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11:58:56

대한항공 631편 활주로 이탈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파일:F537CC13-B021-48EB-90EF-D35948ED3683.jpg
세부공항에서 착륙 직후 활주로를 이탈해 멈춘 사고기의 모습[1]
발생일 <colbgcolor=#ffffff,#1c1d1f>2022년 10월 24일
유형 활주로 이탈, 기체 고장, 악천후,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발생 위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세부주 라푸라푸시 막탄 세부 국제공항
기종 Airbus A330-322
운영사 대한항공
기체 등록번호 HL7525
출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천광역시 인천국제공항
도착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라푸라푸시 막탄 세부 국제공항
탑승인원 승객: 162명[2]
승무원: 11명
부상자 승객: 15명
승무원: 5명
생존자 탑승객 173명 전원 생존
콜사인, 편명
IATA KE631
ICAO KAL631
콜사인 KOREAN AIR 631
언어별 명칭
한국어 대한항공 631편 활주로 이탈 사고
영어 Korean Air Flight 631
필리핀어 Naaksidente ang Korean Air Flight 631 runway overrun

사고 직후 영상
사고 관련 YTN 뉴스 기사
현지 거주 중인 유튜버 피나이티비의 피나이아빠가 찍은 사고 현장

1. 개요2. 사고 기체3. 사고 진행4. 원인5. 여파6. 대응
6.1. 대한항공6.2. 탑승객6.3. 정부6.4. 필리핀 현지 및 해외
7. 반응
7.1. 필리핀 현지
8. 유사 사고

1. 개요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 2022년 10월 24일 0시 8분[3]에, 대한항공 KE631편이 필리핀 막탄 세부 국제공항에서 착륙을 시도하다가 활주로를 이탈한 사고. 대한항공이 21세기에 낸 첫 항공기 전손 사고이자, 1999년 포항에서 일어났던 1533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부터 23년만에 난 여객기 전손 사고다. 이 사고로 사고기 HL7525는 퇴역을 얼마 안 남기고 등록 말소, 폐기처리됐다.

공항의 목격자에 따르면 시정이 좋지 않아 두 번의 착륙복행[4], 세 번째 착륙 시도[5]에서 공항 활주로를 이탈했다. #1 #2 #3

2. 사고 기체

HL7525
파일:대한항공 HL7525(8시간전).jpg
사고 8시간 전,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는 HL7525[6]
<colbgcolor=#f5f5f5,#2d2f34> 등록번호 HL7525
제조사 에어버스
기종 Airbus A330-322
제작번호 219
기령 24년
생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프랑스}}}}}}]]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프랑스}}}}}}]]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프랑스}}}}}}]]
툴루즈[7]
엔진 2 × PW4168
최초 비행일 1998년 5월 12일
최초 인도 항공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대한항공 (HL7525)
대한항공 도입일 1998년 6월 26일

사고기는 기령 24년의 A330-322, 등록번호 HL7525였으며 1998년 5월 26일에 처음 도입된 노후 항공기였다.

대한항공의 4번째 A330 항공기였으며, 구형 A330인 탓에 원래 HL7550, HL7551과 함께 2022년 말에 퇴역 예정이었다. 자매기체인 HL7524는 2025년까지 운항했다가 2025년 4월부터 인천을 거쳐 울란바토르에서 장기 주기중이었다가 결국 스크랩되었다. 이 기체는 무려 기령이 27년이었다.
파일:HL7525_Crashed.jpg
사고 후, 세부공항에 방치 중인 HL7525의 모습
사고기는 손상이 굉장히 심하여 사고 조사가 끝난 후 수직꼬리날개를 떼어내고 초록색 페인트로 도배된 채로 공항 활주로 인근에 방치되어 있다. # 구글맵

3. 사고 진행

대한항공 631편은 세 번째 시도에 항공기가 활주로 접지엔 성공했으나, 멈추지 못하고 활주로 끝을 지나서 약 300m 지점에 정지했다. 오버런 과정에서 활주로 끝 약 180m 지점에 있었던 착륙유도등을 충돌함과 동시에 항공기의 노즈기어가 부러지면서[8] 미끄러졌고, 약 50m 뒤에 위치한 로컬라이저 및 착륙 유도등이 항공기 동체 위와 날개를 강타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속도가 줄어들면서 약 50m를 더 가서 완전히 멈춘 것으로 보인다. Flightradar24 보도자료에 의하면 3번째 착륙후 ADS-B 신호가 끊겼을때는 활주로 438m 남았고 속도는 90노트 (시속 약 167km) 였다고 한다.

