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19일 세이비어 업데이트로 칼리가 출시된 이후, 메이플스토리에는 장장 2년 5개월(29개월)이 넘도록 신직업 출시가 없었다.[1] 이로 인해 유저 사이에서는 여름 또는 겨울 시즌 대형 업데이트마다 신직업 출시가 예견되곤 했으나, 그때마다 기존 직업의 리마스터 또는 새로운 6차 스킬이 공개되었고 신직업 출시는 번번이 미뤄졌다.
그러던 와중, 어셈블 업데이트 쇼케이스가 2025년 6월 7일로 발표되면서 신규 직업 추가를 예측하는 기류가 강해졌다. 이때 대부분의 유저들은 어셈블(Assemble, 집합)이라는 이름에 주목해 다음 3가지 가설 중 하나를 주로 고려했다.
해외 전용 직업 해외 서비스 직업 도입 여부는 자주 회자되는 주제였고, 어셈블이 제목인 만큼 나올 하야토나 칸나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스토리에 깊게 관여하기 때문에 국내 도입 가능성이 낮았다 쳐도 린과 묵현은 실제 역사와 무관한 강호가 시작 지점이라 출시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2] 그러나 전 디렉터 강원기가 고객간담회에서 해외 서비스 전용 직업의 출시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기 때문에 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다.
메이플M 전용 직업 시아 아스텔의 GMS 출시가 발표되면서 설득력을 얻은 가설이다. 물론 이조차도 1번과 비슷하게 해외 서비스 한정이고,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직업 고유의 운용 시스템을 PC 사양에 맞게 바꾸는 데에는 많은 작업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출시될 가능성이 낮았다.
DEX 주스탯인 아니마 해적 신직업 가장 설득력이 높았던 가설이다. 실제로 해적 직업 계열 중 DEX가 주스탯인 직업은 캡틴, 메카닉, 엔젤릭버스터 셋 뿐이라 매물 확보 측면에서 해당 계열 직업을 추가해야 한다는 여론이 컸다. 게다가 아니마 해적이 비었으니 추가될 가능성은 충분했다.
결론적으로 신직업은 추가되었으나, 위 세 가지 가설 중 3번의 일부만 들어맞았다. 실제 추가된 것은 아니마 해적이 아닌 전사였다.
2025년 6월 7일 어셈블 쇼케이스가 18시 20분경에 종료된 후 19시 정각 테스트 서버에 올라왔다. 김창섭 디렉터가 입문하기 좋은 직업으로 설계했다고 언급했듯, 육성 시작부터 끝까지 연계나 게이지 등의 요소가 일절 포함되지 않은 지극히 직관적이고 표준적인 스킬 구조를 갖고 나왔다. 그러나 입문자 유입 측면에서 좋기 때문에 리스크가 적은 대신 리턴도 적을 거라는 예상이 그대로 들어맞았다.
테섭 내용이 거의 그대로 적용되어 들어왔다. 정식 패치에서도 마나 소모량 완화, 피흡 상시화 정도만 들어오면서 순수하게 메이플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입문자용 캐릭터로 설계하였음을 못박았다. 출시 당일부터 주어진 각종 육성 지원 혜택 때문에 다소 묻혔지만, 김창섭 체제 하에서 출시된 직업답지 않게, 극딜 몰빵에 압축까지 꽤나 잘 된 케이스라 순수 체급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3]
그래도 출시 이후 캐릭터 설계 의도에 걸맞게 유입 및 복귀 유저는 충실히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였다. 실제로 패치 당일 더로그 기준 실시간 메이플 점유율 22.98%를 달성하는 등 유례 없는 규모의 사람들이 메이플스토리에 유입되면서, 의도대로 흥행에 완벽히 성공했다. 다만 지나친 대성공으로 유저들이 과도하게 몰렸고, 이로 인해 긴급 점검 및 챌린저스 월드 한정 채널 증설까지 거쳤다.[4]
이러한 사태의 주요 원인은 렌의 오브젝트(사출기)에 있다. 쇄매나 만리향 등 클라이언트 리소스를 대량으로 잡아먹는 별도 오브젝트 판정 공격이 워낙 많은데다, 유저들까지 한꺼번에 몰리면서 처리할 데이터의 양이 매우 급격히 늘어나버렸기 때문이다. 게다가 흥행이 워낙 지나친 나머지 기존 유저들조차 다들 렌 키우려고 챌섭으로 빠지는 바람에 본섭에는 유례없는 공동화 현상까지 벌어졌으니, 당연히 과포화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일부 스킬의 지속 시간이 버프 아이콘에 표기되도록 변경됩니다. 변경되는 스킬은 아래와 같습니다.
