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4:54:33

김진욱(2002)/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김진욱(2002)/선수 경력|김진욱(2002)/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41e42> 파일:김진욱 흑백(등번호 컬러).png 관련 문서
김진욱
Kim Jin-Uk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선수 경력
아마추어 시절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Lotte Giants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fff>
기록
연도별 주요 성적
평가
플레이 스타일
기타
여담 · 분류
}}}}}}}}} ||
김진욱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년 2025년 2026년
1. 개요2. 시즌 전
2.1. 시범경기
3. 페넌트레이스
3.1. 3~4월3.2. 5월3.3. 6월3.4. 7월3.5. 8월3.6. 9~10월
4. 포스트 시즌5. 총평6. 시즌 후

1. 개요

김진욱의 2025년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연봉을 작년보다 66.7% 인상된 1억원을 받게 된다. #

2.1. 시범경기

시범경기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1 0 0 0 0 4 0.00 1 0 1 5 .000 0.25 0.00

3월 10일 LG전에 선발로 등판해 4이닝 무실점 5K로 호투했다. 특히 몸에 맞는 공 1개를 제외하고는 볼넷이 없었으며 높은 스트라이크 비율을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3. 페넌트레이스

3.1. 3~4월

3~4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월 26일 문학 SSG와의 2차전 선발 등판했다. 6이닝 동안 94구를 투구하며[1] 볼넷 4개와 피홈런 1개를 내주었지만 탈삼진도 7개를 잡아내며 2실점 호투하며 QS를 달성했지만 타선이 송영진에게 꽁꽁 틀어막히며 잘 던지고도 패전투수가 되었다.

4월 2일 대전 한화와의 2차전에 선발투수로 등판했다. 5.1이닝 2실점으로 92개를 투구했고 타선도 간만에 1회부터 점수를 내 2025시즌 첫 승리투수가 되었다.[2]

4월 8일 사직 KIA와의 1차전 선발 등판해서 5.2이닝 2피안타 2사사구 5k 3실점(3자책)을 했다. 아쉬운 성적의 기록지와 달리 5회까지 클레이튼 커쇼의 영혼이 깃든 듯한 투구를 보여줬었다. 허나 6회에 잠시 흔들리면서 2사만루 상황을 만들었고, 이후 김태형의 처참하고 멍청한 투수교체로 구원 등판한 박진이 분식회계를 저질렀다. 그럼에도 압도적으로 안정적인 피칭을 선보인 경기였기에 다음 경기가 기대된다.

하지만 4월 13일 사직 NC전에서는 1.1이닝 6실점으로 최악의 피칭을 하였다. 1회초 5점의 득점 지원을 받으며 등판했으나 1회말부터 박한결에게 2점 홈런을 허용하며 불안하게 시작하더니 2회말에는 데이비슨에게 볼넷을 내주자 김태형 감독이 직접 마운드에 방문했으나 감독의 마운드 방문 이후 바로 김휘집에게 홈런을 맞고 말았고 이후 제구가 말썽을 부리면서 결국 1아웃 만루를 만들고 강판되었고 다음 투수 박진이 폭투랑 희생플라이로 2점을 더 내주면서 6실점이 기록되었다.

4월 19일 대구 삼성전에 선발 등판하여 직전 경기보다도 더한 피칭을 펼쳤다. 1회부터 안타-내야 안타-볼넷을 허용한 이후 박병호의 홈런성 타구를 좌익수 전준우의 슈퍼 캐치와 1루 주자의 아쉬운 주루 플레이가 겹치면서 아웃 카운트 2개를 얻었음에도 곧바로 담장을 맞추는 장타를 허용하며 2실점, 2회에는 홈런-사구-안타-안타-홈런을 연달아 맞으며 5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3루수 실책과 볼넷으로 주자 2명을 추가로 쌓으면서 결국 2이닝도 채우지 못한 채 강판당하면서[3] 1.1이닝 7피안타(2피홈런) 3볼넷 7실점을 기록했다. 직구 구속이 140 초반대를 넘기지 못할 정도로 떨어진 와중에 제구와 구위 모두 바닥을 찍으면서 팀의 연승을 말아먹는 활약을 펼쳤다. 2군에서 재조정이 필요할 것 같다.

4월 20일 결국 1군 말소되었다. 대신 콜업된 선수는 손호영.

3.2. 5월

5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3. 6월

6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4. 7월

7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5. 8월

8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3.6. 9~10월

9~10월 성적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4. 포스트 시즌[필요시]

5. 총평

2025년 결산
출장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승률WHIPWAR
0 0 0 0 0 0 0.00 0 0 0 0 .000 0.00 0.00

6. 시즌 후


[1] 94구 중 61구가 스트라이크였을만큼 공격적인 투구를 펼쳤다.[2] 사사구가 1개에 불과했을 만큼 이 날도 공격적인 피칭을 유지했다. 1회 황영묵과의 승부를 짧게 마쳤다면 충분히 퀄리티 스타트 이상을 바라볼 수 있었을만큼 좋은 투구내용을 보여주었다.[3] 이후 등판한 박진이 병살타로 이닝을 마무리했다.[필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