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08:09:56

권혁무

파일:권혁무.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권태열(權台烈)
본관 안동 권씨[1]
출생 1924년 6월 15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2]
사망 1985년 9월 7일
경상북도 예천군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2. 생애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권혁무는 1924년 6월 15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에서 아버지 권오완(權五完)과 어머니 여산 송씨 송진호(宋進浩)의 딸 사이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상주공립농업실수학교(현 상주중학교)[3]를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입사하여 철로 직원으로 근무했다.

그는 1944년 8월 일본제국 육군 제44부대에 징집되어 이등병 계급의 보병으로 복무하던 중 1945년 1월 탈영한 뒤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제9전구 공작대에 배속되었다. 그러다 제9전구에 소속되어 있던 한국인 전원이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로 편성되면서 그도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이후 광복군 요원으로서 항일 활동을 수행하다 8.15 광복 후 한국으로 귀환했다.

1950년 6.25 전쟁 발발 후 피신하던 중 실종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예천에서 평범하게 지내다가 1985년 9월 7일 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2년 권혁무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1] 좌윤공파 길(佶)계 36세 혁(赫) 항렬.[2]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3] 원 출처에는 '상주농업학교'를 졸업했다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1921년 3월 설립된 상주공립농잠학교를 지칭한 것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