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C192B> | LCK 참가팀 유니폼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 | | | |
<bgcolor=#f37321,#f37321> Hanwha Life Esports | Gen.G | Dplus KIA | Nongshim RedForce | kt Rolster | |
| | | | | |
<bgcolor=#e2012d,#e2012d> T1 | DRX | OKSavingsBank BRION | DN FREECS | BNK FEARX | |
기타 유니폼 및 해체/매각 게임단 유니폼 | |||||
| | | | | |
대한민국 LoL 국가대표팀 | CJ Entus | Samsung Galaxy | VSG | Jin Air Greenwings | }}}}}}}}}''' |
1. 개요
농심 레드포스의 유니폼 역사를 설명하는 문서. 롤 팀 전신인 I Gaming Star, ES Sharks, Team Dynamics의 유니폼도 같이 서술한다.2. 농심 인수 이전
2.1. I Gaming Star
====# 2016 서머 #====다른 팀도 똑같은 유니폼을 입은 것으로 보아 CK 측에서 제공한 유니폼으로 추정된다.
하얀색 바탕에 가슴 왼쪽에 IGS의 로고를 붙였고, 팔에는 CK 로고와 스폰서인 네네치킨의 로고가 붙어 있다. 가슴 오른쪽에 특이한 꽃무늬가 그려져 있다.
====# 2017 스프링 #====
2017 스프링에만 사용했으며 파랑 - 검정 바탕에 IGS 로고가 새겨져 있었다.
====# 2017 서머 #====
2.2. ES Sharks
====# 2018 스프링, 2019 스프링 #====아래의 검은색 유니폼을 그대로 착용하며, 회색 바탕에 로고가 새겨져 있는 외투를 추가로 착용한다.
이 유니폼을 입고 2019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우승을 차지하였다.
====# 2018 서머 #====
검은색 바탕에 ES 샤크스의 로고가 새겨져 있고, 스폰서인 로지텍의 로고가 있다.
2.3. Team Dynamics
2.3.1. 2019 서머
아디다스 킷에 파란색 바탕이며 앞에는 TEAM DYNAMICS가 써져 있고 어깨의 세 개의 선이 있다.
이 유니폼을 입고 2019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우승을 차지했다.
2.3.2. 2020 스프링 ~ 2020 서머
'다이나믹 블루'로 명명된 유니폼이며 아디다스 킷을 사용한다. 기존 파란색에 얼룩 무늬가 새겨졌으며 팔에 새겨진 하얀색 선이 달라졌다.
이 유니폼을 입고 LCK 승격에 성공했다.
위의 FEIZ는 Deokdam의 전 닉네임이다.
3. 농심 인수 이후
3.1. 창단 유니폼
2020년 12월 17일 농심 레드포스로 정식 창단되고 창단식에서 입은 유니폼이다. 유니폼 스폰서는 르꼬끄 스포르티브가 맡았다.
검은색 바탕에 앞에는 농심이 영어로 써져 있고, 팀 로고에도 있는 심장 박동 무늬가 노란색으로 그려져 있다.
이 유니폼을 입고 2020 LoL KeSPA Cup ULSAN 준우승을 기록했다.
3.2. 2021 스프링
앞면에 있던 노란색 선이 빠졌고, 이 선은 팔에 빨간색으로 들어갔다. 또한 레드포스 로고와, 르꼬끄 스포르티브 로고가 추가되었다. 어깨에 강렬한 새우깡, 신라면 광고가 있는 것도 특징.
이 유니폼을 입고 창단 첫 LCK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3.3. 2021 서머 1라운드
서머시즌 유니폼부터 다시 이름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유니폼의 이름은 "RED PULSE"
밋밋했던 스프링 유니폼 디자인에서 탈피했다. 로고에도 있는 심장 박동 그래프가 빨간색 대각선으로 들어갔고, 전체적으로 강력한 레드와 블랙 컬러를 넣었다.
