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62860><colcolor=#fff> 디임 | |
본명 | 최효주 |
출생 | 1999년 7월 9일 ([age(1999-07-09)]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거주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학력 | 신안산대학교 국제비서과 |
신체 | 신장 164cm | 체중 45kg | 혈액형 A형 |
MBTI | ISTP[1] |
컨텐츠 | 스타크래프트 | 보이는 라디오 | 게임 | 소통 |
종족 및 티어 | 3티어 프로토스[기준] |
스타대학 |
|
별명 | |
롤 ID | 무디임 #KR1 # |
아프리카TV 정보 | |
관련 링크 | | | 구계정 | |
[clearfix]
1. 개요
어땠어~?
아프리카TV 베스트BJ이다. 스타크래프트를 주 컨텐츠로 방송한다.2. 스타크래프트
아프리카 여성 BJ들 사이에서 스타크래프트가 유행하기 시작하던 2021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스타를 시작, 스타대학교가 생기면서 마종대, 염석대를 거쳐 무친대를 마지막으로 스타대학판 시기를 마무리했다. 2022년 5월 3일 스타를 시작한 지 11개월 만에 4티어로 승급, 공주 티어 세대 이후 스타를 시작한 여자 BJ 중 최단기간 4티어 승급 기록을 세웠다. 슈에딤(슈퍼 에이스 디임)이라는 별명처럼 대회에 강한 모습을 보여주며, 스타대학교 기간 동안 대학 간 공식매치에서 통합 승률 1위를 기록했다.2.1. 플레이 스타일
스타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다루기 쉬운 종족인 프로토스는 종족 특성상 기본 유닛이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최적화나 빌드가 좋지 못해도 단순 물량만으로 게임을 이길 수 있다 (일명 포크질). 다른 스타 여캠들은 스타크래프트의 기본 개념이 부족한 상태로 빌드 주입과 병력 생산만으로 게임을 풀어나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디임은 코치가 지시하는 빌드 수행력이 매우 좋고, 리버 등 고급유닛의 활용이 가능하며 상대방의 초반 전략에 크게 휘둘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른 스타 여캠들과 차별화가 된다.디임의 경기를 보면 우선 특유의 안정감을 가지고 있다. 마우스 정확도 및 키보드 조작 능력이 좋은 편이며 프로토스 여캠 치고는 APM이 200에 가까울 정도로 손도 빠르다. 뻥 APM도 적고 간결한 컨트롤을 하기 때문에 여성 중에선 피지컬이 좋은 편이다. 이런 좋은 피지컬을 바탕으로 빌드를 잘 수행하며, 안정적인 기본기와 병력생산을 통해 동티어 혹은 한단계 높은 티어랑 경기를 붙여도 해볼만하다는 느낌을 준다. 또한 스타를 배울 때는 꼬라박이 많았으나 경험이 늘어나고 전투 구도를 잡는 능력이 좋아져 불리한 상황에서도 한타 싸움으로 역전할 때도 많다.
