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2024년 참가 구단 | 2026년 참가 구단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코리아컵 참가 구단 | 과거 참가 구단 |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f15a3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15a38>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3리그 | K4리그 | ||
| | | | |
진주시민축구단 | ||||
WK리그 | ||||
| ||||
창녕 WFC | ||||
◀ 경상남도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경상남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 |
| |||
김해 FC 2008 | |||
Gimhae FC 2008 | |||
<colbgcolor=#a20717><colcolor=#fff> 정식 명칭 | 김해 FC 2008 | ||
영문 명칭 | Gimhae Football Club 2008 | ||
창단 | 2008년 1월 25일([age(2008-01-25)]주년) | ||
구단 형태 | 시민 구단 | ||
법인명 | 재단법인 김해FC | ||
소속 리그 | K3리그 | ||
연고지 | 경상남도 김해시 | ||
홈구장 변천 | 김해운동장 (2008~2024 / 11,476석) 김해종합운동장 (2024~ / 15,066석) | ||
구단명 변천 | 김해시청 축구단 (2008~2024) 김해 FC 2008 (2025~ ) | ||
상징색 | 빨간색, 검은색, 흰색, 주황색 | ||
라이벌 | 창원 FC - 불모산 더비 | ||
구단주 |
홍태용 (김해시장) | ||
단장 |
안경원 (부시장) | ||
감독 |
손현준 | ||
주장 |
곽성욱 | ||
웹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 |||
우승 기록 | |||
K3리그 (1회) | 2020 | ||
구단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20717> 최다 관중 기록 | <colcolor=#000,#fff>8,677명 (2025 K3리그 3라운드 vs 대전 코레일 FC)[1] |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를 연고지로 K3리그에 참가하는 세미프로 축구단.2. 시즌별 일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a20717> | 김해 FC 2008 시즌별 일람 | }}} | |||||||||||||
시즌 | 리그 | 코리아컵 | 전국체육대회 | |||||||||||||
디비전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2008 | 실업 | 내셔널리그 | 5 | - | - | - | - | - | - | - | - | |||||
2009 | 2 | - | - | - | - | - | - | - | - | |||||||
2010 | 12 | - | - | - | - | - | - | - | - | |||||||
2011 | 10 | - | - | - | - | - | - | - | - | |||||||
2012 | 11 | - | - | - | - | - | - | - | - | |||||||
2013 | 5 | - | - | - | - | - | - | - | - | |||||||
2014 | 9 | - | - | - | - | - | - | - | - | |||||||
2015 | 7 | - | - | - | - | - | - | - | - | |||||||
2016 | 6 | - | - | - | - | - | - | - | - | |||||||
2017 | 2 | - | - | - | - | - | - | - | - | |||||||
2018 | 2 | - | - | - | - | - | - | - | - | 8강 | ||||||
2019 | 7 | - | - | - | - | - | - | - | - | 3라운드 | ||||||
2020 | 3부 | K3리그 | 1 | 22 | 15 | 4 | 3 | 39 | 18 | +21 | 49 | 3라운드 | 연기 | |||
2021 | 5 | 28 | 12 | 8 | 8 | 39 | 35 | +4 | 44 | 16강 | 축소 | |||||
2022 | 7 | 30 | 12 | 9 | 9 | 33 | 26 | +7 | 45 | 3라운드 | ||||||
2023 | 3 | 28 | 13 | 10 | 5 | 42 | 26 | +16 | 49 | 1라운드 | 8강 | |||||
2024 | 5 | 30 | 13 | 11 | 6 | 41 | 28 | +13 | 50 | 3라운드 |
3. 역사
2008년 1월에 한국 내셔널리그 9번째 구단으로 창단했다. 창단 2년째인 2009 시즌에는 강릉시청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3 시즌에는 8승 12무 7패 승점 36점으로 5위를 차지하여 4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였다. 2014 시즌에는 6승 8무 13패 승점 26점으로 9위를 기록했다.2016년 4월 2일 울리 슈틸리케(당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가 참관한 내셔널리그 홈 개막전은 7,122명이 관람해 역대 최다 관중을 기록했으나, 0:2로 강릉시청에 패배했다.[2]
2016년 7월 여름 이적 시장에서 KBS 청춘FC 헝그리 일레븐에 출연한 염강륜이 입단했다. 2016 시즌 종료 후 김귀화 감독과 재계약하지 않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을 역임한 윤성효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 또한 하강진, 남승우, 박수일, 김민준, 박지민, 곽성욱, 김동권, 이재민, 김민규, 김창대, 여인혁 등을 영입했다.
