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서울 도봉 갑 | 서울 마포 갑 | 서울 마포 을 | 서울 은평 을 |
윤오 | 김혜미 | 장혜영 | 김종민 | |
부산 중·영도 | 인천 부평 을 | 대구 수성 갑 | 광주 서 을 | |
김영진 | 김응호 | 김성년 | 강은미 | |
광주 광산 을 | 경기 고양 갑 | 충북 청주 상당 | 충남 천안 병 | |
김용재 | 심상정 | 송상호 | 한정애 | |
전북 전주 병 | 전남 목포 | 경북 경산 | 경남 창원 성산 | |
한병옥 | 박명기 | 엄정애 | 여영국 | |
제주 제주 을 | ||||
강순아 |
마포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김혜미 金慧美 | Kim Hye-Mi | |
<colbgcolor=#5CB32E><colcolor=#ffffff> 출생 | 1994년 7월 29일 ([age(1994-07-29)]세) |
서울특별시 | |
거주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
학력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 석사) |
소속 정당 | [[녹색당(대한민국)|]] |
약력 | 세상을바꾸는사회복지사 상근간사 녹색전환연구소 운영실장 녹색당 부대표 마포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
링크 | |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사회복지사·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 소속 정당은 녹색당.2. 생애
중앙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을 밟으며 세밧사(세상을바꾸는사회복지사)에서 근무했다.청년유니온에서 활동하며 청년유니온 비상대책위원회 본부 비대위원, 기후정의 비례 대의원을 지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녹색당 소속으로 비례대표 선거에 출마해 2번에 배치되었다. 이후 녹색당이 해당 선거에서 0.21%를 받으며 낙선했다.
선거 이후로는 녹색전환연구소 운영실장, 녹색당 부대표 등을 맡았다. 마포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을 겸했으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녹색당과 정의당이 선거연합정당을 발표하자 정당 연합인 녹색정의당에 입당해 마포구 갑 후보자와 녹색정의당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낙선 후 마포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직을 맡아 이어나가고 있다.
2.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울 마포 갑 선거구에 녹색당 후보로 출마를 선언했다. 이후 당에서 전략 선거구로 지정해 실시한 마포 갑 선거구 후보자 선출 찬반투표에서 찬성률 97.53%를 기록하며 후보로 지명되었다. 출마 선언을 통해 "공허한 미래가 아닌 절박한 오늘을 위한 정치, 시민들의 평범한 하루를 지키는 정치로 마포에서부터 변화를 만들겠다"고 밝혔다.이후 녹색당이 정의당과의 선거연합을 결의하자, 정의당이 당명을 바꾼 '녹색정의당'에 자당 지도부 및 출마자들과 함께 집단 입당했다. 사회복지사 출신 정치인이라는 점과 기후 위기에 맞서는 녹색 정치인이라는 점을 내세웠으며, 정의당 측에서 마포 갑에 출마할 후보가 뚜렷이 없었기에 그대로 녹색정의당 서울 마포 갑 선거구 후보자로 확정되었다. 이로써 본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지은 후보, 국민의힘 조정훈 후보와 맞붙게 되었다.
선거 유세 기간 내내 지역 이슈인 도화동 경의선 공유지를 공원으로 조성하는 공약을 제시하고, 마포구 소각장 추가 건설에 적극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는 등 제3후보로서 나름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정권 심판론과 야당 심판론이 대두되며 거대 양당 위주로 지지층이 결집하는 흐름을 극복하지 못했으며, 개표 결과 2.03%(2,033표)라는 저조한 득표율로 3위에 그쳐 낙선했다.[1][2]
총선 후 녹색정의당이 정의당으로 환원하는 절차를 밟으면서, 예정된 수순대로 자당 출신 인사들과 함께 집단 탈당하여 녹색당으로 복당하였다.
3.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5CB32E><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5CB32E>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녹색당(대한민국)|]] | 58,948 (0.21%) | 낙선 (2번)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마포 갑 | | 2,033(2.03%) | 낙선 (3위)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1대 총선 (비례대표 2번) | 22대 총선 (서울 마포구 갑) | }}}}}}}}} |
4. 소속 정당
<rowcolor=#ffffff> 소속 | 기간 | 비고 |
[[녹색당(대한민국)|]] | ? - 2024 | 정계 입문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24 | 탈당[3] |
| 2024 | 입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24 | 탈당[4] |
[[녹색당(대한민국)|]] | 2024 - 현재 | 복당 |
[1] 이렇게 저조한 데에는 마포구 갑 지역은 옆 지역과 달리 고층 아파트 위주여서 녹색정의당의 대표적 어젠다인 노동 의제 + 페미니즘 + 기후정의 + 소수자 운동과는 거리가 먼 것이 한몫했다.[2] 참고로 전국적으로 녹색정의당은 창원 성산, 광주 서구 을, 고양시 갑, 마포구 을, 부평구 을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선 5%도 넘지 못했는데, 마포구 을은 20대 1인 여성 가구가 많아서 페미니즘 의제와 꽤 잘맞는 지역이고, 광주 서구, 고양시 갑은 심상정과 강은미의 개인기가 꽤 한몫했고, 부평구 을,창원 성산은 노조 영향력이 강한 지역임을 감안하면 앞에 언급한 4개 의제에 맞지 않는 지역에선 저조했음을 알 수 있다. 예외가 있다면 제주시 을 정도다.[3] 정의당과 선거 연합을 위한 탈당.[4] 원 소속 정당인 녹색당으로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