2.2. 대회 이력
<rowcolor=#fff> 일정 | 대회명 | 최종 성적 | 상금 |
<colbgcolor=#EAEAEA,#151515> 2022년 01월 30일 |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 시즌1 | 염석대 준우승 | - |
2022년 03월 19일 | 2022 스타 BJ멸망전 WSL 시즌1 | 8강 | - |
2022년 03월 30일 | LASL 시즌13 | 3차 예선[7][8] | - |
2022년 06월 08일 | 2022 떡참 스타 BJ멸망전 대학대전 시즌1 | 염석대 우승 | ₩ 30,000,000 |
2022년 07월 24일 | LASL 시즌14 | 1차 예선 | - |
2022년 08월 21일 |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 시즌2 | 무친대 우승[9] | ₩ 29,990,000 |
2.3. 개인 전적
<rowcolor=#fff> | 대전 상대 | 전 | 승 | 패 | 승률 |
<colbgcolor=#EAEAEA,#151515> 테란전 | <colbgcolor=#EAEAEA,#151515> 여성 | 283 | 167 | 116 | 56.7% |
남성 | 61 | 28 | 33 | ||
저그전 | 여성 | 327 | 176 | 151 | 53.6% |
남성 | 22 | 11 | 11 | ||
프로토스전 | 여성 | 81 | 43 | 38 | 52.3% |
남성 | 7 | 3 | 4 | ||
합계 | 781 | 428 | 353 | 54.8% |
3. 스타대학교
3.1. 마종대
첫 스타대학으로 마종대에서 활동했으며, 당시 코칭을 받으며 프로토스로서 성장해 나갔다. 이후 감스트가 스타대학 창단을 공식화하자 본인의 성공을 위해 마종대를 탈퇴하고 바스포드 오디션에 지원하게 된다. 하지만 면접 탈락 후 거취가 불분명해졌다.[13] #3.2. 염석대
염석대에서 쭈디, 나예리, 팥순[14], 난초 등이 줄줄이 자퇴를 하며 구성원의 공백이 발생한 상황에서, 코치인 원선재와 부총장이던 정윤종이 직접 스타 여겜비들을 물색하러 다니던 중 디임의 깔끔한 플레이 스타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성장 가능성이 보인다는 판단 하에 2021년11월 21일, 정윤종의 면접을 거쳐 염석대에 입학하게 되었다.염석대 입학 초반에는 불안한 경기운영과 주입식 개념 및 입력값 외에는 게임을 풀어가는 능력이 약해 어중간한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저티어(6,7,8티어) 구간 비제이들의 특징인 자신이 유리한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공격을 가지 않아 운영을 길게 끌고간다는 점, 그리고 유닛 갈무리가 잘 되지 않아 병력을 크게 잃는 등 승리할 수 있는 경기를 패배하며 아쉬운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그러나 염석대 특유의 매운 맛 훈련에 잘 적응해가며 부단한 노력을 통해 실력이 일취월장하여 코치들이 가르쳐주는 개념을 신속하게 습득하였다.
특히 대학대전에서 디임이 보여준 특유의 생산력과 코치들의 빌드를 완벽히 소화해내는 모습은 같은 티어의 학생들과 비교해 절대 밀리지 않는 포스를 보여주었다. 참고할 만한 경기로는 철기중대와의 대전에서 킴성태와의 대결에서 보여준 초반 치즈러시 대처 후 물량으로 제압하는 경기,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에서 철기중대와의 대전에서 공춘리와 보였던 리버 운영 경기(작전명: 봄버맨[15])가 대표적이다. 이 리그가 디임에게는 염석대 내에서 확실한 1승 카드임을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슈에딤이라는 별명까지 생기는 등 염석대 팬들에게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본인의 매력을 잘 어필하고 애교와 타격감으로 염석대 내에서 손에 꼽히는 인기멤버로 활약했으며 임단디로 불리는 염석대 인기트로이카 역할을 했다.
3.3. 무친대
입학 당시에는 무친대에 4티어가 3명이나 있는데 굳이 디임을 영입한것이 방송 전 총장 김봉준을 만난 염보성의 입김이 많이 작용한것이 아니냐는 우스갯소리[16]가 있을정도로 4티어 꼬리로 평가받으며 기대치가 낮았다. 거기에 총장 김봉준이 자신의 개인방송을 끄고 디임의 방송으로 켜서 별풍선 유도를 할만큼 특급대우[17]를 받았음에도 4티어 평가전,LASL등에서 기대이하의 퍼포먼스를 보여 축구판에서 희대의 먹튀영입인 아자르의 이름을 따 '딤자르'라는 방송적 별명이 생기기도 하였다.이후 억타교육대에서 일명 '마이쮸 게이트'를 터뜨려 팬들앞에서 자신의 예능적 캐릭터를 각인시켰으며[18] 라저대와의 대학대전에서는 빌드가 먹혔음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않고 역전승을 거두는 모습을 보여 확실한 무친대의 주요 멤버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022년8월 14일 치러진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 시즌2 8강 여섯번째경기에 출전하였다. 지난 출전에 이어 이번에도 거의 100:0 수준으로 불리했던 빌드임에도 경기를 역전시키며 무친대의 4강 진출을 확정짓는 다섯번째 승리를 따냈다. 이 경기를 지켜보던 같은 대학 소속이자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 우승자인 변현제가 디임의 경기력을 여러번 극찬했다.##
무친대 해체 전 마지막 대회인 철감봉남 대회에서 2승을 거두었지만 무친대는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그 후 무친대는 해체를 하였고 디임이는 무친대에서의 대학대전 성적 5승 0패라는 승률 100퍼센트를 달성하였다.
