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서아시아 |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홍콩 | 중화권 | ||
| 필리핀 | 인도 | 방글라데시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
| 이란 | ||||||
| 유럽 |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영국 | 네덜란드 | ||
| 아일랜드 | 독일 | 튀르키예 | ||||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
| 미국 | 캐나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오세아니아 | ||||||
| 호주 | 통가 | 사모아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
| 피지 | 쿡 제도 | |||||
| 다자관계 | ||||||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 | ||||
| | |
| 뉴질랜드 | 쿡 제도 |
1. 개요
뉴질랜드와 쿡 제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쿡 제도는 뉴질랜드의 속령이지만, 자치권은 물론 독자적인 외교권까지 보장받고 있다.#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
뉴질랜드와 쿡 제도는 19세기부터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당시 뉴질랜드와 쿡 제도는 영국의 보호령에 속해 있었다.20세기 이후, 뉴질랜드와 쿡 제도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다만, 쿡 제도는 독립하지는 않고 뉴질랜드의 속령에 속해 있다.
2.2. 21세기
쿡 제도는 뉴질랜드의 속령이지만, 자치권을 보장받고 있다. 이에 일부 국가들은 쿡 제도와 외교관계가 존재한다. 뉴질랜드와 쿡 제도는 영어와 마오리어가 공용어로 쿡 제도의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본토의 마오리어와는 차이점이 일부 존재한다.2.2.1. 2020년대
2020년 2월 29일, 코로나19 팬데믹이 전세계로 퍼지며 쿡 제도는 한국, 뉴질랜드를 포함한 34개국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2024년 12월 23일, 쿡 제도가 자체 여권 및 시민권 발급 권한을 요청했지만, 뉴질랜드 정부는 쿡 제도가 독립해야만 가능하다고 밝히며 거절했다.#
2025년 2월 11일, 쿡 제도 총리가 중국을 방문하면서 뉴질랜드와 쿡 제도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났다.#
6월 19일, 뉴질랜드 정부는 쿡 제도가 뉴질랜드 정부 협의없이 중국과 협력협정을 체결한 것을 문제삼아 보조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