 30%로 이지/노멀/하드의 1/10이다.

체력만 보면 카오스 혼테일보다 조금 높은 정도이지만, 애초에 카혼은 비반감인데다가 8부위로 나뉘어 있고 루시드는 전 속성 반감에 단일 대상인데다, 보통 스토리 모드를 플레이하는 레벨인 220~224레벨[11] 상태에서 230레벨 몬스터를 상대해야 하니 레벨 반감도 있는데다 나비 패턴 등의 즉사 패턴도 그대로 사용한다. 이러한 환경적인 부분을 고려하였을 때 플레이어 레벨 220~224레벨 기준으로 노멀 파풀라투스 ~ 노멀 시그너스 사이의 난이도로 볼수 있으며 스토리 모드치고는 다소 난이도가 어렵다.

특이사항으로는, 악몽의 골렘과 루시드가 몬스터 컬렉션에 등록 가능하다. 심지어 스토리 모드 루시드를 격파해도 결전 퀘스트의 완료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루시드에게 무한히 재도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퀘스트를 완료하지 않는 한 이지/노멀 루시드에 도전하기 전 연습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난이도 차이가 어마어마해서 아무 의미가 없고 퀘스트를 무작정 깨지 않는 것도 매우 비효율적이다. [12] 몬컬작을 할 경우에나 시도해 볼만할 뿐이다.

3.1.1. 페이즈 1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500px; border-radius:8px; border: 2px solid #3f4b52; text-align: center; 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border: 2px solid #e64371, #F361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292f37 30%, #292f37 30%)"
MONSTER

||<^|1><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width=1%>
파일:보스아이콘b_루시드.png
||<^|1><color=#000000>
14억 7000만

x9
||
파일:꿈속의 루시드_stand.gif
꿈속의 루시드
레벨 230
HP 1,470,000,000 (147억)
MP 100,000
EXP 0
소환 몬스터 악몽의 골렘
반감 전 속성 반감
위치 꿈의 도시 레헬른 : 몽환의 숲
테마곡 Phantasmal Woods
제한 시간 30분
물리 공격 22,000
마법 공격 24,000
물리 방어 30%
마법 방어 30%
이동 속도 고정형
입장 레벨 220

3.1.2. 페이즈 2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500px; border-radius:8px; border: 2px solid #3f4b52; text-align: center; 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border: 2px solid #e64371, #F361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292f37 30%, #292f37 30%)"
MONSTER

||<^|1><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width=1%>
파일:보스아이콘b_루시드.png
||<^|1><color=#000000>
6억 3000만

x9
||
파일:루시드_2페이즈.gif
루시드
레벨 230
HP 6,300,000,000 (63억)
MP 100,000
EXP 1,000,000
소환 몬스터 악몽의 골렘
반감 전 속성 반감
위치 꿈의 도시 레헬른 : 무너지는 시계탑
테마곡 Dream Fragments
제한 시간 30분
물리 공격 22,000
마법 공격 24,000
물리 방어 30%
마법 방어 30%
이동 속도 ?
입장 레벨 220

3.2. 이지/노멀/하드 모드(✦360)



3.2.1. 페이즈 1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500px; border-radius:8px; border: 2px solid #3f4b52; text-align: center; 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border: 2px solid #e64371, #F361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292f37 30%, #292f37 30%)"
MONSTER

||<^|1><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width=1%>
파일:보스아이콘b_루시드.png
||<^|1><color=#000000>
6000억/1조 2000억/5조 800억

x9
||
파일:꿈속의 루시드_stand.gif
꿈속의 루시드
레벨 230
HP 이지: 6,000,000,000,000 (6조)
노멀: 12,000,000,000,000 (12조)
하드: 50,800,000,000,000 (50조 8000억)[21]
MP 100,000
EXP 0
소환 몬스터 악몽의 골렘, 악몽의 독버섯
반감 전 속성 반감
위치 꿈의 도시 레헬른 : 몽환의 숲
테마곡 Phantasmal Woods
제한 시간 30분
물리 공격 22,000
마법 공격 24,000
물리 방어 300%
마법 방어 300%
이동 속도 고정형
입장 레벨 220

3.2.2. 페이즈 2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500px; border-radius:8px; border: 2px solid #3f4b52; text-align: center; 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border: 2px solid #e64371, #F361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292f37 30%, #292f37 30%)"
MONSTER

||<^|1><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width=1%>
파일:보스아이콘b_루시드.png
||<^|1><color=#000000>
6000억/1조 2000억/5조 4000억

x9
||
파일:루시드_2페이즈.gif
루시드
레벨 230
HP 이지: 6,000,000,000,000 (6조)
노멀: 12,000,000,000,000 (12조)
하드: 54,000,000,000,000 (54조)[22]
MP 100,000
EXP 이지/노멀: 30,000,000
하드: 0
소환 몬스터 악몽의 골렘
반감 전 속성 반감
위치 꿈의 도시 레헬른 : 무너지는 시계탑
테마곡 Dream Fragments
제한 시간 30분
물리 공격 22,000
마법 공격 24,000
물리 방어 300%
마법 방어 300%
이동 속도 ?
입장 레벨 220
결정 가격 이지: 49,000,000 (4900만)
노멀: 58,600,000 (5860만)