3.4. 동아리 라이트 클럽
디임은 2023. 2. 23. 정윤종이 창단한 라이트 클럽 스타팅 멤버로 합류하여, 2023. 8. 24. 해체 시까지 계속 활동하였다.자세한 내용은 라이트 클럽 문서 참고하십시오.
3.5. 츠캄 몬스타즈
2024년 7월 9일, 이경민(이택근 컨셉)과 김윤환(김성근 컨셉)이 공동감독 체제로서 최강야구 컨셉으로 창설한 스타대학교 츠캄 몬스타즈의 오퍼를 받고 프로토스 선수로 입학하였다. 디임의 컨셉은 이대호이다.자세한 내용은 츠캄 몬스타즈 문서 참고하십시오.
4. 대학대전 전적
4.1. 마종대
<row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스타대학대전 시즌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rowcolor=#fff> 날짜 | 대학 | 종족 | 상대 | 맵 | 결과 | |||||
<rowcolor=#000> 2021.09.19 | 우끼끼즈 | 최고요 | 투혼 | 승 | |||||||
<rowcolor=#000> 폴리포이드 | 승 | ||||||||||
<rowcolor=#000> 스타대학대전 마종대 전적 | 2전 2승 0패 승률 100% |
<rowcolor=#444> 스타대학대전 총전적 | 2전 | 2승 | 0패 | 승률 100.0% |
4.2. 염석대
<row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스타대학대전 시즌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rowcolor=#fff> 날짜 | 대학 | 종족 | 상대 | 맵 | 결과 | |||||
<rowcolor=#000> 2021.12.09 | 학버드 | 뿌리 | 투혼 | 승 | |||||||
<rowcolor=#000> | 토마토 | 폴리포이드 | 승 | ||||||||
<rowcolor=#000> 2021.12.14 | 미다스 | 뚜밥 | 투혼 | 패 | |||||||
<rowcolor=#000> 2021.12.21 | 철기중대 | 옆집뽀누나 | 이클립스 | 승 | |||||||
<rowcolor=#000> 승 | |||||||||||
<rowcolor=#000> 2021.12.30 | 철기중대 | 킴성태 | 이클립스 | 승 | |||||||
<rowcolor=#000> 스타대학대전 시즌1 전적 | 6전 5승 1패 승률 83.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 시즌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대학 | 종족 | 상대 | 맵 | 결과 | |||||
<rowcolor=#000> 2022.01.24 | 마종대 | 다나짱 | 이클립스 | 승 | |||||||
<rowcolor=#000> 2022.01.25 | CPU | 시조새 | 이클립스 | 패 | |||||||
<rowcolor=#000> 2022.01.25 | 승 | ||||||||||
<rowcolor=#000> 2022.01.28 | 철기중대 | 공춘리 | 투혼 | 승 | |||||||
<rowcolor=#000> 2022.01.30 | 바스포드 | 요닝 | 투혼 | 승 | |||||||
<rowcolor=#000> 2022.01.30 | 패 | ||||||||||
<rowcolor=#000>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 시즌1 전적 | 6전 4승 2패 승률 66.6%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스타대학대전 시즌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대학 | 종족 | 상대 | 맵 | 결과 | |||||
<rowcolor=#000> 2022.02.20 | 캄성여대 | 나무늘봉순 | 투혼 | 승 | |||||||
<rowcolor=#000> 2022.03.10 | 파이스트 | 박사장 | 폴리포이드 | 패 | |||||||