팔라딘 – 그랜드 크로스
다크나이트 – 피어스 사이클론
아크메이지(썬,콜) – 라이트닝 스피어, 라이트닝 스피어 VI
비숍 – 디바인 퍼니시먼트
섀도어 - 소닉 블로우
듀얼블레이드 – 아수라, 블레이드 스톰, 아수라 VI
바이퍼 – 하울링 피스트
캡틴 – 불릿 파티
플레임위자드 – 인피니티 플레임 서클
나이트워커 – 래피드 스로우
메르세데스 – 이르칼라의 숨결
팬텀 – 조커
은월 – 파쇄연권
블래스터 – 발칸 펀치
와일드헌터 – 와일드 발칸 Type X
제논 – 메가 스매셔
카인 – [발현] 드래곤 버스트, [처형] 페이탈 블리츠
엔젤릭버스터 – 마스코트 패밀리어
일리움 – 크리스탈 이그니션
아크 – 끝없는 고통, 끝없는 고통 VI
일부 직업들의 최종 데미지 증가 초보자 패시브 스킬이 삭제됩니다. 삭제되는 직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히어로
팔라딘
다크나이트
신궁
패스파인더
나이트로드
바이퍼
캐논슈터
소울마스터
윈드브레이커
아란
루미너스
카인
카데나
제로
일리움
아크
챔피언 레이드 : 드래곤 아일랜드에서 태그 시 일부 스킬이 종료되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수정되는 스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콤보 어택
스노우 차지
엘리멘탈 리셋
다크니스 소서리
가호의 증표
스태프 부스터
메카닉 부스터
블레이즈 업
브레스 슈터 부스터
너클 부스터
부스터
매직 건틀렛 부스터
차크람 부스터
장검 가속
지팡이 가속
일부 스킬들의 HP 소모량이 100으로 변경됩니다. 변경되는 스킬은 다음과 같습니다.
쓸만한 미스틱 도어
쓸만한 샤프 아이즈
쓸만한 하이퍼 바디
쓸만한 컴뱃 오더스
쓸만한 홀리 파운틴
블링크
에르다 노바
에르다의 의지
블리츠 실드
콜 마스테마
판테온
스파이더 인 미러
이계 여신의 축복
크레스트 오브 더 솔라
이계의 잔상
트랜센던트
오라 웨폰
바디 오브 스틸
레디 투 다이
일부 스킬의 전용 배경음악이 스토리 연출 중 출력되지 않도록 수정됩니다. 수정되는 스킬은 아래와 같습니다.
패스파인더 - 렐릭 에볼루션
나이트워커 - 도미니언
은월 - 환혼요호진
카인 - 타나토스 디센트
엔젤릭버스터 - 소울 익절트, 스포트라이트, 그랜드 피날레
키네시스 - 싸이킥 오버
아델 - 인피니트
일리움 - 크리스탈 스킬:글로리 윙
칼리 - 오블리비온
라라 - 아름드리 나무
호영 - 선기 : 강림 괴력난신
스피릿 오브 프리덤
지속 중 일부 무적 스킬 사용 시 남은 지속 시간과 관계없이 효과가 종료되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소울 컨트랙트
다른 스킬 사용 중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됩니다.
창조의 아이온
키다운 스킬 사용 중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됩니다.
시전 시 이펙트가 어색하게 보이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초월 : 불굴의 결의
키다운 스킬 사용 중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됩니다.
최종 데미지 증가
마우스 오버 시 아이콘 색이 진해지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어센트 스킬의 공격 범위가 약 54% 증가됩니다.
일격필살 I
지속 시간이 2초에서 4초로 증가됩니다.
■ 렌
매화검 4초식 : 영인
지속 중 이펙트가 어색하게 보이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1] 메이플스토리가 서비스를 시작한 2003년 4월 29일 이래로, 신직업 출시에 2년 이상 소요된 사례는 2007년 12월 18일 해적 계열 직업(건슬링어, 인파이터)뿐이었다.[2] 특히 묵현의 경우 용의 전인의 주스탯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DEX를 주스탯으로 쓰는 해적이라는 점, 그리고 최근 리마스터가 행해진 뒤 GMS에 출시되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근거가 있었다.[3] 단, 체급 관련해서는 해당 패치를 기준으로는 확정된 사안이 아니다. 어센트 스킬인 창룡파천검: 일매낙화 천비인적의 퍼뎀이 아직 합산되지 않은데다, 해당 스킬의 구조가 망혼강림처럼 1~3타 구조에 3연속 사용으로 총 9회씩이나 무적을 주는 극딜기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즉 이론 대비 실전의 피해량 격차는 훨씬 적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4] 통상적인 채널 수는 1~39+20세이상으로 40개지만, 챌섭 한정으로 20개를 더 추가했다. 여기에 챌1과 챌2에 과하게 몰린 인구를 분산하고자 챌섭간 리프까지 동원했다. 물론 챌3과 챌4로만 허용하는 낙수식 이동만 지원하는 형태다.[5] 무시할 수 없는 상태이상이나 패턴 등으로 섬무가 도중에 끊기지만 않는다면 어차피 망혼강림 4회를 다 털어내는 건 확정사항이라, 섬무 의존도가 다소 높아질 염려는 있어도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