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우 Hyunwoo Kim | ||
출생년 | 1986년 | |
학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 전공 / 석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 전공 / 박사) | |
현직 |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 |
링크 | https://archaeology-arthistory.dongguk.ac.kr/HOME/arthistory/sub.htm?nav_code=art1745996130 |
1. 개요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現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2. 경력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자대 대학원에 진학해 2012년에 「조선시대 회곽묘의 편년과 변천 양상」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이후 서울대학교 박사과정으로 진학해 2023년에 졸업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통일신라토기의 생산과 유통 :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ified Silla Potter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이다.경력은 다음과 같다.
- 서울대학교 2012.3-2014.2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조교
- 서울대학교 2014.3-2014.8, 2016.3-2016.8,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강사
- 서울대학교 박물관 2017.3-2019.2 서울대학교 박물관 연구원
- 충북대학교 2020.9-2021.8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강사
- 충남대학교 2020.9-2025.8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강사
2020년~2024년 | 한국문화재의 이해 |
2021년 | 동양고고학강독 |
2021년~2025년 | 고고학 연습[1] |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7-2025.8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전임연구원
- 한국고고학회 2024.1-현재 한국고고학회 기획연구위원회 위원
- 경희대학교 2024.3-2025.2 경희대학교 사학과 강사
- 전남대학교 2024.3-2025.8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강사
- 호서고고학회 2025.1-현재 호서고고학회 편집위원회 위원
3. 학술활동
- 「우물 출토 토기의 시간적 위치에 대한 일고찰: 통일신라 경주지역 우물 출토 단경호·병을 중심으로」, 2025, 『호서고고학』61, 호서고고학회
- 「시장교환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시론: 자연과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2025, 『한국상고사학보』128, 한국상고사학회
- 「행위자기반모델링을 통해 본 통일신라토기의 생산과 유통: 생산자와 소비자의 선택 기제에 대한 가설적 접근」, 2025,『인문논총』 82(2),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지구화학 분석으로 본 전북지역 통일신라산성의 토기 유통」, 2024, 『호남고고학보』 78, 호남고고학회
- 「부산 배산성 토기의 출토맥락과 시간적 위치에 대한 고찰」, 2024,『항도부산』 48,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Kim, Hyunwoo, Kim, Junkyu, Park Jung-Woo, Oh, Yongje, Conte, Matthew, Park, Jiyoung, Hong, Seungyeon, and Jangsuk Kim, 「Firing temperature of ceramics and post-depositional alterations of alkali
- element composition: INAA and pXRF analyses of early historical ceramics from central-western Korea」, 2024,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54
- 「통일신라토기의 통일성과 지역성에 대한 일고찰: 경주지역과 서울·경기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4,『고고학』 23(1), 중부고고학회
- 「경주지역 통일신라토기 상대편년에 대한 시론적 접근: 유구의 중복과 층위적 선후관계를 중심으로」, 2023, 『한국상고사학보』 122, 한국상고사학회
- 「지구화학적 분석을 통해 본 서울·경기지역 통일신라토기의 생산과 유통: 국가와 민간부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3,『한국고고학보』 128, 한국고고학회
- 「서울·경기지역 통일신라 인화문토기의 성격에 대한 시론적 고찰」, 2023, 『한국상고사학보』 120, 한국상고사학회
- Kim, Junkyu, Park, Jung-Woo, Kim, Hyunwoo, Oh, Yongje, Park, Jiyoung, Conte, Matthew, and Jangsuk Kim, 「Selecting reproducible elements in non-destructive portable X-ray fluorescence analysis of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al ceramics from Korea」, 2023『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47
- 「서울·경기지역 통일신라토기의 지역성에 대한 예비적 고찰: 화성 청계리 유적 및 동탄2신도시 유적 출토 완을 중심으로」, 2022, 『고고학』 21(3), 중부고고학회
- 「토기생산체계로 살펴본 신라통일양식토기의 성립」, 2022, 『한국상고사학보』 117, 한국상고사학회
- (편저)『북한의 문화·자연유산과 남북교류협력 이해하기』, 2021, 국립문화재연구소
- (공저)「북한 역사유적 연구방법으로서 위성영상 분석 시론: 구글어스와 아리랑 위성영상의 비교를 중심으로」,2021,『인문논총』 78(2),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김현우·이선복,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 현황 연구: 지방의 유적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2019,『문화재』 52(4), 긱립문화유산연구원
- (편저)『수장고를 열다』2019, , 서울대학교 박물관
- 「The medieval archaeology of Korea: Its conceptual framework and examples」,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4(1), Center for Korean History
- 「나말여초기 전남 동부지역 산성의 점유양상과 지방호족」, 2018, 『한국고고학보』 108, 한국고고학회
- 「조선시대 회곽묘의 계층성과 확산: 서울·경기지역 대규모 분묘군을 중심으로」, 2016,『한국상고사학보』 91, 한국상고사학회
- 「The Chronology and Changing Nature of the Lime Mortar Burials of the Joseon Period」, 2016, 『Journal of Korean Art and Archaeology』 10, National Museum of Korea
- 「조선시대 회곽묘의 편년과 변천 양상」, 2012,『한국고고학보』 85, 한국고고학회
4. 기타활동
- 2021년도 한국 고고학 전국대회, "한국"고고학, 한반도를 넘어서 [자유패널1_한국 선사 및 역사시대 고고학자료의 생산과 유통] 에서 발표를 맡았다. [2]
- 2023년 국립 경주 문화유산 연구소 학술대회, "신라 왕경 토기문화의 흐름과 변화 학술대회" 에 참가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