2017년에 리그 2위와 챔피언 결정전 패배로 통합 준우승, 2018년에도 리그 2위와 챔피언 결정전 패배로 통합 준우승을 기록했고 FA컵은 8강에 진출했다. 내셔널리그에서의 마지막 시즌인 2019년은 7위로 마무리했다.
|
2021년에는 2023년에 전환을 목표로 법인화를 추진했다. 이는 대한축구협회가 2020년에 통합 K3, K4리그를 출범하며 이에 따른 클럽 라이센스를 참가팀에 요구해 이뤄진 조치다. # #
법인 준비 4년 끝에 재단법인 김해FC 창립총회를 2025년 1월 3일에 개최했다. # 2월 중순 재단 설립 완료 후 팀명을 김해시청 축구단에서 김해 FC 2008로 변경했으며, 이에 맞춰 구단 사무국도 2024년에 완공한 김해종합운동장으로 옮겼다.
2025 시즌에는 양준모, 김창대가 잔류하였고, 사간 도스 출신의 일본 선수 이시이, 이으뜸(광주), 곽성욱(이랜드), 이슬찬(전남), 조용준(화성), 윤병권(경주), 여재율(경주), 조향기(경남), 유선우(대전), 김규민(부천), 이성윤(전남), 이강욱(부산교통) 등 K리그 베테랑 선수 뿐만 아니라 K3리그의 타팀 핵심 선수 영입에 대거 성공하여 강력한 우승 후보이자 코리아컵의 다크호스로 평가받는다.
4. 역대 감독
김해 FC 2008 역대 감독 | |||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초대 | 박양하 | 2008~2009 | - |
2대 | 김한봉 | 2010~2011 | - |
3대 | 김귀화 | 2012~2016 | - |
4대 | 윤성효 | 2017~2023 | K3리그 초대 우승 (2020) |
5대 | 손현준 | 2024~ |
5. 코칭 스태프
김해 FC 2008 2025 시즌 스태프 | |||
직책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국적 |
감독 | 손현준 | Yoon, Sung-hyo | |
수석 코치 | 최명성 | Choi Myoung-sung | |
필드 코치 | 조성진 | Cho Sung-jin | |
골키퍼 코치 | 박지영 | Park Ji-young | |
의무 트레이너(PT&ATC) | 오성호 | Oh Sung-ho | |
매니저 | 오정민 | Oh Jung-min | |
6.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a20717><tablebgcolor=#a20717> | 김해 FC 2008 2025 시즌 스쿼드 |
1 김용범 · 3 이슬찬 · 4 이건웅 · 5 여재율 · 6 김호영 · 7 곽성욱 C · 8 양준모 · 9 조향기 10 조용준 · 11 이강욱 · 12 김도담 · 13 김태현 · 14 표건희 · 15 오승진 · 16 신지훈 · 17 이유찬 18 유선우 · 19 김규민 · 20 권진영 · 21 이진혁 · 22 이중호 · 23 손우성 · 24 이성윤 · 27 이현탁 28 박석하 · 29 윤경원 · 31 박종건 · 33 강태규 · 37 고우성 · 40 이시이 · 47 김창대 · 66 김은래 77 윤병권 · 88 이으뜸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7. 유니폼
김해 FC 2008 2025 시즌 유니폼 | |||
| | ||
HOME | AWAY | GK HOME | GK AWAY |
스폰서 | |||
김해복음병원 | |
8. 기록
-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우승 1회
- 2009
- K3리그 우승 1회
- 2020
- 내셔널리그 준우승 3회
- 2009, 2017, 2018
9. 여담
- 리그 대비 많은 관중이 경기장을 찾으며, 2008년에 창설한 구신이라는 이름의 서포터즈 그룹이 있다. 2025년 3월 29일 대전 코레일 FC와의 K3리그 홈 개막전에 8,677명이 입장해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1] K3리그 역대 최다 관중[2] 기존 최다 관중 경기는 창단 친선경기인 로아소 구마모토전의 5,124명으로 2:0으로 승리했다.[3] 경주 한국수력원자력과는 과거 내셔널리그 2017, 2018 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