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f002a><colcolor=#ffffff>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라이노 Rhino | |
| |
| |
본명 | 알렉세이 시체비치 Alexei Sitevich Алексей Ситевич |
이명 | 라이노 Rhino |
종족 | 인간 (강화 인간) |
국적 | |
성별 | 남성 |
등장 영화 | 〈크레이븐 더 헌터〉 |
담당 배우 | 알렉산드로 니볼라[1] |
더빙판 성우 |
1. 개요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라이노.2. 작중 행적
2.1. 모비우스
|
RHINO ON THE LOOSE. ZOO HOAX FOOLS US All. 라이노 도주. 동물원 트릭에 모두 속았다. |
2.2. 크레이븐 더 헌터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메인 빌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베놈 (2018) |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2021) | 모비우스 (2022) |
라이엇 롤런드 트리스 | 카니지 슈리크 | 마일로 모비우스 | |
마담 웹 (2024) | 베놈: 라스트 댄스 (2024) | 크레이븐 더 헌터 (2024) | |
이지키얼 심스 | 제노페이지 | 라이노 포리너 |
|
날 왜 라이노라고 부르는지 알아?
사람 좋아보이는 인자하고 단정한 외모와는 다르게 매우 잔인하고 포악한 성품의 악인으로, 본작의 최종 보스.
과거에 그는 막강했던 크라비노프 마피아 세력과 결탁하기 위해 니콜라이 크라비노프에게 파트너쉽을 제안했지만, 그에게 조롱만 듣고 무시당했다. 이에 원한을 품고 마일즈 워렌이라는 과학자가 제조한 혈청을 이용해 코뿔소 인간으로 변신하는 힘을 얻게 된다. 대신 수인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을 통제할 수 없어 평소에는 작은 백팩에 담긴 해독제를 몸에 계속해서 주입하고 있다.
나름의 범죄 세력을 구성한 알렉세이는 자신을 모욕한 니콜라이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그의 차남 드미트리를 납치하여 몸값을 받아내려 한다. 그러나 마피아로서의 체면을 중시한 니콜라이가 거래에 응하지 않자 도리어 드미트리에게 자신의 편에 서서 니콜라이를 무너뜨리자고 회유하기도 한다. 한편 익명의 제보자[2]가 보낸 러시아 교도소 CCTV 영상을 통해 사냥꾼 크레이븐의 정체가 니콜라이 가의 장남 세르게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걸림돌이 될 그[3]를 제거하기 위해 납치한 니콜라이를 미끼로 삼아 판 함정으로 그를 죽이기로 한다.
그러나, 크레이븐은 함정에서 살아남았고, 자신을 찾아온 용병 포리너의 정보를 통해 크레이븐의 본거지인 시베리아에 자신의 병력을 이끌고 습격한다. 이후, 포리너가 크레이븐을 제거했다는 부하의 오보를 받고는 자리를 뜨지만, 저 멀리 크레이븐이 조종한
3. 능력
|
처음에는 팔과 신체 일부만 변하는 정도였지만, 이 상태에서도 철제 가방을 간단히 찌그리는 괴력과 총알이 방탄 조끼마냥 피부에 박히기만 하는 정도의 내구성을 자랑한다. 나중에 완전한 코뿔소 인간이 되었을 때는 대형 차량을 박치기로 튕겨버리는 수준까지 강해지며 영화 내내 크레이븐이 애용한 무기조차 그냥 스친 정도의 경상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내구력도 강화된다.
문제는 코뿔소 답게 민첩성은 그다지 좋지 않은 편이며 또한 약물 투입 중단 후부터 신체 일부부터 서서히 변하다보니 완전히 코뿔소 인간으로 변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며, 이를 이용해서 변하는 도중에 약물을 다시 투입시키는 것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단, 원하는 부위만을 변화시킬 수 없는 걸로 보인다.
작 중에서도 공략당한 약점인 약물 투입구 부분은 완전히 변한 상태에서도 그냥 노출되어있다. 아무래도 변신 완류 후에 다시 약물을 주입하는데 용이하기 위함이겠지만, 그래도 크레이븐에게 해당 부분을 공격 당해 내구도와 상관없는 치명상을 입은 걸 생각하면 너무나도 안일한 부분.
그런데 크레이븐한테 날라차기를 맞고 날아간다거나, 달려오는 트럭을 한 발자국도 밀려나지 않고 막아냈던 놈이 마지막에는 고작 물소떼에 밟혀서 치명상을 입는 등, 내구도에 대한 묘사는 꽤 오락가락 하는 편이다. 다만, 크레이븐에게 약점인 약물 투입구를 공격당하기 전까지는 일관된 강함을 보인 것으로 보아서, 약물 투입구를 공격당해 심한 내상을 입었고, 이게 결국 내구성의 하락으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4. 기타
- 모비우스의 라이노 떡밥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 등장한 라이노의 이스터에그에 가깝다.
- 상술했다시피 원작이나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와 달리 코뿔소 슈트를 입은 디자인이 아닌[4] 다른 매체에서 간혹 등장했던 코뿔소 괴인으로 변신하는 형태인데 디자인이 멋도 없는데다 어설픈 CG 효과 때문에 불쾌한 골짜기까지 유발하여 혹평을 받았다. 차라리 기존의 기계식 라이노 슈트를 들고 오는 게 디자인이나 자연을 상징하는 크레이븐과 대비되는 이미지도 있고 하니 훨씬 나았을 거라는 의견도 있을 정도.
- 영화에서 포리너로부터 부하들이 크레이븐에게 전멸당했다는 보고를 받자, 갑자기 가래 끓는 신음소리 같은 괴성을 내뱉는 장면이 밈이 됐다.
왜 AVGN처럼 입었냐는 댓글은 덤배우의 인터뷰에 따르면 원래 자신이 연기할 때는 그저 소리 없는 비명을 지르는 장면이었는데 편집 과정에서 이런 소리가 추가 됐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