3.2.3. 페이즈 3(하드 전용)

{{{#!wiki style="margin: 0 auto; padding: 7px 10px; max-width: 500px; border-radius:8px; border: 2px solid #3f4b52; text-align: center; 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border: 2px solid #e64371, #F361A6;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292f37 30%, #292f37 30%)"
MONSTER

||<^|1><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width=1%>
파일:보스아이콘b_루시드.png
||<^|1><color=#000000>
1조 2800억

x9
||
파일:하드루시드2페이즈.gif
루시드
레벨 230
HP 12,800,000,000,000 (12조 8000억)
MP 100,000
EXP 30,000,000
소환 몬스터 악몽의 골렘
반감 전 속성 반감[23]
위치 꿈의 도시 레헬른 : 무너지는 시계탑
테마곡 Dream Fragments
제한 시간 45초
물리 공격 22,000
마법 공격 24,000
물리 방어 300%
마법 방어 300%
이동 속도 고정형
결정 가격 135,000,000 (1억 3500만)
입장 레벨 220

4. 공격 패턴


루시드의 모든 페이즈의 체력은 10줄이며, 1줄이 깎일 때마다 후술할 나팔 동상과의 상호작용 가능 횟수가 추가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즉, 체력바 아래의 숫자는 앞으로 추가되는 체력의 줄 수이며, 따라서 체력바 추가 갯수가 x1일 때 체력을 모두 깎으면 마지막 체력바가 나오며 숫자가 사라진다.

루시드와의 전투 중에는 배경에 생성되는 나비와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방독면의 경고가 나타나며, 이는 모든 페이즈에 등장한다. 아래의 체력에 따른 3개의 경고는 루시드의 체력이 적을수록, 배경의 나비가 쌓이는 속도도 빨라진다는 의미다.[24]

4.1. 페이즈 1

파일:mob_레헬른_루시드_1페이즈.gif
루시드가 꽃 위에 앉아서 공격을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고정형 보스다. 어그로 순위를 안내할 때 '꿈속의 루시드'라고 표기되어 나오는데, 말 그대로 1페이즈의 루시드 이름은 '꿈속의 루시드'이기 때문. 이 때문에 1페에서는 루시드의 몬스터 컬렉션 등록이 불가능하다. 참고로 경고는 모두 방독면이 말해준다.
파일:루시드1페_처치.gif
1페이즈의 루시드를 처치하면 악몽의 꽃이 사라지는 동시에, 루시드는 꽃 위를 뜬 뒤 2페이즈 진입 이벤트가 등장한다.

4.2. 페이즈 2

"어머, 이를 어째? 꿈이 무너지나봐요~!"
루시드
1페이즈를 격파하면 앉아있던 루시드가 꽃봉오리에서 떠오른 뒤, 시계탑을 부숴 버리면서 2페이즈로 넘어간다.

2페이즈는 꿈과 환상이 가득하던 제 1페이즈와는 달리 악몽의 시계탑 시간판이 부서진 발판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1페이즈는 루시드의 꿈이고, 2페이즈는 그 꿈이 깨진 잔해라는 듯.[39].

온갖 방해요소로 생존 압박을 주는 대신 중앙에 가만히 앉아 패턴만 쓰기에 말뚝딜이 가능한 1페이즈였다면, 2페이즈는 반대로 생존이 수월한 대신 날아다니면서 가만히 있질 못 하고, 종종 발판을 부수는 데다 리마스터 전 스우도 한 수 접고가는 수준의 무적 패턴을 2가지나 쓰며 딜로스를 유발한다. 사실 2페이즈도 겹치는 요소가 더했으면 더했지, 덜하진 않아서 직업에 따라 2페이즈를 더 싫어한다.

파일:루시드2페_나팔.png
나팔동상 근처에서 '채집'키를 눌러 사용하면 루시드의 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방독면
1페이즈와 마찬가지로 루시드의 체력 10줄 중 한 줄을 깔 때마다 맵에 있는 나팔 동상이 활성화되는데, 이를 채집키를 눌러 발동시키면 쌓여있던 나비가 모두 사라져 막을 수 있다. 1페이즈와 마찬가지로 판정이 상당히 좋아 채집키를 누르는 도중 스킬 사용이 가능하고, 맨 위의 긴 발판 왼쪽 끝에 채집키를 누르고 있어도 발동이 가능하다. 또한 우측 동상 위쪽 발판 오른쪽 끝에서도 채집키를 이용하여 발동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돌진 패턴 때 패턴도 피하며 나비도 지우는 유용한 팁이다.

