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19:00:19

근육맨 GO FIGHT

1. 개요2. 가사3. 활용4. 기타

1. 개요

근육맨 GO FIGHT / キン肉マン Go Fight
작사 모리 유키노조(森雪之丞)
작곡 세리자와 히로아키
편곡 카와카미 료(川上了)
노래 쿠시다 아키라
아~ 마음 속에 사랑이 없다면 슈퍼 영웅이 될 수 없네.
1절의 후렴구이자 사실상 근육맨의 주제라 할 수 있는 가사. 직역하자면 '마음 속에 사랑이 없다면 슈퍼 영웅이 아니라네.'이지만, 한국어 번안곡에서 저렇게 번역한 것이 더 유명하다. '될 수 없네'와 '아니라네'가 주는 어감과 무게가 다르기도 하고. 참고로 2절의 후렴구인 '끝없는 꿈을 쫓아서 슈퍼 영웅이 되는 거야.'도 유명하다.
근육맨 1기의 오프닝이자 시리즈의 노래들중 가장 유명한 곡. 보컬은 우주형사 시리즈의 주제가를 맡았던 쿠시다 아키라.[1]

2. 가사

「Go! Go! Muscle!」
「고! 고! Muscle!」

リングに 稲妻走り
링 위에 번갯불이 달리며

炎の戦士をてらす
불꽃의 전사를 비춰주네

飛び散れ キン肉ビーム
날아올라라, 근육 빔

勝利に向かって
승리를 향해서

私は(ドジで)強い(つもり)
나는(멍청이에) 강해(셈치는)

キン肉マン
근육맨

走る(すべる)見事に(ころぶ)
달리고(미끄러져) 멋지게 (넘어지네)

ああ 心に愛がなければ
아~ 마음 속에 사랑이 없다면

スーパーヒーローじゃないのさ
슈퍼 영웅이 될 수 없네

キン肉マン Go Fight!
근육맨 Go Fight!

「Go! Go! Muscle!」
「고! 고! Muscle!」

嵐の必殺技で
태풍의 필살기로

けちらす超人レスラー
헤치우는 초인 레슬러

マットに 真っ赤な薔薇が
매트 위에 붉은 장미가

今夜も 咲くのさ
오늘 밤도 피우는 거야

私は(ドジで)強い(つもり)
나는(멍청이에) 강해(셈치는)

キン肉マン
근육맨

誰もが(誰も)待って(いない)
누구나가(아무도) 기다려주지(않네)

ああ 果てない夢を追いかけ
아~ 끝없는 꿈을 쫓아서

スーパーヒーローになるのさ
슈퍼 영웅이 되는 거야

キン肉マン Go Fight!
근육맨 Go Fight!

私は(ドジで)強い(つもり)
나는(멍청이에) 강해(셈치는)

キン肉マン
근육맨

走る(すべる)見事に(ころぶ)
달리고(미끄러져) 멋지게 (넘어지네)

ああ 心に愛がなければ
아~ 마음 속에 사랑이 없다면

スーパーヒーローじゃないのさ
슈퍼 영웅이 될 수 없네

キン肉マン Go Fight!
근육맨 Go Fight!

3. 활용

근육맨(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1화부터 초인올림픽을 거쳐 7인의 악마초인 편(65화)까지 나왔던 곡.

왕위쟁탈전까지 포함하면 4개나 되는 오프닝에 5개의 엔딩, 그리고 일회성 캐릭터를 제외한 거의 모든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테마곡 등 수많은 근육맨 주제가 중 단연코 인기도 1위를 차지하는 곡. 초창기 근육맨의 컨셉인 울트라맨 패러디 개그물과 얼빠지고 한심하지만 그래도 어렴풋하게나마 정의로운 영웅이 될 자질을 갖고 있던 근육맨에 잘 어울리는 노래로 오리지널인 쿠시다 아키라 버전[2] 이외에도 여러 가수가 부르기도 했다.

원작내에서는 꿈의 초인태그에서 헬 미셔너리즈와의 싸움에서 궁지에 몰린 근육맨이 이 노래를 부르며 일어나는 장면도 있고 근육맨 2세에서 근육 만타로가 선샤인을 구타하며 폭언을 퍼붓는 체크메이트에게 분노하며 이 노래의 구절인 마음속에 사랑이 없다면 슈퍼 영웅이 될 수 없어!를 외치는 부분도 있다.

근육맨 관련 게임에선 이 노래가 오프닝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 외에도 국내에 처음으로 들어온 근육맨 비디오에서도 가사 번역(몇몇 부분이외엔 원곡과 거의 동일하다)만 하고 그대로 사용했다.

근육맨 파칭고에서도 나왔으며 리메이크로 나왔다.#1, #2

이후 근육맨: 완벽초인시조 편이 애니화되면서 제0화의 엔딩곡으로 새 버전이 나왔다! 부른 것은 신 애니판에서 근육맨의 성우을 맡게 된 미야노 마모루.
풀버전
여성보컬 버전[3]
엔도 마사아키 버전
근육맨 초대 성우 카미야 아키라 버전
근육맨 2대 성우 미야노 마모루 버전

4. 기타


[1] 특촬물의 거물로 유명해서 그렇지 애니송에도 꽤 이름을 알렸다. 이 곡 외에도 신혼합체 고단나, 전투메카 자붕글 등이 유명하다. 최근 곡은 토리코의 OP.[2] 그런데 쿠시다 아키라도 2000년대 들어서면 이 곡을 좀 락 스타일로 부르는 경향이 있다.[3] 해당 여성 보컬인 후쿠나가 미사키진격의 궤적 앨범에도 보컬로 참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