武田 惣角[1]
1859년 11월 4일[2] ~ 1943년 4월 25일
[clearfix]
1. 개요
1859년에 태어난 일본의 무술가로 무호는 源正義다. 대동류 합기유술의 증흥조로[3], 쉽게 말해 합기 관련 무술의 시조이자, 일본 근대무술의 거장 중 한명이다.2. 생애
아이즈번사였던 다케다 소키치(武田惣吉)의 차남으로 아이즈번에서 태어났다.[4] 스모의 역사이자, 검술에 능했던 다케다 소키치에게 스모[5], 유술, 보장원류창술 등을 배웠고, 그 재능이 상당하여 아이즈의 작은 텐구[6]로 불렸다.13세 때 에도로 상경하여 아버지의 친우인 사카키바라 켄키치(榊原鍵吉, 1830 ~ 1894)[7]로부터 카시마신전직진영류검술[8]을 배웠고, 갑주를 들고 여러 도장을 다니며 타 유파와 대련을 거듭하였고, 덕분에 다양한 병장기 용법을 배웠다.[9] 이후 서남전쟁에서 사이고 다카모리 측으로서 참전하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10] 전쟁 후 무사수행을 하였다.
여비는 주로 현지조달로 마련했다. 타류와의 대련이나 문하생을 모집하여 교습료를 받거나 도장에 직접 방문하여 특강하고 전별금을 받는 식이었는데[11], 상상하기 힘든 거금을 모았다는 소문도 있다.
1879년에는 쿠마모토성의 창술 도장에서 식객이 되어 창술 교수를 하였는데, 목검으로 1대 3진창(真槍)[12] 대련을 하던 도중, 사고로 앞니에 창의 일부분이 박힌다. 이틀 정도 덜렁거리는 이빨을 달고 다니다, 결국 손으로 뽑아 버리고 여생을 앞니 없이 살았다.
하루는 여관에서 투검으로 호객을 하던 중, 반신불수 앉은뱅이가 "그런 날붙이가 나무기둥에 안 박힐 리 있냐?" 하며 동전으로 기둥에 연달아 박아내자, 놀라 그에게 3일간 매달려 배움을 청했다고 한다. 이때 교만한 자신을 돌아보고 심신의 단련이 별개가 아님을 깨닫고, 종교, 특히 밀교에 심취한다. 이때부터 각지의 밀교 사찰이나 영산에 방문하여 틈틈히 수련하였다.
그 사이 결혼도 하고 장녀와 장남을 얻었으며[13], 사이고 다노모(西郷頼母, 1830 ~ 1903)[14]로부터 '검술의 시대가 끝났으니 유술을 널리 전파하라'는 가르침과, 다케다(武田) 가문의 비전무술 대동류 합기유술(大東流合氣柔術)을 전부 전수
다만 사가와 유키요시는 사이고 다노모의 무력이 굉장하진 않았을 것이라며, 대동류 합기유술은 어디까지나 다케다 소가쿠 증흥조가 이룩한 쾌거라고 선을 그었다. 그 증거로, 다케다 소가쿠 이전에는 대동류에 관한 기록이 없다. 게다가 한동안은 무명(武名)에 신경쓰지 않다가 '야마토류'(大和流)라고 일컬었다는 설도 있다. 大和와 大東는 발음이 같을 수 없으니, 요시다 코타로가 대동류 유술(大東流柔術)로 통일하자고 제안하였다 한다. 또 다케다 소가쿠는 직접 자신 이외에 "호시나 씨의 제자가 한 명 더 있다." 하였는데, 이 나머지 한 명은 사이고 다노모의 양자 사이고 시로(西郷四郎, 1866 ~ 1922, 메이지 시대의 유도가이자 신문 편집장)라고 추정한다. 그러나 사이고 시로는 대동류를 배운 적이 없다고 하며, 오히려 유도가로서 명성을 떨쳤다.[17]
하여튼 30대 이후부턴 각지를 유랑, 수련생 영명록과 사례록 등을 꼼꼼하게 기록하며 대동류를 널리 전파한다. 다만 이때도 다케다가 어떤 체계를 완성하고 대동류를 전파했다기보단,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즉흥적으로 기술을 창작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당시 다케다의 교습은 정처없이 떠돌다 한 마을에 들리면 무술 교습을 할테니 관심있는 사람은 와서 봐라는 식이었고, 그러다보니 별별 사람들을 다 상대해야 하는 상황에 맞게 임기응변도 늘어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말년에는 제자와 재혼하고 다케다 토키무네(武田時宗)[18]를 비롯한 4남 3녀를 얻었다. 또한 3남 토키무네를 장남으로 입적하고 종가(宗家)의 대표로 인정한다. 1943년 향년 만 83세 나이로 아오모리현에서 객사했다. 홋카이도 아바시리시 조동종 사찰 호류사(法竜寺)에 있는 다케다 가족묘에 안장되었다.
3. 여담
수련 스타일에 대해서는 나이, 성별, 출신 등에 상관없이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대동류를 전파하였다는 말도 있고, 반대로 문외불출 철저한 보안을 추구하였다는 말도 있다.[19][20] 혼합해보면 대동류 홍보 자체는돈에 집착하는 면이 있었는지, 팔광류 유술의 개조 오쿠야마 류호에 따르면 사례금에 따라서 가르침에 차별을 두었다고 한다. 특히 합기가 들어간 유술과 그렇지 않은 유술을 양분하여 가르쳐서, 스스로 깨우치도록 하였다.[21] 덕분에 집안이 좀 살던 우에시바 모리헤이도 대동류 배우다 재산 거덜날 뻔 했다는 설이 있다.
