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0 01:13:49

프로젝트 1형 구축함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 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해군 함선
#3399ff,##0065cc 상륙함 볼린데르급RE
어뢰정 Sh-4급, G-5급, D3급, PT 보트US
잠수정 / 함 슈카급, 칼레브급노획, M급, A급, L급, P급, S급, D급, K급, 로니스급노획, 바르스급, L급UK, S급UK, U급UK, 퀘벡급C
호위함 타코마급 호위함US
구축함 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RE, 오피트니급, 프로젝트 흑해 1929년형, 그녜브니급, 스따라졔보이급, 레닌그라드급, 민스크급, 타슈켄트급, 프로젝트 30형, 키예프급, 프로젝트 35형, 프로젝트 36형, 프로젝트 37형, 프로젝트 40형, 프로젝트 24형
기뢰전함 마르티급RE, 프로젝트 253L형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틀라나급RE, 차파예프급, 무르만스크급US, 팔라다급RE, 바가티르급RE, 프로젝트 28형, 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94형, 소형 경순양함, 프로젝트 X형
모니터함 SB-37급(제례즈냐코프급), 하산급
군수지원/구난함 콤무나RE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전함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RE, 아르한겔스크UK, 프로젝트 21형, 프로젝트 A형, 프로젝트 1058형US,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프로젝트 24형
항공모함 훈련함 재건조 계획, 프로젝트 71형, 프로젝트 72형, 체펠린노획, 프로젝트 69AV형, 프로젝트 23형 전함 재건조 계획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 C: 전후 완공, 윗첨자 UK/US: 영국/미국 해군에서 도입, 윗첨자 노획: 전쟁 중 노획한 함선, 윗첨자 RE: 러시아 제국 시절 개발된 함선 }}}
}}}}}}


파일:Leningrad_Class_12.jpg
Лидеры эскадренных миноносцев проекта 1 «Ленинград»

1. 개요2. 제원3. 설계4. 동형함 목록5. 운용 및 실전사례
5.1. 발트 함대5.2. 흑해 함대5.3. 전후
6. 미디어에서의 등장

1. 개요

1937년 소련이 자력으로 설계, 건조한 첫번째 주력 전투함. 원래 소함대(구축함으로 구성된 고속선단)의 기함으로 운용할 것을 상정했으나, 실제로 그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지는 못한, 소련 입장에서는 아깝게 쓴 함급이기도 하다.

2. 제원

파일:29978_leningrad-01.jpg
배수량2,150t(기준), 2,582t(만재)
전장127.5 m
선폭11.7 m
흘수4.18 m
승조원250명
무장130mm B-13 단장포 5기[1], 76mm 34-K 대공포 2문,
37mm 70-K 대공기관포 2문, 12.7mm DShK 기관총 4정,
533mm 4연장 어뢰발사관 2문, 기뢰 115발, 폭뢰 52발
추진체계LMZ[2] GTZA-24 기어드 증기터빈 3기, 출력 66,000마력, 3샤프트
속도40 knots
항속거리20 knots로 2,100해리

3. 설계

소련 최초의 현대적 설계 구축함으로, 처음 그려 본 설계를 바로 뚝딱 만들어 낸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흑해 1929년형 구축함이 프로젝트 1의 전신으로, 처음부터 실제 건조가 아닌 연구 목적으로 탄생한 설계도였다. 프랑스 해군이 1933년부터 건조하기 시작한 보클랭급 구축함에 크게 고무되어 시대상에 맞게 재설계되었다. 사실상 모든 소련 구축함의 어머니와 같은 존재.[3]

파일:Lider1929_02.png
당시 "4-5문의 130mm 함포와 2-3문의 533mm 어뢰발사대를 탑재하고, 대공능력이 탁월하며 40노트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을 것" 이라는 조건 하에 설계되어 이미 프로젝트 1형과 거의 동일한 스펙이 확정되었고, 실제로 건조된 레닌그라드 또한 이 당시의 설계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수상기 캐터펄트가 제거된 것. 당시 기준으로 대형이었던 선도구축함이지만 수상기를 운용하기에는 여전히 공간이 부족했고, 기동성 확보가 중요해 프로젝트 1 설계도에서는 지워진다. 여전히 함교 등 상부구조물의 크기가 커 무게중심이 높아서 항행능력은 떨어지는 편이었다.

프로젝트 1형의 큰 특징을 꼽자면 구축함임에도 샤프트를 3개 장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일러 하나당 샤프트 하나씩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일격으로 함선이 기동력을 완전히 상실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방지책이다. 이 때문에 40노트의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었다.