1페이즈와 마찬가지로 나팔 동상의 사용 가능 횟수는 최대 3회까지만 저장된다. 하드 모드에서는 3페이즈를 위하여 극딜 버프와 스킬을 아끼느라 마지막 1~2줄은 체력을 까는 속도도 매우 느려지는데 이때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나비가 빠르게 쌓이므로 미리 나팔 동상 사용 가능 횟수를 3회까지 모아두는 것이 좋다.
파일:루시드2페_처치.gif
2페이즈[49]의 루시드를 처치하면 루시드의 날개가 사라지고, 여유로운 표정을 지으면서 어디론가 사라진다.[50]
이지 / 노멀 난이도는 이 2페이즈에서 루시드를 격파하는 것으로 보스전이 끝나지만, 하드 모드는 3페이즈로 진입하게 된다.

4.3. 페이즈 3(하드 전용)

원작 기준으로 하드 모드에만 등장하는 페이즈로, KMS 유일의 DPS 체크 페이즈다. 흔히 RPG에서 DPS체크 보스는 피통만 크고 패턴이 매우 쉬운 보스를 말하지만, 루시드 3페이즈는 패턴이 아예 없는 허수아비 그 자체다. 일정 주기로 맵 전체에 광역 피해를 입히지만 피할 수도 없고, 펫 자동물약을 걸었다면 신경쓸 필요가 없으며 움직이지도 않고 뭘 발사하지도 않는다. 2페이즈의 화면에서 체력을 모두 깎게 되면 화면 전환 없이 화면이 붉게 변하면서 45초짜리 타이머가 새로 생기고[51] 루시드가 맵 중앙으로 이동해 검붉게 물든 채 폭주하기 시작한다.

이 때의 루시드는 기존의 공격 패턴을 사용하지 않으며, 골렘 소환[52]과 불특정 시간마다 맵 전체에 최대 체력의 30%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히는 전범위 공격을 지속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공격을 하지 않고 바인드에 걸린 것처럼 중앙에서 가만히 있는다. 체력은 줄당 약 1조 2800억에 10줄로, 약 12조 8000억을 가진다. 잡몹인 악몽의 골렘은 계속 소환되나 루시드 본인은 그냥 가만히 있기 때문에, 무릉도장에서 구매 가능한 허수아비를 패듯이 계속 프리딜을 넣으면 된다.[53] 45초 안에 모든 체력을 깎지 못할 경우 루시드가 공간을 깨트려 버리는 이펙트와 함께 사라지고 데스카운트와 무관하게 원정 실패로 간주된다.

총 시간이 비록 45초라고는 하지만 루시드가 3페이즈에 진입하는 모션을 봐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 5초 정도를 까먹고 들어가 실질적으로 '40초'부터가 딜을 넣을 수 있는 시간이다. 또한 3페에 진입하여 새로운 타이머로 교체되었다 해도 1, 2페의 타이머는 여전히 흐르고 있으며, 1, 2페의 타이머와 3페의 타이머 중 하나라도 0초가 되면 Fail 문구와 함께 격파에 실패하게 된다. 예를 들어, 1, 2페에서 20초를 남기고 3페에 진입하게 되면 타이머는 45초를 보여주지만 실제로는 20초 안에 3페를 격파해야 하는 것이다. 6인 파티 기준 무릉 50층을 기준으로 한다.
이후 2023년 8월 10일 패치로 무적 패턴이 삭제 되고 3페이즈의 총 체력이 약 7% 증가되면서, 40초동안 약 12조 8000억(+6400억)의 데미지를 가할 수 있으면 클리어가 가능하게 변경되었다. 기존에 무적 패턴 때문에 약 3초 가량 딜로스가 나던 것을 생각해보면 나름 개선점이라 볼 수 있다.

출시 당시부터 심각한 버그가 있는데 꽤 오래 고쳐지지 않고 있었다. 3페이즈 타이머인 45초짜리 타이머만 보여야 하는데 3페이즈가 지속되는 도중에 2페이즈까지 표시되던 기존의 타이머로 교체되고 3페이즈의 타이머는 다시 표시되지 않는 현상이다. 현재는 고쳐져 정상적으로 보인다.

