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럭비 유니언에서 사용하는 그랜드 슬램에 대해 서술한 문서일반적으로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또는 그 전신인 파이브 네이션스 챔피언십/홈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 한 팀이 다른 모든 팀에 승리했을 때를 말한다. 그밖에도 홈 네이션스 구성국(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이외 국가대표팀이 원정을 떠나 홈 네이션스 구성국에 모두 승리했을 때에도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고 말한다.
2.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1883년 홈 네이션스 챔피언십으로 시작된 이 대회에서 1908년 웨일스가 최초로 성공했으며 2023년 아일랜드가 성공한 것까지 총 무려 42번의 그랜드 슬램이 있었다. 가장 많이 성공한 것은 잉글랜드의 13번. 그 다음으로 웨일스 12번, 프랑스 10번, 아일랜드 4번, 스코틀랜드 3번, 이탈리아 0번.홈 네이션스 (1883 ~ 1909 / 1932 ~ 1939) | |
1908, 1909 | |
파이브 네이션스 (1910 ~ 1931 / 1940 ~ 1999) | |
1913, 1914, 1921, 1923, 1924, 1928, 1957, 1980, 1991, 1992, 1995 | |
1911, 1950, 1952, 1971, 1976, 1978 | |
1968, 1977, 1981, 1987, 1997, 1998 | |
1925, 1984, 1990 | |
1948 | |
식스 네이션스 (2000 ~ ) | |
2002, 2004, 2010, 2022 | |
2005, 2008, 2012, 2019 | |
2009, 2018, 2023 | |
2003, 2016 |
원래 홈 네이션스 챔피언십 시절 전승 우승 타이틀은 트리플 크라운이었다. 그런데 1908, 1909년엔 프랑스가 중간에 대회에 참가하면서 추가 경기를 치렀고, 이미 트리플 크라운을 확보한 웨일스가 프랑스에게까지 승리를 거두자 무슨 타이틀을 또 줄지 고민하다가 트리플 크라운보다 상위인 그랜드 슬램이라는 타이틀을 부여한 것이다. 이듬해 1910년 프랑스가 정식으로 대회에 참가하며 파이브 네이션스 챔피언십이 된 이후로 이 전통은 유지되고 있다.
참고로 2017년부터 전승을 했음에도 승점에 의해 순위가 역전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그랜드 슬램 달성 시 3점을 추가 부여한다. 즉 대회에서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승점은 28점. 지금까지 최고 기록으로 2023년 아일랜드가 27점을 달성했다.
U-20 대회, 여자부 대회에도 적용된다.
3. 투어
1913년 남아공이 처음 성공한 이래 2010년 뉴질랜드를 마지막으로 총 9번 있었다. 남반구 팀들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저 4개 팀을 한 번에 만날 일이 많지 않아서 그렇다. 특히 럭비가 프로화되고 대부분 경기가 정형화된 오늘날 여름 원정은 1:1 다전제 위주로, 가을 원정은 3~4개팀을 상대하는데, 이탈리아와 일본도 1티어로 인정되었으며 2티어 국가와의 경기도 점점 많이 잡히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그랜드 슬램 투어가 편성되기 어려워졌다.지금까지 그랜드 슬램 투어에 도전하여 남아공과 뉴질랜드가 4번, 호주가 한 번 성공했다. 1912-13년과 1951-52년 남아공의 유럽 투어에서 홈 네이션스 구성국뿐만 아니라 프랑스에게까지 승리하며 파이브 네이션스 구성국에 모두 승리하는 저력을 보였으며, 저 4번의 성공이 4연속 성공이다. 반대로 호주는 1957-58년 홈 네이션스 구성국에 모두 패한 적이 있다. 심지어 이때 프랑스에게도 패했다(...)
프로 시대에 성공한 것은 뉴질랜드가 유일하며, 4연속 성공을 달리고 있다. 특히 2005년에 뉴질랜드는 라이언스 투어도 3:0으로 완승하여 완벽하게 북반구를 굴복시켰다.
- 아마추어 시대
연도 | 도전자 | 결과 | |||||
| | | | ||||
1 | 1905-06 | 승 | 승 | 승 | 패 | ||
2 | 1906-07 | 무 | 승 | 패 | 승 | ||
3 | 1912-13 | 승 | 승 | 승 | 승 | ||
3 | 1927-28 | 패 | 승 | 패 | 승 | ||
4 | 1931-32 | 승 | 승 | 승 | 승 | ||
5 | 1935-36 | 패 | 승 | 승 | 패 | ||
6 | 1947-48 | 승 | 승 | 승 | 패 | ||
7 | 1951-52 | 승 | 승 | 승 | 승 | ||
8 | 1953-54 | 승 | 승 | 승 | 패 | ||
9 | 1957-58 | 패 | 패 | 패 | 패 | ||
10 | 1960-61 | 승 | 승 | 승 | 승 | ||
11 | 1963-64 | 승 | 승 | 무 | 승 | ||
12 | 1966-67 | 승 | 패 | 패 | 승 | ||
13 | 1969-70 | 패 | 무 | 패 | 무 | ||
14 | 1972-73 | 승 | 무 | 승 | 승 | ||
15 | 1975-76 | 패 | 승 | 패 | 패 | ||
16 | 1978 | 승 | 승 | 승 | 승 | ||
17 | 1981-82 | 패 | 승 | 패 | 패 | ||
18 | 1984 | 승 | 승 | 승 | 승 |
- 프로 시대
연도 | 도전자 | 결과 | |||||
| | | | ||||
1 | 1998 | 패 | 승 | 승 | 승 | ||
2 | 2004 | 패 | 패 | 승 | 승 | ||
3 | 2005 | 승 | 승 | 승 | 승 | ||
4 | 2008 | 승 | 승 | 승 | 승 | ||
5 | 2009 | 승 | 무 | 패 | 승 | ||
6 | 2010 | 승 | 승 | 승 | 승 | ||
7 | 2010 | 승 | 승 | 패 | 승 | ||
8 | 2013 | 패 | 승 | 승 | 승 | ||
9 | 2016 | 패 | 패 | 승 | 승 | ||
10 | 2024 | 승 |
4. 럭비 챔피언십
실제로 럭비 챔피언십에서 전승 우승을 했다고 그랜드 슬램이라는 칭호를 붙이지는 않지만 형식적으로 보면 그랜드 슬램이라고 할 수 있다. 상대적 약체인 아르헨티나는 아직까지 그랜드 슬램은 커녕 우승이 없다.트라이 네이션스 시리즈 (1996 ~ 2011) | |
1996, 1997, 2003, 2010 | |
1998 | |
럭비 챔피언십 (2012 ~ ) | |
2012, 2013, 2016, 2017 | |
2015[1] |
5. 관련 문서
- 식스 네이션스 참가국
-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럭비 챔피언십 참가국
[1] 2015 럭비 월드컵때문에 6경기에서 3경기로 축소 시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