성격은 괄괄하고 의심이 많은 편이었다고 한다. 노년에도 자주 젊은이들의 사지를 부러뜨리고 집어던지는가 하면, 상대가 대접하는 음식도 먼저 먹지 않고 독극물이 들었는지 확인코자 기다렸다고.
학문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서당에 가는 것을 꺼렸다. 한번은 "나를 위해 대필해 줄 사람들을 거느리는 사람이 되겠다."고 하자, 아버지 소키치로부터 "누가 너를 위해 대필해 주겠냐?!"며 역정을 듣기도 했다고. 하지만 후일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특히, 히사 타쿠마(久琢磨)의[23] 아사히신문사에 무술 조교로서 자주 활동하였기에 기자들이 대필해주었다고 한다.
다만 직제자들에 따르면 아예 문맹까진 아니었으며, 쉽게 질리는 편이긴 했지만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도 적극적이었다고 한다.
[1] 국립국어원의 일본어 표기를 고려하여 다케다 소가쿠로 기술한다.[2] 당시 일본의 연호로는 안세이(安政) 6년. 음력 10월 10일이 생일이었다. 11월 4일은 양력으로 환산한 날짜.[3] 다케다 집안의 고류무술이란 설도 있으나, 현대엔 그냥 다케다 소가쿠가 여러 무술을 종합해 창시한 당시 기준 신흥 무술이었다는 설이 더 지배적이다.[4] 지금의 후쿠시마현 카와누마군.[5] 역사로서는 요코즈나(横綱) 다음의 오제키(大関)를 달성했다. 다케다 소가쿠는 스모를 굉장히 좋아해서, 대동류에 스모의 기술을 차용했다.[6] 실제로 다케다 소가쿠는 150cm대로 추정되는 최용술보다도 키가 작았다고 한다.[7] 에도 말기 ~ 메이지 시대의 무술가이자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요시노부의 막신이었다.[8] 다만, 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9] 수리검의 경우에는 후술할 사건 이후, 특별하게 가르치지는 않았다.[10] 형이 요절하여 가문을 이어야 하는 사정도 있었다.[11] 보통 2엔 정도를 받았다고 한다.[12] 베가본드에서 호조인 인슌이 사용하는 그 창이다.[13] 다만 생활비를 주지 않아 가족들이 꽤 힘들게 살았다는 후문이 있다.[14] 에도 말기 아이즈 가로이자 사이고 다카모리의 먼 친척이다.[15] 실력은 사가와, 면허는 히사 타쿠마, 기술은 호리카와 코도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뛰어난 실력자였다고 한다.[16] 호시나는 사이고 다노모가 메이지 유신 이후에 개명한 성이다.[17]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일화가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유도가 유술계 공공의 적이라는 소리를 들을 만큼 위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사이고 시로의 공도 지대하였다는 것이다. 전국의 이름난 유술가들을 야마아라시(山嵐)와 같은 술기로 제압한 덕분에 유도는 단 시일 내에 정상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18] 현대 대동류 합기유술의 종가.[19] 무사에게 문외불출의 기술은 전장터에서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를 전수한다는 것은 (만에 하나) 후일 적이 될 수도 있는 타인에게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원천을 알려주는 셈이 된다.[20] 심지어 최용술의 주장에 따르면, 아이키도의 창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도 1915년 홋카이도에서 다케다와 처음 만났을 땐 낯선 자라며 수련을 거절당했다고 한다. 그래서 오죽하면 우에시바가 당시 10대였던 자신한테 몰래 접근해 술기를 배우려고 하다 스승한테 걸리기도 했다고. 물론 아이키도측은 이런 사실 자체를 언급을 안해서 지금 와선 진실은 저너머에 쯤 되는 일화.[21] 현 콘도 사범이 보인 대동류유술과 대동류합기유술만 보더라도, 저것이 대체 무슨 차이인가 싶을 만큼 알기가 힘들다. 참고로 합기란 명칭은 원래 대동류 유술엔 없었는데, 우에시바 모리헤이(와 그가 믿던 신흥 종교 오모토의 성사 데구치 오니사부로)가 관련 개념을 합기로 하자고 제안하고 다케다도 동의해 만들었다고 한다.[22] 실제 서로 사이가 좋을 때는 다케다가 다음 대를 잇게 할까 생각할 정도로 그를 아꼈으나, 점점 사이가 멀어지고 우에시바가 아이키도까지 창시해 독립하자 다케다는 폭발해 우에시바를 찾아다녔다고 한다. 특히 1936년 오사카 아사히 신문사에 다케다가 나타나 이곳 경비원들 수련을 지도하던 우에시바는 자기 제자인데 다 배운 것도 아니니 오리지널인 자신이 교육하게 해달라고 하고, 이를 전해들은 우에시바가 다케다를 보지도 않고 말없이 떠난 사건은 둘의 갈등이 표면화되는 계기가 된다. 일종의 애증 관계.[23] 다케다 소카쿠에게 면허개전(졸업증서)을 받은 2명 중 한 명. 나머지 한 명은 토네다치 마사오(刀祢館正雄). 이때 히사 타쿠마는 집 세 채 정도 되는 돈을 지불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참고로 상기한 1936년 아사히 신문사 사건 이후 우에시바가 떠나고(1934~1936. 다만 히사는 이후에도 우에시바와 친분을 맺어 이후 아이키도 8단도 된다.) 다케다가 경비원 수련을 맡게 되는(1936~1939 교육) 시기 동안 제자들은 당시 신문사 장비를 이용해 이 수련 과정에 관한 사진을 자기들끼리 재현하며 찍어뒀는데, 이것이 오늘날 대동류 합기유술의 비전서격인 총전의 기원이 된다. 우에시바한테 배운 기술은 아이키도와도 연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