5. 평가

어려운 패턴이 딱히 없고 특별한 기믹도 없으며 데스 카운트도 10개라 넉넉하기 때문에 난이도 불문 어렵지 않다는 평을 받고 있다. 쉬운 난이도와는 별개로 일부 불합리한 패턴이나 2페이즈에서 보스 이동이 너무 잦다는 점은 비판 받는다. 페이즈에 대한 전체적인 평은 아래와 같다.

6. 공략

루시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잡몹 제거와 폭탄 방어이다. 비숍의 홀리 매직쉘은 폭탄 패턴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거의 필수이다. 그리고 루시드 이상 보스부터는 파티원들이 서로 호흡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쉘의 경우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는 적용이 안 되기 때문에 같이 있지 않다가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파티원들이 실수로 소환수 메시지를 보지 못해서 죽거나, 칼날 패턴 공략법에 대해 잘 몰라서 데카아웃 당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디코 등으로 어떤 패턴이 발동되는지 말해주며 서로 호흡을 맞추며 공략하는 것이 좋다.

과거에는 하드 미만 난이도에서 골렘이 고정 데미지를 받고, 즉사기인 폭탄에 대처할 방법이 무적기 밖에 없어서 솔격 시 난이도가 매우 어려웠고, 타수가 높은 직업이 유리하였다. 하지만 골렘의 고정 데미지가 해제되고, 솔격 시 폭탄에 대체할 수 있는 패턴이 추가되며 난이도가 쉬워졌다. 다만 과거보다 쉬워졌을 뿐이지 골렘들의 체력들이 은근 높은 데다가 여러마리가 소환되기 때문에 미리미리 골렘들을 처리해주지 않으면 소환수 패턴에 대처하거나 폭탄 패턴 안전지대로 빠르게 이동하기가 힘들다. 그러니 1페이즈에서는 파티든 솔격이든 골렘을 꾸준히 관리해줄 필요가 있다. 루시드에게 딜을 넣으면서 틈틈히 골렘들도 잡아주고, 소환수의 위치를 잘 파악해주고, 폭탄 패턴 발동 시 체력 관리만 잘해주면 된다.

솔플중 폭탄이 달렸을 경우 거의 피를 가득채워둬야 생존이 가능하고 콩알탄 한대라도 맞을 경우 죽어버리는 케이스가 있는데, 체력관리가 수월할 경우 미러볼에 달려가서 바로 파운틴을 설치한 뒤 폭탄 터지기 직전에 파운틴을 사용하면 거의 항상 생존할 수 있다. 폭탄 쿨타임이 파운틴 쿨타임보다 길기때문에 숙지해두면 편리하다.

2페이즈에서는 소환수 등장 시 맵 맨 위 발판, 혹은 맨 아래 발판으로 피해주기, 칼날 패턴 발동 시 루시드에게서 떨어지기, 강력한 공격 레이저 발동 시 당황하지말고 천천히 걸어가며 피해주는 것반 숙지하면 어려울 건 없다. 자주 죽는 패턴으로 윗발판에 있다가 밑으로 확 떨어지는데 밑에 보이지않는 위치에서 루시드가 칼날을 사용하여 이에 사망하는 부분인데, 대부분 데카가 넉넉할땐 그냥 무시하고 플레이하여도 관계없으나 데카가 아슬아슬할땐 숙지하고 밑으로 내려갈때 짧게 내려가는편이 좋다.

하드 모드 한정으로 3페이즈에 진입하기 전에는 나오자 마자 순삭이 가능한 초고스펙이 아니라면 보유한 극딜기, 버프 쿨타임을 모두 확인하고 진입해야 한다. 시드링을 보유하고 있다면 미리 스위칭해두는 것도 좋다. 극딜기와 버프 쿨타임을 기다리는 동안 나비가 쌓이면 곤란해지니 나팔 동상을 3회까지 채워둔 다음 조금씩 나비를 제거하다가 여유있게 진입할 필요가 있다. 사소한 팁으로, 어차피 3페이즈의 루시드는 폭발 패턴 외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니 2페이즈에서 딸피가 된 루시드를 처리할 때는 괜히 강력한 공격하러 도망가기 전에 에르다 노바 등 바인드 걸고 평딜로 잡아도 된다.

7. 역사

7.1. 이지 모드

7.2. 노멀 모드

7.3. 하드 모드

8. 보상

8.1. 이지 모드

파일:Maple_241226_003957.png
2023년 4월 20일 패치로 십자코인이 주문의 흔적으로 통합되면서 보상의 양이 초라해졌고 2024년에도 딱 필요한 아이템들만 나오게 바뀐데다 큐브도 삭제되어 더 이상 드롭하지 않기 때문에 보상의 양이 더욱 초라해졌다. 어지간하면 고정적으로 드롭되는 결정석과 주문의 흔적, 파워 엘릭서 딱 3가지만이 가치있는 보상의 전부라고 할만한 정도.

