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6 13:32:53

노비차 벨리치코비치

노비차 벨리치코비치의 수상 이력
----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유로리그 역대 라이징 스타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에라젬 로르벡 안드레아 바르냐니 루디 페르난데스 다닐로 갈리나리
2008-09 2009-10 2010-11 2011-12
노비차 벨리치코비치 리키 루비오 니콜라 미로티치 니콜라 미로티치
2012-13 2013-14 2014-15 2015-16
코스타스 파파니콜라우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알렉스 아브리네스
2016-17 2017-18 2018-19 2019-20
루카 돈치치 루카 돈치치 고가 비타제 코로나로 인한 취소
2020-21 2021-22 2022-23 2023-24
우스만 가루바 로카스 요쿠바이티스 얌 마다르 가브리엘레 프로치다
2024-25 2025-26 2026-27 2027-28
나디르 히피 - - -
}}}}}}}}}}}} ||
파일:1000072009.jpg
<colcolor=#000> 노비차 벨리치코비치
Novica Veličković
출생 1986년 10월 5일 ([age(1986-10-05)]세)
베오그라드, SFR 유고슬라비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장 205cm
체중 105kg
포지션 파워 포워드
NBA 드래프트 2008년 NBA 드래프트 미지명
선수 경력 KK 파르티잔 (2004–2009)
레알 마드리드 (2009–2012)
메가 비주라 (2013, 2014)
브로즈 바스켓 (2013–2014)
트라브존스포르 (2014–2016)
KK 파르티잔 (2016–2021)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2.2. 국가대표
3. 수상 내역4. 여담

1. 개요

세르비아 출신의 전직 농구 선수로, 포지션은 파워 포워드였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노비차 벨리치코비치는 1996년 KK 드르보마켓에서 농구를 시작했다. 이후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제문에서 뛰었고, 2001년에 KK 파르티잔과 계약했다.

2004-05 시즌에 파르티잔에서 프로 데뷔를 했다. 2005년 11월 3일 포 오르테즈와의 유로리그 데뷔전에서 2점을 기록했다. 2007-08 시즌에는 팀 내에서 더 큰 역할을 맡았다. 2008년 1월 16일 로토마티카 로마와의 경기에서는 22점과 9리바운드를 기록하며 시즌 최고의 경기를 펼쳤다. 같은 해 3월 19일 파나티나이코스를 상대로 한 유로리그 8강전에서는 11득점과 4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시즌 전체 유로리그 22경기에서 평균 10.6득점, 6.9리바운드, 1.6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8년 기준으로 그는 NBA 드래프트에서 어떤 팀에도 지명되지 않은 유일한 선수였다.

2009년 2월에는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80-65로 꺾고 세르비아 컵을 우승했으며, 대회 MVP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3월 31일 CSKA 모스크바와의 경기에서 개인 최다 득점인 26점을 기록했다. 4월 18일에는 치보나를 63-49로 꺾고 ABA 리그 챔피언에 올랐으며, 이 경기에서 17득점과 8리바운드로 활약했다. 그의 활약으로 아드리아 리그 파이널 포 MVP로 선정되었다. 2008-09 시즌에는 유로리그 라이징 스타 상을 수상했다. 파르티잔은 시즌 종료 후 결승전에서 크르베나 즈베즈다를 3-2로 물리치고 세르비아 리그 8연패를 달성했다. 벨리치코비치는 세르비아 슈퍼 리그 MVP와 결승전 MVP를 동시에 수상했다.

레알 마드리드의 신임 감독 에토레 메시나의 첫 번째 영입 대상으로 여겨졌다. 그의 이적은 2년 계약에 3년 연장 옵션이 포함된 계약으로, 2009년 6월 23일 공식 발표되었다. 2012년 6월, 레알 마드리드는 벨리치코비치의 여러 부상으로 인해 방출을 결정했다.

2013년 1월 31일, 그는 세르비아 팀 메가 비주라와 단기 계약을 맺었다. 5월 12일 라드니치키 크라구예바츠와의 경기에서는 16개의 필드골 중 11개를 성공시키며 시즌 최고 37점을 기록하고 8개의 리바운드를 잡았다.

2013년 8월 5일 독일 팀 브로제 바스켓츠와 다가올 시즌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2014년 2월 20일 팀에서 방출되었고, 4일 후 시즌이 끝날 때까지 메가 비주라로 돌아갔다.

2014년 6월 21일, 그는 터키 팀 트라브존스포르와 1년 계약을 체결했다. 2015년 5월 24일에는 계약을 한 시즌 더 연장했다.

