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24 02:53:07

레나토 부소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파일:Renato_Buso_-_UC_Sampdoria_1992-93.jpg
<colbgcolor=#eee><colcolor=#000,#e5e5e5> 이름 레나토 부소
Renato Buso
출생 1969년 12월 19일 ([age(1969-12-19)]세)
이탈리아 트레비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2cm|체중 미상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은퇴)
소속 <colbgcolor=#eee> 선수 몬테벨루나 칼초 (1984~1985)
유벤투스 FC (1985~1989)
ACF 피오렌티나 (1989~1991)
UC 삼프도리아 (1991~1993)
SSC 나폴리 (1993~1996)
SS 라치오 (1996~1997)
피아첸차 칼초 (1997~2000)
칼리아리 칼초 (2000~2001)
스페치아 칼초 (2001~2003)
감독 스페치아 칼초 (2004~2005 / 수석 코치)
사르자네세 칼초 (2006~2007)
스페치아 칼초 (2007~2008 / 유소년팀)
ACF 피오렌티나 (2008~2011 / 유소년팀)
US 가보라노 (2011~2013)
AC 키에보베로나 (2013~2014 / 수석 코치)
ASD 산조반네세 1927 (2018~2019)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감독 경력

1. 개요

이탈리아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 선수 시절 공격수미드필더를 오가며 활약했으며, 유벤투스 FC, ACF 피오렌티나, UC 삼프도리아, SSC 나폴리 등 여러 세리에 A 팀에서 뛰었다. 유벤투스 소속으로 1985-86 시즌 세리에 A 우승을, 삼프도리아 소속으로 1991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을 차지했다. 이탈리아 U-21 대표팀 소속으로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이끌었으며, 대회 득점왕과 골든 플레이어를 수상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여러 팀의 감독 및 코치를 역임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레나토 부소는 트레비소에서 태어났다. 1985년 16세의 나이로 유벤투스 FC에서 세리에 A 데뷔전을 치렀다. 당시 알도 세레나, 이안 러쉬,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등 공격수들의 백업 선수였음에도 불구하고, 1985-86 시즌 세리에 A 우승과 1985년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경험했다.

1989년 ACF 피오렌티나로 이적하여 로베르토 바조, 오스카르 데르티시아와 함께 윙어 또는 세컨드 스트라이커로 활약했다. 피오렌티나 소속으로 1990년 UEFA컵 결승전에서 친정팀 유벤투스를 상대로 득점을 기록했으나, 팀은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1991년 UC 삼프도리아로 이적하여 1991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을 차지했다. 1991-92 유러피언컵에서도 6경기를 출전하며 팀의 결승행에 일조했고, 결승전에서는 연장전잔루카 비알리와 교체 투입되어 경기장을 누볐지만 12분만에 로날드 쿠만에게 프리킥 결승골을 내주며 패배를 겪고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SSC 나폴리, SS 라치오, 피아첸차 칼초, 칼리아리 칼초를 거쳐 세리에 C1 소속의 스페치아 칼초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선수 경력이 진행되면서 미드필더로 포지션을 변경하기도 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레나토 부소는 이탈리아 U-21 대표팀 소속으로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체사레 말디니 감독의 지휘 아래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이 대회에서 3골을 기록하며 득점왕과 골든 플레이어를 동시에 수상했다.

또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이탈리아 올림픽 대표팀 일원으로 참가하여 5경기에 출전했다. U-21 대표팀으로는 총 25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했다.

3.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스페치아 칼초의 수석 코치를 맡았다.

이후 사르자네세 칼초, 스페치아 칼초 유소년팀, ACF 피오렌티나 유소년팀 감독을 역임했다.

2011년 11월 17일 US 가보라노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2013년 4월 팀이 강등권에 머물자 해임되었다. 이후 AC 키에보베로나 수석 코치, ASD 산조반네세 1927 감독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