여담으로 선수의 유니폼은 닉네임 마킹이 크게 되어있지만 판매용 유니폼의 마킹은 작다고 한다. 재판매 때에는 선수용처럼 크게 바뀌었다.
3.4. 2021 서머 2라운드
유니폼의 이름은 "SECOND PULSE"
검은색 바탕이 하얀색으로 바뀌었다. 디자인은 바뀌지 않았다.
3.5. 2022 스프링
사진의 선수들은 2022 스프링 LCK CL팀 선수들이다. 이 유니폼을 입고 2022 LCK CL Spring 결승전 진출에 성공하였다.
유니폼의 이름은 "에너제틱 레드"이며, 붉은 계열의 단색으로 변경되었다. 잘 안 보이지만 목 주변에 검은색 선을 넣었다.
하지만 붉은색 외에는 딱히 디자인 요소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팬들의 유니폼에 대한 여론은 상당히 좋지 않으며, 고추장이 모티브냐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긴팔이라서 한 시즌만 입고 폐기하는게 다행이라는 말도 나왔다. 게다가 이 유니폼을 입고 칸나-드레드-비디디-고스트-에포트 라인업으로 LCK 스프링 8등을 찍고 그 기간동안 각종 사건사고가 일어났기 때문에 팬덤에게는 반쯤 흑역사 취급 중.
3.6. 2022 서머
반 시즌만에 하얀색 배경의 유니폼으로 돌아갔다. 스프링 유니폼이 너무 좋지 않아서인지 서머 유니폼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호평이 이어지고 있지만, 카라의 체스무늬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오가고 있다.
유니폼 이름은 따로 없었다.
이 유니폼을 입고 2022 LCK CL Summer 우승을 기록하였다.
3.7. 2023년
카라가 제거되고 체크무늬가 줄무늬로 바뀌었다. 다른 유니폼과 달리 2023년에는 스프링과 서머에 동일한 유니폼을 사용했다.
이 유니폼을 입고 PUBG 모바일 팀이 2023 PMPS 시즌 2 우승을, LoL 2군 팀이 2023 LCK CL Summer 우승을 기록했다.
3.8. 2024
유니폼 스폰서가 V-EXX로 변경되었다.
3.9. 2025
카라가 제거되고 21년과 유사하게 검정색 베이스 유니폼으로 바뀌었다.
4. 얼트 유니폼
4.1. 신라면 툼바 유니폼
2025년 7월 27일 리그 오브 레전드 팀 선수들이 T1 원정경기에서 실제로 착용한 유니폼. 신라면 툼바를 홍보하기 위해 해당 경기 한정으로 제작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팀 1군 선수단과 해당 경기에 참석한 직원들만 착용한데다 판매조차 이뤄지지 않아 매우 희귀하다.
이전에도 신라면, 너구리 등 제품 광고를 유니폼에 부착했지만, 이번에는 대놓고 유니폼 한복판에 광고를 부착하는 걸 넘어 아예 라면 봉지를 유니폼으로 만들고 나온 모습에 많은 사람들이 경악을 금치 못했으며 심지어 색깔마저 어울리지 않은 연한 주황색이라 진지하게 젠치전조차 이길 수 있다는 소리를 듣는 중.[1] 덕분에 이 유니폼의 별명은 툼치전(...)이 되었다.
다만 농심은 엄연히 제품 광고를 하기 위해 팀을 만든 것이고, 디자인 자체로만 보면 나쁘지 않기에 호의적인 여론도 많다. 실제로 경기 하루 뒤에는 제품 홍보라는 명확한 목적을 가졌으며 정규시즌 경기 딱 하루에만 입은 이 유니폼을 모든 팀의 농사를 결정짓는 월즈 유니폼에 그저 디자이너의 개인 취향을 넣어 망친 젠치전과 비교하는 것은 농심에게 명백한 실례라는 여론으로 정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