항공기가 최종적으로 멈춘 위치가 민가하고 불과 약 50m 밖에 안되었다. 만일 착륙속도가 조금만 더 빨랐더라면 공항부지를 넘어가 민가를 덮치면서 대형사고로 이어질 뻔했다. 심지어 바로 앞에는 주유소도 있었기 때문에 대규모 인명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었다.

사고 직후 세부 공항 소방대가 출동했고 승객과 승무원들은 비상탈출 슬라이드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초기에는 동체가 두 동강 났다는 설이 제기되었지만, 오버런 과정에서 로컬라이저에 충돌한 것이었다. 사고기는 기수 하부가 완전히 난장판이 되었고, R1 도어 상부에 크게 찢어진 상처가 있다.

사고 당시 세부공항에는 사고기와 유사한 대형기를 들어올려 수송할 수 있는 크레인이 없어, 사고기 조사 및 잔해 처리 등 사고 처리에 난항을 겪고 있다.

여담으로 위 동영상에 나온 것처럼 사고 당시 승무원들이 내린 지시가 반말+명령조인데, 이게 정상 절차이다. 이건 한국 항공사만 그런 게 아니라 전 세계 항공사 공통 지침으로, 생명의 가치가 우선되어야 하는 때조차 반말로 지시했다고 승무원의 태도를 문제삼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렇게 문제를 삼는 사람들이 잘못된 것이며, 승무원은 아주 정상적으로 대처하였고 덕분에 대한항공은 대한항공 8509편 추락 사고를 끝으로 사망자 0명 기록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4. 원인

초기 조사에서, 앞선 두번의 착륙 시도 때 브레이크 유압계통 고장이 발생하였고, 이 고장이 사고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2 사고 여객기 조종사는 초기 조사에서 "착륙 당시 ABS(바퀴 잠김 방지 장치)와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

최종 사고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차 착륙 시도 당시 항공기는 정상 접근 고도보다 높았고 기장은 이를 보정하기 위해 항공기의 조종간을 앞으로 미는 동작을 수행하였고 이로 인해 수직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때마침 강한 마이크로버스트로 인해 항공기가 불안정한 강하를 하면서 조종이 어려워졌다.

결국 우측 메인 랜딩기어(RH MLG)가 22번 활주로 가장자리에 돌출된 시멘트 부분(높이 15cm)과 충돌하면서 손상되었고 이로 인해 주요 감속 시스템(랜딩기어 브레이크 및 스포일러, 역추진 장치)이 사용 불가능해져 감속에 실패하고 오버런하였다. 감속을 위한 수단이 모두 고장난 기계적 원인은 랜딩기어 손상에 있으며 각종 판단을 위한 센서, 케이블과 제동을 위한 유압파이프가 모두 손상되었다. 그러나 랜딩기어 손상으로 컴퓨터가 가장 중요한 감속 수단인 역추진을 비활성화 하는 판단이 맞는가(활주로 접지 판단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행 중 역추진 작동을 막기 위함)에 대한 지적이 있었고 에어버스는 이에 대해 개선에 착수했다. 사고조사보고서 55페이지 참조.

22번 활주로 끝 부분에 위치한 시멘트 구조물이 항공기 착륙 시 충격을 가중시킨 것과 악천후(강한 비와 바람)로 인해 조종사의 시야가 제한되고, 착륙 접근이 더욱 어려워진 것도 부가적인 원인이다.

결론적으로 이 사고는 조종사의 착륙 중 조작, 기상 조건, 활주로 구조, 항공기 결함 문제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으며, 결정적인 원인은 랜딩기어 손상과 그로 인한 감속 시스템 고장이었다.

5. 여파

이 사고로 인해 필리핀 막탄 세부 국제공항 활주로의 이착륙이 전면 중단되었으며, 이 공항에 도착 예정이던 항공기들은 클라크마닐라로 회항했다.

사고 당시 마침 세부공항에서 631편이 착륙하자마자 이륙할 예정이던 제주항공 2406편(HL8064)은 이 사고로 활주로가 완전히 폐쇄돼 활주로 라인업 직전에 탑승교까지 다시 돌아왔다. 그리고 승객들을 하기시킨 뒤 약 19시간만인 24일 18시 17분, 한국시간으로 19시 17분에야 세부 공항에서 이륙했다.

대한항공 8509편 추락 사고 후 23년 만에 발생한 대한항공의 기체 손실 사고, 대한항공 15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후 23년 만에 발생한 여객기 손실 사고,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에 이어 두 번째로 에어버스 기종이 연루된 사고이다. 또한 아시아나항공 214편 착륙 사고 후 9년 만이기도 하다.

