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2:39:46

레이날도 로페스/선수 경력/2024년

1. 개요2. 시즌 전3. 페넌트레이스
3.1. 3~4월
3.1.1. 4월 2일: CWS전 (원정) [ND]3.1.2. 4월 9일: NYM전 () [승리]3.1.3. 4월 16일: HOU전 (원정) [승리]3.1.4. 4월 24일: MIA전 () [ND]3.1.5. 4월 30일: SEA전 (원정) [패배]
3.2. 5월
3.2.1. 5월 7일: BOS전 () [ND]3.2.2. 5월 13일: CHC전 () [ND]3.2.3. 5월 20일: SD전 () [ND]3.2.4. 5월 25일: PIT전 (원정) [패배]3.2.5. 5월 31일: OAK전 () [승리]
3.3. 6월
3.3.1. 6월 6일: WSH전 (원정) [ND]3.3.2. 6월 13일: BAL전 (원정) [승리]
3.4. 7월3.5. 8월3.6. 9월3.7. 정규시즌 성적
4. 총평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선수 레이날도 로페스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시즌 전

스프링캠프에서 선발투수로 테스트될 것으로 보인다.
16⅔이닝동안 평균자책점 2.16, WHIP 0.96을 기록하며 선발 합격점을 받았다.

3. 페넌트레이스

3.1. 3~4월

3.1.1. 4월 2일: CWS전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6 5 4 0 2 1 1 82
본인의 전 소속팀이었던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상대로 이번 시즌 선발 데뷔전을 치렀으며 6이닝 5K 1실점의 산뜻한 스타트를 끊었다.

3.1.2. 4월 9일: NYM전 ()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6 3 0 3 0 0 94
뉴욕 메츠를 상대로 6이닝 6K 무실점의 완벽한 투구를 선보이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좌타자를 상대로 커브볼을 적극적으로 구사하며 반대손 타자들까지 잘 상대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대로라면 스펜서 스트라이더가 빠진 애틀랜타 선발진에서 실질적 우완 에이스의 역할을 기대해도 좋을 듯 하다!

3.1.3. 4월 16일: HOU전 (원정)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7 4 0 1 0 0 94
팀OPS 3위팀인 휴스턴과의 원정경기에서 6이닝 7K 무실점 피칭을 보여주었다. 단순히 구위로 윽박지르는 게 아닌 평소 95마일의 패스트볼을 던지다가 위기상황에서 구속을 올려 98마일의 직구를 뿌리거나 좋은 변화구 로케이션으로 장타를 억제하는 위기관리 능력까지 보여주었다.

3.1.4. 4월 24일: MIA전 ()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7 6 3 1 2 1 1 82
다리우스 바인스브라이스 엘더의 콜업 등으로 충분한 휴식일을 가진 후에 등판한 경기이기에 좋은 활약이 기대되었고 그 기대에 화답하는 훌륭한 피칭을 보여줬다. 2회초에 헤수스 산체스에게 초구로 던진 체인지업이 홈런으로 연결되며 시즌 첫 피홈런, 시즌 2번째 실점을 기록했으나 멘탈을 잘 추스리며 많은 땅볼유도와 탈삼진, 2번의 병살타를 유도했으며 7이닝동안 82구만을 던지며 효율적인 피칭능력까지 보여줬다. 그러나 로페스의 호투에도 불구하고 마무리투수 레이셀 이글레시아스가 블론을 저지르며 시즌 3번째 승리가 날아갔다. 다행히 10회초 연장에서 A.J. 민터의 호투와 마이클 해리스 2세의 끝내기 안타로 팀은 짜릿하게 승리.

지금까지 4번의 선발 등판에서 소화한 25이닝 중 단 2실점만을 허용하며 시즌 초반 애틀랜타의 믿음직한 수문장 역할을 해주고 있다.

3.1.5. 4월 30일: SEA전 (원정)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5 7 6 1 2 3 3 88
지난 경기에 이어 또다시 피홈런을 적립하며 최종 5이닝 3실점으로 시즌 첫 패를 기록했다.

3.2. 5월

3.2.1. 5월 7일: BOS전 ()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5⅓ 5 6 0 4 2 1 91
경기 초반 좋은 슬라이더 제구를 보여주며 탈삼진을 잡아냈으나 이후 6이닝 아르시아의 수비실수로 병살타를 완성하지 못하자 제구가 더더욱 흔들리며 볼넷 밀어내기 실점, 한 이닝에만 3개의 볼넷을 내주며 강판되었다. 1사 만루상황에 좌완불펜 애런 범머가 등장하여 좌타자 2명을 백투백 삼진을 잡아내며 위기를 막아낸 덕분에 최종 5⅓이닝 1실점이라는 좋은 성적표를 따냈다.

이날 주 레퍼토리인 패스트볼-슬라이더 콤보에서 패스트볼의 제구가 되지 않자 크게 무너진 모습을 보여주어 2번째,3번째 타선을 상대할 때 초구로 커브볼/체인지업을 던지던 시즌 초 모습을 복기해야 할 것이다.

3.2.2. 5월 13일: CHC전 ()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5 4 2 0 2 0 0 71
시즌 초 현재 각종 투수 지표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마나가 쇼타가 맞상대로 예고되어 경기가 투수전 양상으로 흘러갈 것임을 사전에 암시했다. 경기가 시작되자 97마일 패스트볼을 꽂으며 좋은 출발을 보였고 보더라인으로 제구되는 포심과 헛스윙을 유도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좌타자 상대로는 커브볼도 구사해가며 상대 타자들을 공략했다.