2016년 3월 1일, 트라브존스포르를 떠나 시즌이 끝날 때까지 전 소속팀 파르티잔과 계약을 맺었다. 5월 7일, 그는 보라츠 차차크와의 경기에서 파르티잔에서 재데뷔하여 9득점, 2리바운드, 3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6년 9월 14일, 2016-17 시즌을 위해 파르티잔과 재계약을 맺었으며, 새로운 팀장이 되었다. 2017년 3월에는 26경기에서 평균 11.2득점, 5.5리바운드, 1.9어시스트를 기록하며 2016-17 ABA 리그 시즌의 이상적인 팀에 선정되었다.

2017년 9월 18일, 2017-18 시즌을 위해 파르티잔과 재계약했다. 2018년 2월 18일, 라디보이 코라치 컵 결승전에서 그는 클럽에서 400번째 경기를 치렀다.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상대로 한 경기에서 81-75로 승리하며 13득점, 7리바운드,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클럽이 거의 4년 만에 첫 트로피를 따는 데 기여했다. 2017-18 ABA 리그 1부 리그 21경기에서는 경기당 평균 12.1득점, 5.3리바운드, 2.4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8년 8월 10일, 파르티잔과 1년 계약 연장에 서명했다. 2018-19 시즌 초반 컨디셔닝과 경기 폼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안드레아 트린치에리 감독의 신뢰를 되찾아 시즌이 끝날 때까지 출전 시간이 늘어났다. 2018-19 ABA 리그 1부 리그에서 경기당 11.8분 동안 평균 4.8점, 2.6리바운드, 1.1어시스트를 기록했다. 파르티잔은 라디보이 코라치 컵 트로피를 방어했지만 ABA 리그와 세르비아 리그에서 우승하지 못했다.

2020년 1월 18일, 클럽에서 472경기를 뛰며 클럽 기록을 경신했고 역대 최다 출전 기록에서 페타르 보지치를 넘어섰다. 2020년 2월 파르티잔과 함께 2019-20 라디보이 코라치 컵에서 우승했다. ABA 리그 18경기에서 경기당 평균 6.3득점과 2.8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유로컵에서는 COVID-19 팬데믹으로 시즌이 취소되기 전까지 8경기에 출전해 평균 7.9득점과 4.2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20년 9월 1일, 파르티잔과 재계약했다.

2020-21 시즌은 프로 선수로서 마지막 시즌이 되었다. ABA 리그 17경기에 출전해 평균 4.6득점 2.6리바운드를 기록했고 필드골 성공률은 42.9%였다. 유로컵에서는 5경기에 출전해 평균 5.3득점 2.3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21년 7월 8일, 34세의 나이로 농구 선수 은퇴를 발표했다. 선수 생활 동안 파르티잔에서 509경기에 출전해 최다 출전 기록을 세웠다. 마지막 경기는 1993년 이후 클럽에 복귀한 젤코 오브라도비치 감독의 첫 경기였다.

2.2. 국가대표

2005년과 2006년 체홉과 이즈미르에서 각각 세르비아 U-20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스페인에서 열린 2007 유로바스켓에서 세르비아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폴란드에서 열린 2009 유로바스켓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 FIBA 월드 챔피언십에도 세르비아 대표팀으로 출전해 동메달을 놓고 리투아니아에 99-88로 패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파워 포워드형 선수로, 강인한 피지컬과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포스트 플레이에 강점을 가진다. 뛰어난 포스트 무브와 좋은 풋워크로 골밑에서 득점을 창출하며, 적극적인 리바운딩과 박스 아웃 능력으로 수비와 공격 양면에서 기여한다. 중거리 슛 능력도 갖추고 있어, 때로는 페이드어웨이 점퍼나 미드레인지 슛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수비에서는 몸을 적극적으로 쓰면서 상대 빅맨을 효과적으로 견제하며, 팀 수비의 중요한 축으로 활약한다. 뛰어난 경기 이해도와 포지셔닝, 그리고 꾸준한 노력으로 경기 내내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단점으로는 상대적으로 속도와 민첩성이 부족해 빠른 선수들을 상대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외곽 슈팅의 일관성이 높지 않아 현대 농구에서 요구되는 스트레치 파워포워드 역할에 완벽히 부합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전통적인 파워포워드 역할에 충실하며, 경기 템포를 조절하고 팀의 골밑 균형을 잡는 데 기여하는 유형의 선수다.

3. 수상 내역

유로리그 라이징 스타 ( 2009 )
스페인 컵 우승자 ( 2012 )
ABA 리그 우승 3회 ( 2007 ~ 2009 )
ABA 리그 파이널 포 MVP ( 2009 )
2× All-ABA 리그 팀 ( 2017 , 2018 )
세르비아 리그 우승 5회 (2005~ 2009 )
세르비아 리그 MVP ( 2009 )
세르비아 리그 플레이오프 MVP ( 2009 )
세르비아 컵 우승 5회 ( 2008 , 2009 , 2018 – 2020 )
세르비아 컵 MVP ( 2009 )

4.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