8.2. 노멀 모드

파일:노멀 루시드 보상.png
노멀 루시드의 체력이 이지의 2배라는 점을 감안해도 보상의 질이 이지 모드보다 상당히 형편없다. 그래서 대다수의 유저들은 노멀 루시드를 건너뛴다. 패치를 거듭하면서 보상이 간략화되어 양이 많이 초라해졌다.

8.3. 하드 모드

8.3.1. 군단장의 흔적

관련 퀘스트 한정 보상. '하드 루시드'는 제네시스 무기 해방 퀘스트 도중 일곱 번째로 격파해야할 보스이다.

기존 보스전 난이도상 윌 격파 이전에 나와야 정상이지만 실질적인 난이도는 윌은 물론이고 최종 과제인 진 힐라 격파 보다도 어렵기 때문에 윌과 순서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63] 즉, 실질적으로 루시드 격파가 해방 퀘스트 중 가장 어려워 실질적인 최종 보스라고 평가받았는데, 그 이유는 당연히 비정상적인 3페이즈와 치명적인 물약 개수 제한 때문이었다.[64]

윌, 진 힐라와 마찬가지로 1인 격파와 2인 격파(최종 데미지 50% 감소)를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소비 아이템 50개만 사용 가능'이라는 제약이 붙어있다.[65]

윌과 비슷한 이유로 페널티 없는 하드 루시드를 최소컷으로 잡으면 이론상 클리어가 가능하지만 알아도 못 피하는 공격을 난사하고 까다로운 기술의 연계, 기습적으로 높은 데미지를 주는 패턴[66]을 자주 쓰는 루시드 보스전 특성상 스펙 올려서 잡는 게 정신건강에 훨씬 좋다. 펫 물약 세팅을 해제하거나 펫 물약 발동 HP를 본인에게 맞게 조절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엘릭서를 적게 쓰면서 생존해야 하는 상황이 많으므로 본인 또는 파티원의 스킬, 아란의 유니온 공격대원 효과, 자동 회복 코어 등과 같이 체력 회복이 붙은 건 여유가 된다면 가급적 채용하는 게 좋다.

6차 전직의 출시로 인한 극딜의 고점 상승과 3페이즈의 약화, 도전자의 엘릭서에서 소비 아이템 50개 사용으로 완화 및 '쓸만한 홀리 파운틴'의 출시 등과 같은 요소들이 맞물리면서 해방 퀘스트의 난도가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다만 파운틴 특성상 골렘이 가로막으면 못 쓰는 건 마찬가지고 2페이즈는 보스전 특성상 파운틴에서 말뚝딜이 어려우니 설치 위치를 잘 잡고,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형태로 써야 된다.

9. 소울: 루시드

9.1. 소울 컬렉터

파일:루시드소울.png
파일:루시드소울히든.png
NORMAL HIDDEN
후훗, 악몽은 이미 시작됐어요. 에우렐의 엘프라면
이 정도는 기본이랍니다.
히든 일러스트는 에우렐의 우등 궁수로 성장한 모습으로, 루시드가 바랐던 모습인 것을 상기하면 여운이 남는 모습이다. 옆에 있는 헬레나의 엉망진창인 탄착과 비교된다. 쓰고 있는 모자도 실크햇에서 페도라 형태로 바뀌어 있다.

10. 업적

루시드와 관련된 업적은 다음과 같다.

11. 메이플스토리M: 루시드

<colbgcolor=#c84,#963><colcolor=white><rowcolor=white> 메이플스토리M - 루시드
<rowcolor=white> 난이도 HARD <colbgcolor=#fdd,#311> CHAOS
<rowcolor=white><colbgcolor=#edf,#213> 싱글 <colbgcolor=#edf,#213> 멀티 멀티
보스 HP ? 11.14조 ?
입장 조건 Lv. 200 이상
아케인포스 660 이상 권장
Lv. 200 이상
아케인포스 880 이상 권장
클리어 횟수 7일 1회 클리어
(목요일 자정 초기화)
제한시간 10분
데스카운트 개인 부활 3회 팀 부활 10회[d] 팀 부활 10회[d]
소비 아이템
재사용 대기시간
10초
(파워 엘릭서 5초)
모바일판 루시드는 2023년 7월 27일에 추가되었으며, 2024년 11월 21일 업데이트로 카오스 모드가 추가되었다. 2025년 1월 16일에는 하드 싱글 모드가 추가되었다.

최대 10인의 다인 원정대로 참가할 수 있으며, 입장 레벨 하한선은 초기에는 230이었으나, 동년 12월 14일 패치 때 200으로 하향되었다.[69] 아케인포스 필요량은 원작보다 높게 책정되었는데, 하드는 660, 카오스는 880이다. 데스카운트도 개인이 아닌 10회가 적용되며, 제한시간도 10분으로 원작보다 짧다.

