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업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사업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사업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大三線 / Daesam Line
대삼선 大三線 / Daesam Line | |
소유자 | 미정 |
운영기관 | 미정 |
노선번호 | 미정 |
노선명 | 대삼선 (大三線) |
종류 | 간선철도 |
영업거리 | 212km |
궤간 | 1435㎜ |
역수 | 8 |
기점 | 대전역 |
종점 | 삼천포역 |
전기 |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 | 미정 |
선로 수 | 1 |
개업일 | 건설중단 |
운영노선 | 미정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때 착공된 대전과 삼천포를 잇기로 했던 간선철도. 총 길이 212km, 8개역으로 계획되어 착공했지만 태평양전쟁 말기 자금부족으로 결국 완공하지 못했고 광복 이후 김삼선 계획으로 이어지다 그것도 무산되어 오랜세월 방치되었다. 현재 남은 구간은 진주역~사천역(진삼선/사천선) 뿐이다.2. 상세
1941년 조선총독부에서 착공하였고 1943년까지 토공 41%, 터널 8% 총 공정률 13%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1944년 물자부족으로 공사중단되었다. 이후 공사했던 노반에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이 고속도로의 건설에 대삼선의 폐사갱이 활용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통영대전고속도로 문서 참조.2020년 초 대전광역시에서 서대전역~진주역 노선을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 요청했다. 실현된다면 사실상 대삼선의 부활이지만 2021년 6월 29일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서 끝내 반영되지 않았다. 이미 남부내륙선 건설이 결정된 상황에서 대삼선이 부활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3. 역 목록
※ 여객/화물취급<rowcolor=#fff> 일러두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 |||
K | KTX 필수정차 | k | KTX 선택정차 | |
R | SRT 필수정차 | r | SRT 선택정차 | |
iC | ITX-청춘 필수정차 | ic | ITX-청춘 선택정차 | |
iM | ITX-마음 필수정차 | im | ITX-마음 선택정차 |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 |
M |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 m |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 |
X | 동해산타열차 정차 | V | V-train 정차 | |
N | S-train 정차 | G | G-train 정차 | |
A | A-train 정차 | |||
T | 광역철도 급행 정차 | t | 광역철도 정차 | |
H | 화물취급 | ─ | 여객/화물 미취급 | |
<rowcolor=#fff> 역 등급 | ||||
⊙ | 관리역 | |||
○ | 보통역 | ◐ | 운전간이역 |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위탁발매소 | |
‡ | 신호장 | † | 신호소 | }}}}}}}}}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노선 | 소재지 | ||
0.0 | 대 전 | 大 田 | MSK | 호남선 | 충청남도 | 대전부[1] | ||
금 산 | 錦 山 | 전라북도 | 금산군[2] | |||||
진 안 | 鎭 安 | [3] | 진안군 | |||||
장 계 | 長 溪 | 장수군 | ||||||
함 양 | 咸 陽 | 경상남도 | 함양군 | |||||
산 청 | 山 淸 | 산청군 | ||||||
진 주 | 晋 州 | MSKN | 사천선 | 진주부 | ||||
212km | 삼천포 | 三千浦 | 경전선 | 사천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