<rowcolor=#000> 이클립스 | 패 | ||||||||||
<rowcolor=#000> 2022.04.17 | JSA | 소심 | 이클립스 | 패 | |||||||
<rowcolor=#000> 스타대학대전 시즌2 전적 | 4전 1승 3패 승률 25.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스타대학대전 시즌3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대학 | 종족 | 상대 | 맵 | 결과 | |||||
<rowcolor=#000> 2022.07.17 | 철와대 | 킴성태 | 이클립스 | 승 | |||||||
<rowcolor=#000> 스타대학대전 시즌3 전적 | 1전 1승 0패 승률 100.0% |
<rowcolor=#444> 스타대학대전 총전적 | 17전 | 11승 | 6패 | 승률 64.7% |
4.3. 무친대
<row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스타대학대전 시즌3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 width=100%><rowcolor=#fff> 날짜 | 대학 | 종족 | 상대 | 맵 | 결과 | |||||
<rowcolor=#000> 2022.08.07 | 라저대 | 소심 | 실피드 3 | 승[19] | |||||||
<rowcolor=#000> 스타대학대전 시즌3 전적 | 1전 1승 0패 승률 10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 시즌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날짜 | 대학 | 종족 | 상대 | 맵 | 결과 | |||||
<rowcolor=#000> 2022.08.14 | CP | 연둥바둥 | 폴리포이드 | 승 | |||||||
<rowcolor=#000> 조용히사라배 대학대전 시즌2 전적 | 1전 1승 0패 승률 100.0% |
<rowcolor=#444> 스타대학대전 총전적 | 21전 | 15승 | 6패 | 승률 71.4%[20] |
4.4. 츠캄 몬스타즈
5. 리그 오브 레전드
5.1. 대회 참여
- 2023 오로나민 C그니처 시즌2 (4강)
<rowcolor=#fff> 오로나민 C그니처 시즌2 | |||||
<rowcolor=#fff> TEAM | TOP | JGL | MID | BOT | SUP |
수피 팀 | (주)박사장$ | 디임 | 효딤[21] | 수피 | 애교용 |
6. 폐급 이슈로 인한 미친 존재감
- 2022년 추석 뉴스에도 출연하였다.#
- 본인만의 독특한 표현법과 남다른 어휘력을 구사하여, 종종 오해를 사며 어록들을 많이 만들어내는 편이다.
- 평소 예측불가한 언행으로 인해 아프리카 유동들 사이에선 크랙딤으로 통한다.
- 예를 들어서 제왜택# 사건
- 가까스로 사람으로 태어난 느낌이 들정도로 순수해보인다고 한다. #
- 자타공인 스진녀 #로서 이따금씩 기회를 엿보며 스타판을 넘보는 간잽이 롤통령 이상호(인터넷 방송인)한테 스타판 수호신다운 면모를 보여주며 꾸짖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
- 스타 유즈맵 랜덤 능력 크래프트(랜능크) 장인으로서 스타 전 프로게이머 우승자 출신 김윤환(1989),전태양한테도 아낌없는 조언을 해준다. # #
- 배꼽인사를 할만큼 인사성이 밝다. #
- 리그 오브 레전드에 대한 강한 집념을 보이는 롤사오적에 버금가는 수준의 롤진녀 #이다. 그녀의 롤을 향한 집념은 독감에 걸려 수액을 맞는 상태임에도 몸을 벌떡 일으켜 세울 정도. #
- 방송 중 " 이쁜 애들은 스타를 못한다구요? 난...다 가졌네?" 라는 여유가 느껴지는 발언은 그녀의 스타판 입지를 짐작할 수 있다. #
7. 사건사고
- 방송 도중 리액션을 따라하다 부주의로 일베 용어를 모르고 사용, 이후 일베 용어인지 인지한 후 방송을 열어 사과한 적이 있다.
