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관내 시내 | 대명운수 | 대원버스공공 | 성남시내버스공공 | 경기고속공공 |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CL | |||||
| 관외 시내 | 남성버스 | 동성교통CL | |||
| 마을 | 광성운수 | 대일교통 | 미금마을버스 | 분당마을버스 | |
| 성남교통 | 성남마을버스 | 성남시민버스 | 성남여객 | ||
| 성남여객버스 | 신도양 | 영상교통 | 은행마을버스 | ||
| 진아교통 | |||||
| 공공 : 경기도 공공버스 운행 업체 CL : 현금 승차 제한 업체 | |||||
|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 ||||
1. 개요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마을버스 회사다.본사 및 차고지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로 199 (석운동 43-1)에 있다.
2. 역사
- 2001년에 설립하였다.
- 2021년 2월 10일에 74번이 폐선되었고, 동시에 32번으로 통합되었다.
- 2021년 11월 26일에 37번을 개통하였다.
3. 상세
3.1. 노선 특징
- 주 허브는 미금역으로, 미금역을 기준으로 대장지구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 연결하는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특히 분당 내에서도 오지라 꼽히는 대장동을 오랫동안 운행한 마을버스 업체인데, 대장지구가 개발되기 전 시골일때부터 32번 등 여러 노선을 통해 분당선과 대장동을 연결했던 유서깊은 마을버스 업체이다.
- 분실물 때문에 전화한다면, 지지리도 안 받기로 유명하다. 오죽하면 네이버 지식iN에 '대일교통 XXX들아'라는 글이 있을 정도다. 아직 지도에는 석운동으로 표기되어있지만, 실질적인 차고지는 대장동 서분당IC 인근이다.
3.2. 차량 특징
- 한때 차량에 돌출형 번호판을 부착한 적이 있다. 현재는 부착하지 않는다.
- 전기버스 출고 이전에는 회사명을 궁서체로 표기한 적이 있다. 지금도 황해 등 일부 차량에 궁서체로 사명이 적혀있다. 추가로 사명 옆에 로고를 같이 부착하고 있다.
- 2016년에 NEW BS090 디젤 3대를 뽑은 걸 제외하면 줄곧 현대버스로만 출고했다.[1] 당시에는 대장동이 개발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카운티를 주로 출고하였으며, 7번 등 도심지 노선에는 그린시티(글로벌900)을 출고하였다.
- 2021년 6월에 경기도 최초의 황해 NEW E-SKY 11을 출고하였으며, 9월에는 전국 최초의 황해 E-SKY 9를 출고했다. 황해자동차의 전기버스는 이때 출고한 6대가 전부이다.
- 2021년 11월부터 BYD NEW eBus-12를 대량 출고하여 32번에 투입하였고, 기존 현대버스를 전량 중고 매각하였다.[2] 이후 2023년 2월, 모든 정규 차량을 중국산 전기버스로 교체하였다.
- 2024년 10월에 경기도 마을버스 최초의 BYD eBus11을 출고하여 7번에 투입하였고, 2025년 7월에 약 4년 만에 다시 중형버스를 출고하였다. 차종은 BYD eBus9으로, 7번에 투입하였다. 동시에 예비차인 그린시티 1대를 제외한 전 차량이 중국산 전기버스로 교체되었다.
4. 운행 노선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7 ♿ | 보바스기념병원 | 미금역 - (← 미금초교 ←) - 불곡고 | 서울대병원 | 5~20 |
| 7-1 ♿ | 미금역 | 청솔마을.까치마을 | 5~8[W] | |
| 32 ♿ | 이우중고 - 대장지구 - 산운마을 - 성남시운중도서관 - 운중동행정복지센터 - 뫼루니육교 - 판교원마을 - 너더리육교 - 화랑공원 - 판교역 – 성남역.백현마을 | 서현역 | 6~20 | |
| 37 ♿ | 이우중고 - 대장동입구 – 판교풍경채7단지 | 판교대장초.중학교 | 20~30[W] |
5. 폐선된 노선
6. 면허 체계
- 경기 70 아 '5996호’
- 경기 70 아 6277호
- 경기 70 아 72##호, 75##호
- 경기 70 아 80##호 ~ 8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