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9 02:29:50

동녕총관부

동녕부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몽골 간섭기
, 여몽 관계
, 쌍성총관부
, 탐라총관부
,
,

원간섭기의 고려
파일:파일_원 간섭기 시기의 고려.png

東寧路總管府 | 동녕로총관부

1. 개요2. 상세

1. 개요

원 간섭기1270년원나라고려의 서경(평양)에 설치했다가 1290년 요동으로 이전한 통치기구이다.

2. 상세

1269년(고려 원종 10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의 기관(記官) 최탄(崔坦) 등이 반란을 일으키고 서경, 북계의 54개의 성과 서해도의 6성을 원나라에 바치고 투항했다.[1]

이후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은 서해도 부근 자비령을 경계로 그 이북 지역을 모두 요양행성에 편입하고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한 후, 최탄을 총관에 임명하였다.

이에 고려 원종은 원의 수도 대도(오늘날의 베이징시)에 직접 가서 쿠빌라이 칸에게 이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관철되지 않았고, 오히려 쿠빌라이 칸은 1275년(충렬왕 1년)에 동녕부를 동녕총관부로 승격시켰다.

하지만 끊임없는 설득과 요구 끝에 원나라는 1290년(충렬왕 16년)에 이 지역을 고려에 돌려주었고, 동녕총관부를 요동 지역으로 이동시켰다.[2] 동녕부를 돌려준 이유는 세조구제인데 원 세조가 고려의 항복이 이뤄진 시점부터 원나라에 협조하는 대가로 영토와 주권을 존중하겠다고 약속했고, 따라서 더 이상 유지할 근거가 없었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탐라총관부도 실권은 원나라 목호들이 쥐고 있었으나 일단은 고려에 돌려주었다.

동녕총관부는 고려 밖으로 옮겨졌지만 한때 고려를 지배했었으므로 정벌해야 할 외세의 통치기구라는 명분으로 공민왕은 1370년(공민왕 19년) 북진을 실시하였고 이에 고려는 일시적으로 요동을 점령하는 결과를 얻기도 하였다(제1차 요동정벌).

고려인의 배반으로 원나라의 직속령이 되었다는 점에서 쌍성총관부와 유사하다.

[1] 최탄은 서경유수(西京留守) 최년(崔年), 판관(判官) 유찬(柳粲), 사록(司錄) 조영불(曹英紱), 용주(龍州) 수령 유희량(庾希亮), 영주(靈州) 수령 목덕창(睦德昌), 철주(鐵州) 수령 김정화(金鼎和), 선주(宣州) 수령 김의(金義), 자주(慈州) 수령 김윤(金潤)을 죽였고 그 나머지 각 성의 원리(員吏)들도 다 적에게 살해당했으며 성주(成州) 수령 최군(崔群)은 부하의 손에 죽었다. 김정화의 처는 대경(大卿) 이덕재(李德材)의 딸로, 처음 고을로 들어올 때 그 미색을 뽐내느라 얼굴을 가리지 않았으므로 그 아름다움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이때에 적이 김정화를 기둥에 묶어놓고 보는 앞에서 강간했다. 김의는 사람됨이 굳세었는데 적이 술을 부으라 하니 분을 못 이겨 스스로 목매어 자결했다.[2] 즉 영토는 반환했지만 동녕총관부라는 기구 자체는 이때 철폐된 게 아니다. 그리고 요동 지역에 고려 왕족을 심왕으로 삼아 고려를 압박하는 데 썼는데, 어차피 원의 속국이면 요동을 누가 차지해도 상관없어서 일시적으로나마 요동 통치권을 고려왕이 가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