한편 이 사고로 우리나라보다 더 크게 뒤집힌 나라가 미국이다. 탑승객 국적자수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이 사고 뿐만 아니라 8년전 발생한 말레이시아항공 066편 회항사고도 미국인 승객이 가장 많았으며, 이 사고와 마찬가지로 전부 델타항공 코드쉐어 환승객들이었다.

6. 대응

6.1. 대한항공

KE631 (10/23) 인천발 세부행 항공기 관련 사과문

먼저 대한항공을 아껴주시는 모든 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 드립니다.

10월 23일 인천공항을 출발해 세부공항에 도착 예정이던 KE631편이 세부공항 착륙 중 활주로를 지나쳐 정지하였습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탑승객들과 가족분들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한 마음입니다.

당사는 상황 수습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탑승객들께서 불편함이 없게 안전하고 편안히 모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아울러 현지 항공 당국 및 정부 당국과 긴밀히 협조해 조기에 상황이 수습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 드립니다.

2022년 10월 24일
㈜ 대한항공 사장 우기홍
Regarding Korean Air Flight KE631 on October 23

I would like to extend my sincere sentiments regarding the Korean Air Flight KE631 incident at 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on October 23, 2022.

A thorough investigation will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local aviation authorities and Korean authorities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is event.

We always prioritize safety in all of our operations, and we truly regret the stress and inconvenience brought to our passengers.

We remain committed to standing behind our promise of safe operations and will do our very best to institute measures to prevent any recurrence. Our overall goal is for our valued guests to trust that Korean Air will treat them well, and honor us with the opportunity to welcome them once again.

October 24th, 2022

Keehong Woo, President
Korean Air

사고 발생 직후,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명의로 사과문이 게시되었다. #

6.2. 탑승객

트위터에 외국인 승객 후기가 올라왔다. #1 #2 #3 기사

세부 여행 전문 네이버 카페에도 한국인 탑승객 후기가 올라왔다. 캡쳐 기사1 기사2

슈퍼스타K5 출신 가수 송희진도 신혼여행을 위해 이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다고 한다.[9][10]

6.3. 정부

국토교통부는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했고, 국토교통부 소속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대한항공 KE2633편을 이용하여 현지에 급파되었다. #

6.4. 필리핀 현지 및 해외

7. 반응

7.1. 필리핀 현지


필리핀 세부 현지 거주 중인 유튜버 피나이티비의 피나이아빠가 올린 사고 관련 영상

8. 유사 사고


[1] 항공기 동체 위에 올려져 있는 것은 로컬라이저이며, 다시 말해 오버런 때문에 로컬라이저까지 부수고 만 것이다. 여담으로 2년 후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역시 활주로를 지나쳐 로컬라이저와 충돌했다. 사진 속 세부 공항의 로컬라이저처럼 이 장치는 잔디 위에 설치하거나 파괴가 쉬운 자재 위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모종의 이유로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있었고 이는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를 대형 참사로 만든 주 원인으로 지목된다. 경과는 유사했지만 공항의 시설 차이로 인해 다른 결과가 나왔다는 점이 가장 안타까운 부분. 물론 이 사고는 제주항공 사고와는 달리 브레이크는 거의 작동하지 않았지만 최소한 랜딩기어는 내려와 있었다.[2] 한국인 47명.[3] 필리핀 현지시간으로는 23일 23시 8분[4] 이때 첫번째 시도 후 APG767(마닐라/MNL→세부/CEB)(A320-200, RP-C8986)이, 두번째 시도 후에는 CEB129(인천/ICN→세부/CEB)(A320-200, RP-C4107)가 착륙에 성공하였다.[5] 두 번째 착륙도중 윈드시어로 인해 랜딩기어가 지면과 강하게 터치해 랜딩기어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유압계통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윽고 다시 복행하고 세부 상공에서 홀딩하다가 3번째 착륙 시도 중 관제탑에 비상착륙을 선언후 승객들에게도 비상착륙을 알린것으로 알려져있다.[6] 당시 울란바토르에서 KE868편으로 돌아오는 중이었고, 이어 세부로 출발해 착륙하던 중 사고가 일어났다. 즉, 사고기가 인천에 착륙하는 마지막 모습이다.[7] 에어버스 툴루즈 공장[8] 동체 하부가 다른 곳보다 파손이 심한 이유도 이것이다. 노즈기어가 부러지면서 내부를 같이 박살냈기 때문.[9] 파일:송희진 비행기 사고.png[10] 파일:송희진 비행기 사고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