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DFDFD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스페인| | [[스페인| | [[스페인| | [[스페인| | [[스페인| | |
1950 마드리드 | |||||
<rowcolor=#202020,#DFDFD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스페인| | [[벨기에| | [[이탈리아| | [[스페인| | [[독일| | |
1957 마드리드 | |||||
<rowcolor=#202020,#DFDFD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스페인| | [[아일랜드| | [[포르투갈| | [[영국| | [[네덜란드드| | |
1962 히혼 | 1966 위트레흐트 | ||||
<rowcolor=#202020,#DFDFD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스페인| | [[스위스| | [[벨기에| | [[일본| | [[스페인| | |
1969 브뤼셀 | 1971 히혼 | ||||
<rowcolor=#202020,#DFDFDF>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독일| | [[스페인| | [[네덜란드| | [[대한민국| | [[아일랜드| | |
1973 뮌헨 | 1975 마드리드 | 1977 위트레흐트 | 1978 부산 | ||
<rowcolor=#202020,#DFDFDF>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미국| | [[오스트리아| | [[일본| | [[호주| | [[영국| | |
1981 애틀랜타 | 1983 린츠 | 1985 오사카 | 1988 시드니 | ||
<rowcolor=#202020,#DFDFDF>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네덜란드| | [[대만| | [[프랑스| | [[스위스| | [[캐나다| | |
1991 암스테르담 | 1993 타이베이 | 1995 리옹 | 1997 장크트갈렌 | ||
<rowcolor=#202020,#DFDFDF>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
[[대한민국| | [[스위스| | [[핀란드| | [[일본| | [[캐나다| | |
2005 헬싱키 | 2009 캘거리 | ||||
<rowcolor=#202020,#DFDFDF>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
[[영국| | [[독일| | [[브라질| | [[아랍에미리트| | [[러시아| | |
2015 상파울루 | 2019 카잔 | ||||
<rowcolor=#202020,#DFDFDF> 46회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
[[특별대회| | [[프랑스| | [[중국| | [[미국| | ||
2024 리옹 | |||||
Improving our world with the power of skills 기술의 힘으로 세상을 발전시키다. | }}}}}}}}} |
<colbgcolor=#003764,#003764><colcolor=white> 국제기능올림픽대회 WorldSkills | |||
| |||
국문 명칭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 ||
영문 명칭 | WorldSkills | ||
시작 연도 | 1950년[1] | ||
주최 위원회 | WorldSkills International | ||
최다 개최 도시 |
마드리드
브뤼셀
위트레흐트 | ||
최다 개최국 |
| ||
최근 대회 | 2024 프랑스 리옹 | ||
차기 대회 | 2026 중국 상하이 | ||
찬가 | WorldSkills Anthem[2] | ||
링크 | |||
언어별 명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3764,#003764><colcolor=#000> 영어 | <colcolor=black,white>WorldSkills | |
한국어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 ||
중국어 | 世界技能大赛 | ||
일본어 | 技能五輪国際大会 | ||
독일어 | Weltkills | ||
프랑스 | compétences mondiales | ||
이탈리아어 | professionalità mondiale | ||
스페인어 | habilidades mundiales | ||
러시아어 | мировые навыки | ||
포르투갈어 | habilidades do mundo | }}}}}}}}} |
<rowcolor=#fff,#000> 2024 프랑스 리옹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개막까지 |
D[dday(2024-09-10)] |
<rowcolor=#00ff52> 2026 중국 상하이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개막까지 |
D[dday(2026-09-22)] |
1. 개요
Improving our world with the power of skills
기술의 힘으로 세상을 발전시키다.
WorldSkills International
청소년 근로자의 직업 기능을 겨루는 국제 대회. 스페인 마드리드에 본부가 있는 월드스킬스 인터내셔널이 주최한다. 국내 명칭에 올림픽이란 단어가 들어가지만 IOC와는 아무 관계 없으니 주의.[3] 청소년 근로자간의 기능경기대회의 실시를 통하여 최신기술의 교류와 세계청소년근로자들의 상호이해와 친선을 꾀하며, 각국의 직업훈련제도 및 그 방법에 관한 정보 교환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기술의 힘으로 세상을 발전시키다.
WorldSkills International
2. 상세
만 17세에서 22세까지의 청소년만이 참가 가능하며 89년 대회 이후로 2년에 한 번씩 개최한다.[4]3. 위상
국제기능올림픽대회(WorldSkills Competition)는 각 직종의 기술 역량을 겨루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대회로, 직업기술 분야의 올림픽이라 불릴 만큼 높은 권위를 자랑한다.각 종목의 메달 수상자는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능인으로 인정받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스포츠 선수 못지않은 대우를 받기도 한다.
