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대한정교회'''{{{#!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산하의 한국대교구}}}에 대한 내용은 [[정교회 한국대교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정교회 한국대교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정교회 한국대교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산하의 한국대교구: }}}[[정교회 한국대교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정교회 한국대교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정교회 한국대교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rowcolor=#221f20> 러시아 정교회 대한교구 Korean Diocese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Корейская епархия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 |
<nopad> | |
<colbgcolor=#97b5db><colcolor=#221f20> 형태 | 러시아 정교회 교구 |
전례 | 비잔틴 전례 |
교구 설정 | 2019년 2월 26일 ([age(2019-02-26)]주년) |
국가 |
|
관할 |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
소속 관구 | 동남아시아 총대주교 대리구 |
관할지역 | 한반도와 부속도서[1] |
주교좌 | 서울 그리스도 부활 성당 |
교구장 | 테오파니스 김 대주교 |
주교좌 성당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62길 45-11(2층) |
관련 링크 |
1. 개요
러시아 정교회 대한교구는 대한민국과 북한을 관할하는 러시아 정교회 산하 교구이다.2. 역사
러시아 정교회 한국선교회는 1897년에 조선 주재 러시아 부영사 대행 폴랴놉스키(З.М. Поляновский)의 성직자 파송 요청에 따라 창설되었다. 1899년 중순에 2명의 러시아인 선교사가 한국에 입국하였으며 1890년 2월 선교회장 흐리산프 셋콥스키(Хрисанф Щетковский) 대수도사제가 서울에 도착하였고 1903년에 한국 최초의 정교회 성당인 성 니콜라스 성당을 정동에 설립하고 본격적인 선교를 시작하였다.1904년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패하자 일본은 주한 러시아인 추방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성직자들이 러시아로 돌아가게 되며 선교회의 활동은 정지되었으나 전쟁 이후 1906년에 재개되었다. 신임 선교회장 파벨 이바놉스키(Павел Ивановский)대수도사제의 재임기간인 1906~1912년 사이 성찬예배 본문의 한국어 완역, 4곳의 지방선교지부와 미션스쿨의 신설 및 총 322명의 영세가 이루어졌으며 최초의 조선인 성직자 요한 강탁 신부와 두 번째 루카 김희준 신부의 서품이 이루어졌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조선선교회는 대위기를 맞이하였다. 러시아에서 볼셰비키 정부의 수립으로 선교회에 자금지원과 선교사 파송이 중단되며 지방 선교지부와 미션스쿨들은 차례로 문을 닫았다. 이후 조선선교회의 관할권은 1923년 일본대주교에게 이양되었다. 한국전쟁 동안 한국의 유일한 정교 사제였던 김의한 신부가 납북되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나, 전후 그리스계 종군 사제들와 선교 사제들을 중심으로 한 계속된 복구 노력으로 1968년에는 아현동에 성 니콜라스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한편, 한국의 정교회는 교회 조직상 소속이 확실하지 않았다. 일본 정교회에서 한국을 관리하고 있었으나, 한국인들의 반일감정 등으로 국내 신도들은 일본 정교회로부터 이탈하기를 원했다. 마침내 1956년, 신도총회에서 관할권을 그리스계 정교회인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산하로 옮기기로 결정하여 한국 정교회의 ‘그리스 시대’가 시작되었다.
2004년 6월 20일에는 한국 교구가 독자적 자치권을 획득하였고 수도대교구(관구)로서 한국정교회 대교구가 탄생하였다.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독립 교회로 인정하고 러시아 정교회의 간섭을 차단하려 하자 러시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개별 관할 지역 개입에 반발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단절을 결의하였다.
2018년 11월 23일 모스크바 총대교구 대외교회관계부장 일라리온 알페예프(Иларион Алфеев)는 주한 러시아 대사관에서 개최한 원탁토론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러시아 교회가 교류를 단절했음을 밝히고, 한국에 러시아인 사제를 파송할 것을 선포하였다.
2018년 12월 26일 러시아 정교회는 올레그 넬린(Олег Нелин)대사제를 한국으로 파송하였다.
이전까지는 세계 총대주교청 산하 한국 정교회 대교구 내에서 슬라브계 신도들을 위한 사목이 이루어졌으나, 정교회 분리 이후로 올레그 신부가 한국 정교회 대교구를 떠난 몇몇 러시아인들과 한국인 신도들로 공동체를 조직하여 용산구의 사립 러시아 학교 '루스키 돔 (Русский дом)'에서 성찬예배를 거행하고 오피스텔 건물을 임대하여 그리스도 부활 성당을 설립하였다. 다만 한국 정교회 대교구 측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로만 카브착 대사제를 통해 슬라브계 신자들을 위한 사목을 지속하고 있다.
2019년 2월 26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의 동남아시아 총대주교 대리구 소속으로 대한민국과 북한을 관할하는 대한 교구(Корейская епархия)가 편성되었다. 4월 4일에는 러시아 정교회 대한대교구의 첫 정식 관할 주교로 고려인 출신의 크즐과 투바의 주교 테오파니스 김 대주교가 임명되었다. 서울 그리스도 부활 성당에서 테오파니스 대주교가 입당함으로서 한국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부활을 알렸다.
즉,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대한교구는, 2019년에 새로이 한국에 설립된 것이 아니라 명맥이 끊겼던 기존의 선교 사업을 복원한 것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엄밀한 의미에서 옳다.
3. 관할 성당
대한교구에 속한 성당들은 다음과 같다.지역 | 명칭 | 주소 |
서울특별시 | 그리스도 부활 성당[4]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동 한강대로 62길 45-11, 2층 |
부산광역시 | 성모 탄생 성당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1163-3, 3층 |
인천광역시 | 성 대 안토니오스 수도원 소성당 | 인천광역시 중구 운북동 1257-50 |
모든 성인들 성당 | 인천광역시 연수구 함박뫼로50번길 101, 6층 | |
청주시 | 모든 천사 성당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봉명로 136 |
경주시 | 성 니콜라이 수난자 황가 성당 | 경상북도 경주시 금성로372번길 52, 2층 |
평양시 | 성삼위 성당[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락랑구역 정백2동 |
주로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계 이주민들과 고려인들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성당이 세워지고 있다. 러시아계 한국인 항목과 비교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