4. 동형함 목록

프로젝트 1과 38은 도시에서 이름을 따 왔다.
함명건조번호건조자착공일진수일취역일운용 함대운명
프로젝트 1
레닌그라드
Ленинград
450190번 즈다노프 조선소(레닌그라드, 러시아)1932년 11월1933년 11월 17일1936년 12월발트 함대1958년 4월 표적함으로 격침
하르코프
Харьков
223198번 흑해 조선소(니콜라에프, 우크라이나)1932년 10월1934년 9월 9일1938년 11월흑해 함대1943년 10월 6일 새벽 얄타 남쪽 바다에서 독일군 폭격으로 침몰
모스크바
Москва
224198번 흑해 조선소(니콜라에프, 우크라이나)1932년 10월1934년 10월 30일1938년 8월흑해 함대1941년 6월 26일 콘스탄차 앞바다에서 루마니아 기뢰에 굉침(추정)[4]

5. 운용 및 실전사례

5.1. 발트 함대

레닌그라드는 직계사촌뻘 되는 프로젝트 38형(민스크급)의 민스크와 함께 발트 함대에 배치되었다. 겨울전쟁이 발발하자 둘 모두 핀란드령 사렌파 섬의 방어 거점들에 대한 포격에 동원되어 1939년 12월 10일과 12월 30일-1월 3일 두 번에 걸쳐 200발이 넘는 포탄을 소비했고, 1941년 6월 23일,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환으로 핀란드 만에서 기뢰 매설 작업을 엄호했다. 이후 레닌그라드와 민스크는 독일군이 매설한 기뢰로 인해 각각 레닌그라드와 그 바로 앞바다인 크론슈타트에 갇혀 지내면서 레닌그라드 공방전을 지원하는 고정포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유명한 레닌그라드의 수호신 마라 못지않게 대공엄호와 지상포격에 큰 도움을 줬다. 도시의 이름을 딴 군함이 그 도시에 묶여 끝까지 지켜낸 어찌보면 참으로 적절한 전개.

5.2. 흑해 함대

모스크바는 1941년 6월 26일 바르바로사 작전의 일환으로 루마니아의 콘스탄차 항구에 250발에 달하는 포탄을 퍼부었으나, 기뢰로 추정되는 폭발로 침몰해 이것이 모스크바의 처음이자 마지막 활약이 된다.

5.3. 전후

여느 소련 군함이 그렇듯 프로젝트 1형과 38형 모두 전후에 어떤 활동을 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1951년 훈련함으로 재취역한 민스크를 제외하면 개수 후 1960년대에 표적함으로 가라앉거나 스크랩 처리되었다.

6. 미디어에서의 등장

파일:external/api.worldofwarships.eu/PRSD507.png
월드오브워쉽 소련 프리미엄 7티어 구축함으로 레닌그라드가 등장한다. 정규 트리에는 프로젝트 38형인 민스크가 올라 있다.

파일:WFC_Ships_Leningrad.png
워쉽 플릿 커맨드에서 레닌그라드가 4성급의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Naval Front-Line의 소련트리 세번째 구축함으로 등장. 5개의 주포장착점과 2개의 어뢰장착점을 가졌으며 순양함용 4연장 어뢰도 사용가능.


[1] 전문 양용포로서의 능력은 없으나 대공포탄은 있음. 참고로 이 포를 가져다가 다목적 자주포 시제안인 SU-100Y의 주포로 쓰기도 했다.[2] 레닌그라드 철강공장(Ленинградский Металлический Завод). 1857년 설립된 유서깊은 공업사로, 대전기간 중의 공로를 인정받아 레닌훈장을 수여받았고, 현재도 실로븨에 마쉬늬(Силовые Машины) 그룹의 자회사로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는 터빈 전문 회사이다.[3] 실제로 소련은 이 함급 이후로 많은 함선을 건조하면서 경험은 많이 쌓았지만, 독자적 설계로 우수하다 할 만한 함선을 만들어낸 일은 비교적 드물었다. 대부분의 경우 해외의 사례를 참고해 가면서 설계했다.[4] 모스크바의 굉침 요인으로 제시된 것들로는 루마니아 구축함 "레기나 마리아"의 포격, 독일군이 설치한 280mm 해안포 "티르피츠"의 포격, 혹은 아군 잠수함 "슈카-206(Щ-206)"의 오인 뇌격이 있으나, 가장 유력한 설이 기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