11.1. 원작과의 비교

12. 외부 링크

13. 둘러보기

메이플스토리 레이드 보스
메이플 월드 아케인 리버
파르템 꿈의 도시 레헬른 태초의 바다 에스페라
가디언 엔젤 슬라임 루시드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A1C20><tablebgcolor=#1A1C20> 검은 마법사군단장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 탄막 자체는 아예 없는 건 아닌게, 매그너스 이후로 보스맵에서 운석 등의 장애물이 떨어지고, 리마스터 이전의 스우는 구체난사 패턴이 있었다.[2] 아무리 스펙이 높아도 루시드의 레벨과 그 이하의 레벨에서의 스펙 한계치 때문에 235레벨이 되지 않으면 격수로 들어갈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미 대부분 유저들이 235레벨이 되기 전에 아케인포스 540이 넘는다. 그 이유는 레헬른 및 아르카나에도 미드나잇 체이서, 스피릿 세이비어 같은 특수 컨텐츠와 일일 퀘스트가 추가되고 소멸의 여로에서도 에르다 스펙트럼 추가와, 츄츄 아일랜드에도 일일 퀘스트가 추가되어 매일 얻을 수 있는 심볼의 개수가 늘어나 아케인포스 수급이 빨라졌기 때문이다. 경험치 요구량 감소로 인하여 레벨업도 빨라져서 다음 지역에 도달하는 기간이 짧아졌지만 일일 심볼 수급량 증가로 인해 빨라진 심볼 레벨업 속도를 따라가지는 못했다. 거기다 2020년 12월부터는 리버스 시티얌얌 아일랜드 스토리 퀘스트 완료 후 소멸의 여로, 츄츄 아일랜드 일일 퀘스트를 할 경우 퀘스트의 심볼 지급량이 2배로 늘어나서 235레벨이 되면 대부분 여로, 츄츄 심볼은 13~14레벨은 된 상태이고 레헬른~아르카나 심볼도 8~10레벨은 된 상태이니 초단기간에 235를 달성했거나 실수로 일퀘를 못한 경우가 아닌 이상 웬만해서 540은 그냥 넘긴다.[3] 업적명: '이곳이 나비 박물관인가요?'[4] 업적명: '쉽다. 쉬워.'[5] 업적명: '루시드는 츤츤'[6] 업적명: '달콤한 꿈을 꾸었습니다'[7] 업적명: '꿈 깨'[8] 업적명: '모닝콜 음악이 듣기 좋은 날'[9] 여왕님의 참교육[10] 해당 퀘스트를 완료하면 아케인심볼: 레헬른을 주고, 루시드 입장 자격을 얻는다. 그 다음 퀘스트인 "결전"을 끝내야 레헬른 지역의 스토리가 완료되며, 레헬른 일일 퀘스트와 미드나잇 체이서를 진행할 수 있다.[11] 221~224레벨까지는 하이퍼 버닝을 적용받는 캐릭터일 가능성이 높다.[12] 레헬른 일일 컨텐츠인 미드나잇 체이서는 루시드를 격파하고 스토리 및 퀘스트를 모두 완료하지 않아도 되지만 퀘스트 클리어를 하지 않으면 신비의 숲 아르카나 이상의 지역으로 갈 수 없다. 또한 배고픈 무토 즉시 완료와 이전 일일 퀘스트의 가짓수를 1개씩 줄이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13] 일각에서는 Borderless패치로 새로운 그란디스 보스가 이 간격을 메우지 않을까 예상을 했었지만, 그런 거 없이 끝났다. 그렇게 2년이 지난 2021년 여름, 이 간격을 다시 메울 보스가 등장하긴 했는데...[14] 보통 이런 경우라면 이지 루시드 솔격 시도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파티를 가더라도 노멀 루시드 2~3인팟을 가지, 솔격권인 48층의 경우 이지 루시드 2인팟은 노멀 루시드 3인팟과 비교해도 이득이 전혀 없어서, 파티가 거의 없다.[15] 그러나, 40~41층은 노멀 스우, 데미안 솔플도 30분에 가깝게 때려야 간신히 성공하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강한 유저가 많지 않은 버닝 월드 1~2주차 정도 시기의 격수들이나 혹은 층수에 상대적으로 덜 구애받는 비숍, 와일드헌터, 배틀메이지, 은월, 소울마스터 같은 버프/보조 직업이 아니라면 거의 받지 않는다. 