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11:13:46

로렌스 무어 코즈그레이브

<colbgcolor=#cf142b><colcolor=#fff> 로렌스 무어 코즈그레이브
Lawrence Moore Cosgrave
DSO&Bar
파일:1000135777.jpg
본명 로렌스 빈센트 무어 코즈그레이브
Lawrence Vincent Moore Cosgrave
출생 1890년 8월 28일
캐나다 자치령 토론토
사망 1971년 7월 28일 (향년 80세)
캐나다 자치령 놀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캐나다 자치령}}}}}}]]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캐나다 자치령}}}}}}]]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캐나다 자치령}}}}}}]]
학력 캐나다 왕립 사관학교
복무 캐나다 자치령 육군 (1912~1919, 1942~1946)
최종 계급 대령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1. 개요2. 생애

1. 개요

캐나다의 군인.

2. 생애

토론토에서 아일랜드 이주민의 아들로 태어났고[1] 1912년 캐나다왕립사관학교를 졸업하고[2] 포병 소위로 임관했다. 1차 대전이 발발하고 캐나다 원정군 소속으로 서부전선에 파견되어 1916년 제2차 이프르 전투에서 공을 세워 무공훈장을 받았고 1917년 70고지 전투에서도 활약해 두 번째 무공훈장을 받았다.

전쟁 말 중령까지 진급했고 1919년 제대했다. 제대 후 무역업자로 일했고 영국과의 무역에 종사했다. 1930년대 중국으로 시장을 넖혔고 상하이를 주 거점으로 삼았고 제반시설을 구축했다. 1932년 훙커우 공원 의거 당시 윤봉길이 폭탄을 투척하는 것을 목격했다. 1934년 중국에서의 사업을 철수하고 호주로 옮겼다.

1942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던 시점에 현역으로 복귀했고 남태평양 전선으로 배치되었다. 호주군 연락장교로 복무했고 일본의 항복 당시 캐나다 대표로 참석했다. 1946년 제대하고 기업인 생활을 재개했으며 1971년 사망했다.


[1] 아일랜드의 재무장관 W. T. 코스그레이브와 사촌관계이다.[2] 당시 동기로 존 매크레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