8. 여담
- 게임비제이로 전향하기 전, 스터디 비제이[23] 였다고 한다.
- 신안산대학교(경기도 안산시 소재의 2년제 전문대) 사무비서학과를 자퇴했다.
- 자퇴 후 백화점 안내데스크로 취직했으나,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해 퇴사 후 BJ를 시작했다고 한다.
- 본인은 노래를 잘한다고 주장하지만 그정도까진 아니고 목소리빨로 음색이 나쁘지 않아 음역대가 너무 높은 노래만 아니라면 들을만한 편이다. #
- 하루짜리 연애를 해본 적이 있다고 한다.[24]
- 코드컵시즌3에 8티어로 출전하여 딜량 0을 기록한적이 있다.
- 상식이 부족한편이며 다른사람의 말을 순수하게 잘 믿는편이다.[25]
- 특이하게도 배틀그라운드를 플레이 할때 총을 쏘기보다 메딕 가방을 들고 동료들을 부활시켜주는데 재미와 자부심을 느낀다고 한다.
- 리그 오브 레전드의 주 포지션은 정글이였으나, 자기 객관화가 된 이후 CK는 탑, 솔랭은 정글 밸런스로 참여한다.
- 최근 슬럼프에 빠져 저조한 CK승률로 인해 상당히 예민하다. 요근래 시청자 훈수를 참다 못해 숙청하는 일이 부쩍 잦아지고 있다. #
- 이상형은 대화가 잘 통하는 사람이며, 위로 12살까지는 연애 상대로 보인다고 한다. #
- 끝까지 가면 다 이긴다는 밈이 유명하다. #
- 훌륭한 인격과 사회성을 인정받아 호평을 받으며, 이와 관련된 동료들의 증언과 미담 제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 # # # # #
- 요근래 주변사람들에게 사랑에 빠졌냐는 말을 들을정도로 이뻐졌다는 칭찬일색의 말을 제법 듣는편이다. 딱히 부정하지 않는 걸로 보아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상당히 높은 편인 듯 하다. # # #
[1] 2024.4.26 본인피셜[기준] 2024년 04월 17일[3] 슈퍼 에이스 디임의 줄임말. 대학대전에서 확실한 1승 카드로 염석대의 에이스 역할을 해줘서 생겨진 별명이다.[기준] [기준] [기준] [7] 1차 예선 2승(1위), 2차 예선 2승 1패(2위), 3차 예선 1승 2패(3위)[8] 총 전적 5승 3패[9] 8강전 MVP 디임 선정.[기준] [11] ELO보드 여성전적 + 혼성전적[기준] [13] 당시 진짜 자신의 방송이 망했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14] 정윤종이 하루에 스타 15게임을 하라는 숙제를 주었지만 부담을 느낀탓에 염석대를 나가게 되었다.[15] [26][16] 이후 염보성과 김봉준이 그런식으로 영입이 이루어진것은 아니라고 밝혔다.[17] 하루만에 팬클럽이 8천명이상 증가했다.[18] 마이쮸 게이트 사건으로 김봉준의 총애를 받기 시작했고 무친대 컨텐츠에 많이 출연하게 되었다.[19] 데뷔전 첫 승[20] ELO보드 스타대학대전 개인통합랭킹 1위[21] #아프리카TV_효딤[22] 틱톡 조회수 1000만 / 유튜브 조회수 2000만 가까이 봤다.[23] 수능 공부[24] 3개월 이상 만났던 사람은 딱 한 명밖에 없고 현재는 한 사람을 꾸준히 만나자는 주의로 바뀌었다고 한다.[25] 정윤종 왈: 듀단 듀듀 졈니 이런애들은 모르는 내용을 말해줘도 어느정도 알아듣는데 디임이는 10-20번정도 이야기 해줘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