버닝 월드를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 43~44층 이상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16] 3인격 최소컷은 43층이나 장기전이라 버티기가 난감하고, 특히 이지 루시드는 비슷한 스펙인 노멀 가엔슬과 같이 엮여 묶어 가므로 노블컷을 낼 수 있는 45층 이상을 선호한다.[17] 버닝 월드 기준이며, 일반 월드에서는 참여 기준 44층은 기본에 격수는 최소 46층 이상을 받는다. 와일드헌터, 비숍, 팔라딘, 은월, 베틀메이지 등의 시너지/보조 직업들 한정으로 이렇다.[18] 컷이 47층 이상인 경우 5인으로 출발하거나 비숍 없이 6인격수로 가는 파티도 많으며, 48층의 경우 대부분 3~4인 파티다.[19] 전술하다시피 이지 루시드라도 체력이 스데미와는 비교가 안 되기에 43층은 넘어야 끼워준다.[20] 그러나 비숍을 제외하면 대부분 직업들이 무릉 49~50층 스펙이면 하드 루시드 파티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노멀 루시드를 솔격하지 못하더라도 하드 루시드 파티에 들어갈 수 있다.[21] 한 비숍 유저가 벤전스+엔젤레이로 직접 실험했다. 출처 : http://www.inven.co.kr/board/maple/2304/27235[22] 1페이즈와 같은 방식으로 실험. 출처 : [23] 이전에는 비반감이었으나 이후 전 속성 반감으로 변경되었다.[24] 체력에 따른 경고는 3페이즈에서도 등장하나 딱히 의미는 없다. 3페이즈 진입 시 나비 패턴이 무효가 되기 때문.[25] x7일 때 현재 체력바의 60%[26] x5일 때 현재 체력바의 10%[27] x2일 때 현재 체력바의 60%[28] 이 패턴을 처음 사용했을 때만 안내된다. 이는 2페이즈도 포함.[29] 같은 칼날에는 1초의 재피격 대기시간이 존재한다.[30] 배경 뒤편을 보면 이 녀석이 어슬렁거리는 게 보이는데, 루시드가 불러오면 뒷배경의 소환수가 사라지기까지 한다.파일:루시드1페_소환수그림자.gif 문젠 저게 소환수 예고가 없어도 돌아다니는게 문제.[31] 부활기의 경우 팬텀의 럭 오브 팬텀시프 같은 부활 후 n초간 무적시간이 존재하는 스킬로만 회피가 가능하다.[32] 제논의 에비에이션 리버티, 데몬 직업군의 윗점프와 글라이딩 연계로 회피 가능하다. 메르세데스의 경우, 메르콥터를 타이밍 맞춰서 사용하면 회피 가능하다. 데몬 직업군의 경우 생각없이 점프하면 서서히 내려오는 글라이딩 특성 때문에 결국 사망하게 되므로 타이밍을 정말 잘 맞춰 점프하거나 최대한 공중에서 체공한 후 슬레이어는 무적기로 등으로 어벤져는 레버넌트를 켜서 아예 맞고 버티는 것이 상책.[33] 물론 소환수 패턴 시전중에만 안하기 때문에 바로 직전에 맵 아예 반대편으로 이동시켜버린 뒤 골렘들 사이에 끼워버리곤 소환수를 바로 소환하여 당황하게 만드는 정도의 악랄함은 여전히 잔존해있다.[34] 마법사 직업군의 공용 무적기인 에테리얼 폼으로 막아보려고 해도 워낙 투사체 수가 많기 때문에 에테리얼 폼을 뚫어버리고 플레이어가 비석을 세우게 만든다.[35] 길을 막고있는 소환수가 없다면 한쪽 방향으로 걸어다니면서 피할 수는 있다.[36] 이 안내는 루시드의 체력을 한 줄 깎을 경우 나타난다. 이는 2페이즈도 포함.[37] 폭탄이 걸리기 전에 써야 하며, 무적기는 차라리 폭탄 터질 타이밍에 맞춰 쓰는게 낫다.[38] 루시드는 에우렐 출신 엘프이므로 해당 꿈에는 에우렐의 모습이 담겨 있다.[39] 2페이즈 BGM 이름 역시 Dream Fragments. 이름의 의미는 꿈의 파편. 악몽의 시계탑의 BGM인 Shattered Time의 리듬을 빠르게 표현했다. 그만큼 긴박함이 느껴며 무너지는 시계탑만 봐도 어울리는 배경음.[40] 체력이 70%인 상태에서 추락하면 20%가 아닌 35%가 된다.[41] 버프창 버프 형식으로 적용된다. 참고로 버프창에 마우스오버를 하면 '추락하는 꿈을 꾸면 키가 자란다고 한다. 6초간 체력회복 불가.' 라는 설명이 나온다.[42] 해당 디버프는 서버렉이 적용되기에 실질적으론 최대 10초까지 지속될 수 있다.