경기 내용은 사전 예상대로 두 에이스 선발 투수들의 맞대결답게 양측 모두 마운드를 내려오기 전까지 상대 타선에게 단 하나의 점수도 허용하지 않는 무실점 경기를 서로 펼쳤으나 애틀랜타의 강타선을 더는 버티기 힘들겠다는듯 5이닝만을 소화한 채 내려간 이마나가에 이어 로페스 또한 아직 투구 수의 여유가 있던 71구 상황에서 등 통증을 감지하여 더 무리하지 않고 빠르게 교체되었고 그렇게 같은 타이밍에 퇴장한 두 선수는 승패 없는 노디시전을 바로 확정지었다. 최종 경기 결과는 컵스의 불펜으로부터 점수를 뽑아내고 뒷문을 단단히 걸어잠근 애틀랜타의 팀 완봉승.

이날 경기가 끝나고 1966년 이후 시즌 첫 7경기까지 기록한 ERA 순위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위업을 달성했다.[1]

3.2.3. 5월 20일: SD전 ()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6⅓ 4 5 0 1 2 2 83
지구1위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벌써 5경기 차이, 애틀란타의 시즌 첫 4연패 위기에서 등판했다. 슬라이더로 많은 헛스윙을 유도하였고 좌타자를 상대로는 철저히 체인지업을 버리고 커브볼을 서드피치로 활용했다. 완벽한 투구수 관리를 보여주며 단 72구만에 6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완급조절을 하며 완투를 기대하는 페이스를 보여줬으나, 이후 안타를 맞고 6⅓이닝 83구에 교체됐다.

3.2.4. 5월 25일: PIT전 (원정)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4⅔ 3 5 0 1 3 2 70
그야말로 복덩이같은 활약을 펼쳐주던 로페즈였지만 이번시즌 통틀어 최악의 피칭을 하며 크게 고전했다. 4이닝동안 3실점 3K 1볼넷으로 K/BB 비율이 3/1에 불과했다. 하이패스트볼을 위시로 잘 제구된 바깥쪽으로 빠지는 유인구들까지 피츠버그 타선들이 집중력 있는 모습으로 안타로 연결시키며 이번시즌 가장 적은 투구수인 단 70구만에 강판됐다.

3.2.5. 5월 31일: OAK전 ()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8 4 0 2 1 1 87
6이닝 8K 1실점으로 호투했고 시즌 3승을 달성했다.

3.3. 6월

3.3.1. 6월 6일: WSH전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6 7 6 2 1 2 2 86
같은 지구 워싱턴을 상대로 등판한 원정 경기로 6회가 시작되고 첫 두 타자에게 연타석 솔로 홈런을 허용하는 흠결이 다소 있었으나 최종 6이닝 7K 2실점으로 선발로서의 제 몫은 다해주며 마운드를 내려왔다. 교체 이전까지 팀 타선의 무득점으로 인해 아쉽게 승리를 챙기지는 못했지만 다행히 역전에 성공하여 경기는 승리로 마무리.

3.3.2. 6월 13일: BAL전 (원정)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8 2 0 1 0 0 91
강타선이 즐비한 볼티모어와의 인터리그 원정 경기에 출전해 6이닝 8K 무실점의 완벽투를 선보이며 시즌 4승을 달성했다.

그동안의 불규칙적이었던 등판 간격으로 경쟁자들에 비해 소화 이닝 수가 약간 모자르지만 현재 양대리그를 통틀어 ERA 전체 1위를 사수하고 있다. 같은 지구 경쟁팀인 필라델피아 필리스에게 압도적인 격차로 지구 1위를 내줄 정도로 지난 시즌들에 비해 전력 약화가 눈에 띄는 애틀랜타의 플레이오프행을 향한 희망이 되어주는 중.

3.4. 7월

3.5. 8월

3.6. 9월

3.7. 정규시즌 성적

<rowcolor=#FFFFFF> 일자 상대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4/2 시카고 화이트삭스 ND 6 5 4 0 2 1 1
4/9 뉴욕 메츠 6 6 3 0 3 0 0
4/16 휴스턴 애스트로스 6 7 4 0 1 0 0
4/24 마이애미 말린스 ND 7 6 3 1 2 1 1
4/30 시애틀 매리너스 5 7 6 1 2 3 3
4월 전체 - 5G 30이닝 2승 1패 ERA 1.50 31K WHIP 1.00
5/7 보스턴 레드삭스 ND 5⅓ 5 6 0 4 2 1
5/13 시카고 컵스 ND 5 4 2 0 2 0 0
5/20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ND 6⅓ 4 5 0 1 2 2
5/25 피츠버그 파이리츠 4⅔ 3 5 0 1 3 2
5/31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6 8 4 0 2 1 1
5월 전체 - 5G 27⅓이닝 1승 1패 ERA 1.98 24K WHIP 1.17
6/6 워싱턴 내셔널스 ND 6 7 6 2 1 2 2
6/13 볼티모어 오리올스 6 8 2 0 1 0 0
6월 전체 - 2G 12이닝 1승 0패 ERA 1.50 15K WHIP 0.83
시즌 전체 - 12G 69⅓이닝 4승 2패 ERA 1.69 70K WHIP 1.04

4. 총평


[1] 1966년 이후 시즌 첫 7경기까지 방어율 1.34 이하의 브레이브스 투수: 2002 톰 글래빈 0.93 1994 그렉 매덕스 0.94 2019 마이크 소로카 1.01 2024 레이날도 로페즈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