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기니고산개(뉴기니노래하는개, 뉴기니싱잉도그) 紐幾內亞唱犬 | New Guinea singing dog New Guinea Highland dog | |
학명 | Canis lupus hallstromi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식육목(Carnivora) |
과 | 개과(Canidae) |
속 | 개속(Canis) |
종 | 늑대(C. lupus) |
아종 | 뉴기니고산개(C. l. hallstromi) |
[clearfix]
1. 개요
늑대의 아종.2. 특징
다른 늑대들 아종들처럼 짖지 않는 대신 길게 울부짖으며, 그 음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이게 꼭 노래하는 것 처럼 들리기 때문에 '노래하는 개', '가수(singer)'등의 별명이 붙었다.
친척관계인 호주의 딩고에 비해 체형은 다소 둥글고 탄탄한 편이다. 평균 어깨 높이는 31~46cm, 무게는 9~14kg이다. 며느리발톱은 없다. 털은 짧은 이중모로 보온력이 좋아 고원지대의 서늘한 기후에서도 활동이 가능하다.
몸이 상당히 유연하여 다리를 옆으로 90°까지 벌릴 수 있고, 보통의 개들이 불가능한 각도로 발목을 틀 수 있다. 때문에 개치곤 나무를 잘 탄다고.
3. 생태
단독 생활을 하거나 한 쌍으로 다니는 등 다른 아종들에 비해 사회성이 부족한 편이다. 영역의식 또한 상당히 강해 낯선 동족이 영역을 침범한다면 바로 족치러 달려든다.뉴기니에 위치한 해발 2,500~4,700m 높이의 숲, 습지, 산악지에서 서식한다. 이들도 딩고처럼 완전한 토착종은 아니고 4,000여년 전에 원주민들을 따라 동남아에서 뉴기니까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워낙 험난한 곳에 서식하는지라 야생개체는 제대로 연구된적이 없으며, 관찰기록도 매우 드물다.
중형 쿠스쿠스, 왈라비 등의 소형 유대류, 설치류, 새, 과일을 먹고 산다. 원주민들의 증언으론 가끔 파푸아수리가 사냥한 먹이를 빼앗아 먹는다고 한다.
일년에 한 번씩 발정기를 겪으며, 발정기 내 임신하지 않으면 첫 번째 발정이 끝난 후, 몇 주 뒤에 또 발정기가 온다.
4. 사육
뉴기니고산개는 예전부터 뉴기니 부족 중 하나인 칼람족의 가축으로 길러져 왔다. 칼람족은 고산개를 길들여 사냥보조용으로 쓰거나 단순히 애완용으로 길렀다. 아직까지도 칼람족은 고산개를 기르고 있으나, 현재 이들이 기르는 고산개는 다른 개들과의 교잡으로 유전자가 많이 오염된 상태다.현재 사육 중인 고산개들은 수백마리 남짓으로, 대다수가 미국에서 사육되는 중이다.[1] 가정견으로 길러지고 있지만, 상당히 희귀한 종이라 분양가는 매우 높은 편이고 분양하는 곳도 얼마 없다. 이들은 대부분 1950년대 호주 타롱가 동물원에 있던 한쌍의 후손이라고 한다.
고산개를 기르는 견주들의 말에 의하면, 이들을 기르는게 시바견이나 아키타견을 기르는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또한 이들이 보통의 개들처럼 도그 어질리티에 참가하거나, 치료견이나 서비스견으로 활약이 가능하다는 보고도 있다.
[1] 미국에서 길러지는 개체들이 어찌나 많은지 뉴기니고산개 보존 협회가 전부 미국에 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