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15:17:36

레트로 게임기

<nopad> 파일:패미컴미니.jpg
닌텐도 클래식 미니 패밀리컴퓨터
1. 개요2. 종류
2.1. 복각 게임기2.2. 에뮬레이터 게임기2.3. 수동 설치형
3. 형태4. 기기 목록5. 관련 문서

1. 개요

레트로 콘솔을 오늘날 재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임기이다. 원래 제조사에서 내놓은 경우도 있지만 중소기업에서 만드는 경우도 있다. 보통 에뮬레이터와 롬 파일이 깔려 나오지만 원본 카트리지 장착형으로 나오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주로 '레트로 게임기'라 불리고, 영어권에서는 'retro style video game console'로 불린다.[1]

2. 종류

2.1. 복각 게임기

콘솔 제조사에서 과거에 출시된 콘솔 게임기를 축소한 형태로 에뮬레이터와 게임 롬파일이 들어있다. 제조사에서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합법적인 제품이라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간 한정으로 판매되거나 소량 생산인 경우가 많아 접근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즐길 수 있는 게임의 종류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

2.2. 에뮬레이터 게임기

복각판 게임기가 라이선스 계약이 된 일부 게임만 할수 있는 반면 에뮬레이터 게임기들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게임목록을 관리할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에뮬레이터와 롬파일이 같이 내장된 형태가 제일 많지만 법을 신경쓰는 경우 아예 기기만 팔거나[2] 에뮬레이터만 내장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2.3. 수동 설치형

사실 스마트폰이나 미니 PC, 라즈베리 파이 같은 기기로도 고전 게임을 즐길수 있지만 이걸 레트로 게임기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별도의 설정이 필요한데다 애초에 타겟 분야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런 기기들도 약간의 수고로움을 감수한다면 훌륭한 레트로 게임기로 재탄생 시킬수가 있다.

3. 형태

4. 기기 목록

레트로 게임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가정용
거치형
닌텐도 클래식 미니 시리즈 · PC 엔진 미니 · 메가 드라이브 미니 · 메가 드라이브 미니 2 · PlayStation Classic
휴대용
게임 & 워치 컬러 스크린 시리즈 · 네오지오 X · 게임 기어 미크로
아케이드
오락기
캡콤 레트로 스테이션 · MVSX HOME ARCADE · 아스트로시티 미니 · 아스트로시티 미니 V · 이그렛 투 미니 · 네오지오 미니 · DanceDanceRevolution Classic Mini
기판
네오지오 아케이드 스틱 프로 · 캡콤 홈 아케이드
비공식
월광보합 · Analogue Pocket · Anbernic · Retroid
각 종류별 게임기 둘러보기
레트로 | 범용 운영체제
}}}}}}}}} ||

5. 관련 문서


[1] 영문 위키백과[2] 우연히도 에뮬레이터와 롬이 설정된 한방팩이 인터넷에 돌아다닌다.[3] 대부분 microSD카드 안에 펌웨어와 롬파일이 내장된 형태이다. 기기내에는 별도의 저장장치가 없기 때문에 SD카드를 수정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운영체제나 롬파일을 교체가 가능하다.[4] 예를 들어 3DS로 DS, 3DS 게임을 즐기는 것과 더불어 패미컴, 슈퍼 패미컴 게임도 부가적으로 즐기는 경우가 있다.[5] 기본 OS와 게임 세팅까지 완벽하게 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를 의미한다. 완벽하게 한글화 된 커스텀 UI와 각종 편의성 업데이트가 되어 있는데 유저가 뭘 세팅할 필요 없이 그냥 메모리 카드를 꼽기만 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안드로이드 게임기와 윈도우 게임기는 그것이 불가능하여 유저가 고생 좀 해야 한다. 실제로 안드로이드 게임기 한방팩은 게임(게임 파일, 게임 썸네일, 게임 리스트를 포함)팩 세트와 함께 에뮬 설정법이 별도로 적힌 설명서가 동봉 된다.[6] 사실 요새는 60hz의 스크린이 더 비싸서 주사율이 높은 스크린을 달고도 일부러 주사율을 낮추곤 한다. 주사율을 60hz로 낮추는 이유는 게임에 따라 화면이 출렁거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