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23:39:26

라울 드 로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ad00, #ffd800 20%, #ffd800 80%, #ccad00);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바르 왕조 베르됭 왕조
프레데리크 1세 티에리 1세 프레데리크 3세 고텔롱 1세 고드프루아 2세
프레데리크 2세
메츠 왕조
아달베르 제라르 티에리 2세 시몽 1세 마티외 1세
시몽 2세 페리 1세 페리 2세 티에보 1세 마티외 2세
페리 3세 티에보 2세 페리 4세 라울 장 1세
메츠 왕조 앙주 발루아 왕조 로렌 왕조
샤를 2세 이자벨 장 2세 니콜라 1세 르네 2세
앙주 발루아 왕조
르네 1세
로렌 왕조
앙투안 프랑수아 1세 샤를 3세 앙리 2세 니콜
프랑수아 2세 샤를 4세 니콜라 2세 샤를 4세 레오폴드
합스부르크 왕조 레슈친스키 왕조
프랑수아 3세 스타니슬라스 }}}}}}}}}

<colbgcolor=#ffd800><colcolor=#000000> 로렌 공작
라울 드 로렌
Raoul de Lorraine
이름 라울 드 로렌
(Raoul de Lorraine)
출생 1320년
로렌 공국
사망 1346년 8월 26일
프랑스 왕국 크레시
재위기간 로렌 공국 공작
1329년 ~ 1346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d800><colcolor=#000000> 부모 아버지 페리 4세 드 로렌
어머니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배우자 바르의 엘레오노르 (1329년 결혼 / 1332년 사망)
샤티용의 마리 (1334년 결혼)
자녀 장 1세 드 로렌
형제자매 마르그리트 }}}}}}}}}
1. 개요2. 생애3. 가족

[clearfix]

1. 개요

로렌 공국의 공작. 크레시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했다.

2. 생애

1320년경 로렌 공작 페리 4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알브레히트 1세의 딸인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의 아들로 출생했다. 누이로 마르그리트[2]가 있었다. 9살 때 아버지가 사망한 뒤 어머니 엘리자베트의 후견을 받았고, 1334년부터 친정을 실시했다.

1337년 자신에게 복종하길 거부한 바르 백작 앙리 4세를 징벌하기 위해 퐁타무송 일대를 황폐화시켰다. 앙리 4세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로렌 공국의 서쪽 지대를 황폐화했다. 이후 라울이 바르 시를 직접 공격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후 프랑스 국왕 필리프 6세가 개입해 양자간의 화해를 주선했다. 140년 7월 23일 ~ 9월 25일 투르네 공방전에서 프랑스군에 가담해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에 대적했으며, 프랑스와 잉글랜드간의 휴전이 체결된 후 이베리아 반도로 가서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국왕 알폰소 11세나스르 왕조와의 전쟁에 참여해 1340년 11월 3일 지브롤터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341년 브르타뉴 공작위 계승 전쟁이 벌어졌을 때 처남인 샤를 드 블루아를 도왔으며, 1342년 메츠 주교 아데마르 드 몽테유를 상대로 영토 분쟁을 벌이다가 보헤미아 국왕이자 룩셈부르크 백작인 얀 루쳄부르스키의 중재로 화해했다. 이후 백년전쟁이 재개되자 프랑스군에 가담했으며, 1346년 8월 26일 크레시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했다. 사후 외아들 장 1세가 뒤를 이어 로렌 공작이 되었다.

3. 가족



[1] 라울 드 로렌과 아내 마리 드 샤티용(17세기 그림)[2] ? ~ 1376년 이후, 오베르리보의 영주 장 드 샬롱과 초혼, 프리부르 백작 콘라드와 재혼, 라폴슈타인의 영주 울리히와 삼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