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12:44:42

다리아코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해당 음악장르를 최초로 시작한 음반에 대한 내용은 Dariaco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해당 음악장르를 최초로 시작한 음반:
Dariacore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 다리아코어
Dariacore
기원 장르 매시업, 베이퍼웨이브, 하이퍼팝, 나이트코어
지역 인터넷 커뮤니티 전반
등장 시기 2020년대 초반
관련 장르 하이퍼플립 등등

1. 개요

[clearfix]

1. 개요

leroy - …During Pride Month?
xaev - the elon musk soundcloud acquisition
tictacto - miimiimii

나이트코어, 매시업 같은 인터넷 문화에서 시작된 장르.

뮤지션 Jane Removerleroy라는 명의로 사운드클라우드에 업로드한 음반들에서 시작되었다. Dariacore가 그 시작.

앨범 자켓에 공통적으로 비비스와 버트헤드의 스핀오프인 다리아 애니메이션의 장면들을 차용했기에 다리아코어라는 명칭이 붙었다.[1]

하이퍼팝의 파생으로 시작되었지만, 브레이크비트나 드럼앤베이스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좀더 끌어 쓰는 등 보다 하드한 방법론을 취하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저지 클럽, 풋워크, 컴플렉스트로 등 보다 더 다채로운 장르들도 등장한다. 하이퍼팝이 대중화되면서 예전의 짜집기 사운드 감성이 비교적 퇴색되었지만, 다리아코어는 여전히 나이트코어 시절의 짜집기 사운드 감성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leroy, tdstr, xaev, tictacto, gingus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의 영향으로 다리아코어 뮤지션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미디어를 테마로 앨범을 발매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