[43] 다만 추락 판정이 워낙 후해서 떨어진 직후 로프를 쓰면 추락 복귀 직후 허공에 로프 타고 점프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 상태에서 패턴을 맞으면 낮아진 체력+치유 불가로 인해 뭐 하기도 전에 비석 세우기 십상이다.[44] 같은 칼날은 역시 1초의 재피격 대기시간이 존재한다.[45] 패치 전에는 선딜 오류로 인하여 루시드가 이 패턴을 쓰면 가까이 있는 캐릭터는 바로 즉사했기 때문에 이 패턴이 제일 위험했다. 패치 후 선딜 오류는 없어지게 되었다.[46] 참고로 최상단 왼쪽 넓은 발판은 가급적 가지 않는 편이 좋은데, 그 발판은 골렘이 소환되는 발판이므로 운이 없으면 소환수 패턴 도중 나타난 골렘이 발판을 박살내고 그대로 아래로 떨어져 커쥬오마이걸을 저승에서 부를 수 있다. 제일 좋은 것은 같은 위치의 오른쪽 작은 발판에 서 있는 것이나 맨 아래 포탈 쪽 발판에 있는 것이 좋다.[47] 사실 플레이어를 조준하긴 하지만 한 발 한 발이 무조건 플레이어가 맞도록 범위를 설정하는건 아니어서, 조준 방향은 정확했는데 캐릭터와 떨어진 허공을 공격하는 경우도 몇 번씩 나온다. 거기에 좌우로만 신경쓰면 되는 카오스 벨룸의 꼬리와 달리 레이저가 꽂히는 방향이 전방위 중 랜덤이므로, 좌우로만 피하지 말고 레이저를 최대한 짧은 동선으로 피할 수 있는 방향을 선정해서 조금씩 움직이는 것이 좋다.[48] 살 수 있다고 설명한 이유는 댐감 판정이 체력 10%만 남길만큼 상당히 빡빡하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약쿨인 상태에서 패턴에 노출되거나 레디 투 다이를 켠 상태면 바로 삭제된다.[49] 하드는 3페이즈의 루시드를 처치했을 경우[50] 얼굴을 찡그리면서 사라지는 더미 데이터 모션도 존재한다. 하드 루시드에서 쓰일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현재는 노멀 루시드와 똑같이 여유로운 표정으로 도주한다. 다만 처치 시 고통에 신음하는 목소리는 그대로 남아있어 여유로운 표정으로 신음(?)하는 루시드를 볼 수 있다.[51] 기존의 타이머도 그대로 존재한다. 기존의 타이머가 45초 미만일때 3페이즈에 진입한다면 3페이즈의 타이머 45초가 지나기 전에 기존의 타이머가 0초가 되며 격파에 실패한다.[52] 기존 2페이즈에서 실행되던 주기 그대로[53] 다만 루시드 2페의 맵이 그렇듯 바닥이 짧기 때문에 이동기 스킬을 주력으로 하는 캐릭터들은 실수로 딜사이클 범위를 벗어나면 딜 누수가 생긴다.[54] 데몬어벤져의 익시드 풀강 이펙트가 화면 테두리로 나온다. 우르스의 발악 패턴에서 입는 주기적 피해의 매커니즘과 같다.[55] 0.5줄, 약 6400억[사진] 파일:i17115949992.jpg[파티원] 유꿔랑예나(핑크빈), 루시드잡는콩(핑크빈), 분홍물망여우(핑크빈), 돌아온마랑빈(핑크빈), 너무핑크해(핑크빈), 즐겜예티(예티)[58] 칼날을 맞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59] 원가 대비 약 36.870% 증가.[60] 원가 대비 약 41.596% 증가.[61] 아케인셰이드 장비로 교환 가능한 판타즈마 코인으로 교환 가능하다.[62] 원가 대비 약 63.870% 증가.[63] 마찬가지로 난이도 논란이 있는 스우/데미안의 순서가 그대로인 것과는 반대인 케이스.[64] 루시드의 패턴 자체는 맞아도 그리 아프지 않고 공략이 필요없을 정도로 단순해서 위협적이지 않은데 특유의 탄막 날리기와 폭탄설치 패턴 탓에 물약 소비가 거의 강제된다.[65] 반 레온~매그너스 격파 시 붙는 페널티 역시 매우 크지만 이들은 하위 보스라서 클리어에 전혀 지장이 없는 수준이다.[66] 대표적으로 폭탄과 1페이즈의 골렘 낙하.[d] 개인 부활 횟수가 아닌, 원정대 전체 공유 부활 횟수다.[d] [69] 레벨보다 아케인포스가 중요하다는 취지에서 입장 레벨 하한선이 하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