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8:59:26

레드(만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무라에다 켄이치의 만화에 대한 내용은 RED(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레드
レッド
파일:레드_1권표지.jpg
장르 시대극
작가 야마모토 나오키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연재처 이브닝
연재 기간 2006년 21호 ~ 2018년 11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2권 (2023. 2. 完)[1]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등장인물
4.1. 혁명자 연맹4.2. 적군파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가, 야마모토 나오키가 집필한 적군파를 주축으로 하는 시대극 만화. 명예훼손 및 기타 법적인 문제 탓인지, 등장 인물들 모두 실명이 아닌 가명으로 등장하며, 실제 작가가 자료 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만든 작품이라 고증 면에서는 수준급의 작품으로 꼽힌다.

2010년 제14회 문화청 미디어예술제 만화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며, 2018년 아사마 산장 사건을 배경으로 한 "레드 최종장 아사마 산장에서의 10일간(漫画:レッド最終章 あさま山荘の10日間)"을 끝으로 완결했으며, 2022년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신장판인 레드 1969 - 1972로 단행본이 출간되었다.

2. 줄거리

이 이야기의 무대는 1969년부터 1972년에 걸친 일본.베트남전이나 공해문제 등 고도성장의 왜곡을 배경으로 당연한 듯 학생운동에 참여해 나간 보통의 젊은이들이, 이윽고 모순에 찬 국가체제를 타도한다고 하는 혁명운동에 몸을 던져 가는 것과, 그 앞길을 쿨하게 그려내는, 젊은 혁명가들의 청춘 군상극이다.

3. 발매 현황

01권 02권 03권
파일:레드_1권표지.jpg 파일:레드_2권표지.jpg 파일:레드_3권표지.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9월 2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7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6월 23일
04권 05권 06권
파일:레드_4권표지.jpg 파일:레드_5권표지.jpg 파일:레드_6권표지.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6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2월 23일
07권 08권
파일:레드_7권표지.jpg 파일:레드_8권표지.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3월 2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2월 21일
01권 02권
파일:레드_마지막60일_1권.jpg 파일:레드_마지막60일_2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2월 23일
03권 04권
파일:레드_마지막60일_3권.jpg 파일:레드_마지막60일_4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2월 2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2월 23일
1권
파일:레드_최종장_아사마_산장에서의_10일간.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8월 23일

4. 등장인물

가명처리되었지만,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한 덕분에 실존 인물이 누구인지 기록되어 있어 대조하며 확인이 가능하다. 예시로 적군파 측 주인공인 "이와키 야스히로"의 경우, 우에가키 야스히로를 원본으로 하였다. 가명의 어원은 일본의 실존하는 산명이다.

4.1. 혁명자 연맹

4.2. 적군파



[1] 신장판 레드 1969 - 1972[2] 아사마 산장 사건 이후 군마 현 산속에서 체포되어 이송되었으며, 이후 사형판결을 받고 2011년 구치소에서 병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