특히 금메달 수상자는 "그 분야 세계 1인자"라는 타이틀과 함께 자국 내 기술 인재로서의 상징적 존재가 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금메달 수상자는 국가기술자격 면제 혜택, 병역특례, 산업포장 등의 보상을 받으며, 그 위상은 일반 스포츠 선수 이상이라는 평가도 있다.
물론 직업기술이 아닌 일반 스포츠 종목과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축구·테니스·골프처럼 세계적인 리그나 투어가 중심이 되는 종목들과는 직접 비교하긴 어렵다. 하지만 기능 분야에서는 국제기능올림픽이 사실상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공식 무대이며, 이에 참가하거나 수상하는 것만으로도 막대한 상징성과 커리어를 얻게 된다.
이 대회의 영향력은 단순히 수상자 개인에만 그치지 않는다. 대회를 통해 각국은 기술교육 정책의 방향을 재정비하고, 기업은 현장형 인재를 발굴하며, 청소년들은 기능인이라는 진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즉, 국제기능올림픽은 단순한 경연 대회를 넘어, 국가 기술력의 상징, 산업 경쟁력의 지표, 그리고 청년 기술 인재 양성의 상징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 역사
국제기능올림픽대회(WorldSkills Competition)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산업 부흥과 기능 인력 양성을 목표로 시작되었다.최초의 대회는 1950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렸으며, 당시 참가국은 스페인과 포르투갈 두 나라뿐이었다.
이후 대회의 필요성과 취지가 공감을 얻으며 점차 참가국이 확대되었고, 1960년대부터는 유럽 전역과 1970~80년대에는 아시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국가까지 참가하면서 대회는 세계 대회로 성장하게 되었다.
1980년 국제기능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정식으로 개편되며 본부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제네바로 옮겼고, 2000년대 들어서는 "WorldSkills International (WSI)"이라는 공식 명칭 아래 활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에는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국제직업훈련대회)으로 불렸던 대회의 명칭도 WorldSkills Competition으로 변경되었다.
5. 유치 및 개최 과정
국제기능올림픽대회(WorldSkills Competition)는 [WorldSkills International]의 주관 아래 개최되며, 2년마다 전 세계 도시 중 하나에서 열린다.개최지를 결정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국제대회와 유사하게 진행되며,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5.1. 유치 신청 (입후보)
대회 개최를 희망하는 국가는 자국 정부 또는 직업기술 관련 기관(예: 한국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체가 되어 공식 유치 의향서를 제출한다. 이후 WSI에 의해 후보 자격을 부여받는다.5.2. 프레젠테이션 및 심사
후보 도시는 WorldSkills General Assembly(총회)에서 대회 인프라 계획, 예산 확보 능력, 참가자 수용 능력, 기술직 훈련 시스템의 연계 방안 등을 포함한 유치 계획을 프레젠테이션 형식으로 발표한다.이후 회원국 투표를 통해 개최 도시가 선정된다.
5.3. 선정 이후 준비
개최가 확정되면 해당 국가는 국가조직위원회(NOC)를 구성하여 약 3~4년에 걸쳐 준비를 시작한다. 이 과정에는 경기장 설계 및 조성, 종목별 장비 및 재료 확보, 자원봉사자 및 통역 인력 모집, 숙소, 교통, 치안 등 인프라 확보, 대회 운영 시스템 및 채점 기준 준비 요소가 포함된다.5.4. 대회 개최
대회는 일반적으로 약 4~5일간 개최되며, 전 세계에서 약 1,000명 이상의 선수가 참여하고 수천 명의 참관객, 산업계 관계자, 미디어가 방문한다. 개최국은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직업기술 홍보, 국가 이미지 제고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6. 역대 개최지
회기 | 연도 | 개최국 | 개최지 | 비고 |
1 | 1950 | 스페인 | 마드리드 | 첫 대회 |
2 | 1951 | 스페인 | 마드리드 | |
3 | 1953 | 스페인 | 마드리드 | |
4 | 1955 | 스페인 | 마드리드 | |
5 | 1956 | 스페인 | 마드리드 | |
6 | 1957 | 스페인 | 마드리드 | |
7 | 1958 | 벨기에 | 브뤼셀 | 스페인 이외 국가 첫 개최 |
8 | 1959 | 이탈리아 | 모데나 | |
9 | 1960 | 스페인 | 바르셀로나 | |
10 | 1961 | 서독 | 뒤스부르크 | |
11 | 1962 | 스페인 | 히혼 | |
12 | 1963 | 아일랜드 | 더블린 | |
13 | 1964 | 포르투갈 | 리스본 | |
14 | 1965 | 영국 | 글래스고 | |
15 | 1966 | 네덜란드 | 위트레흐트 | |
16 | 1967 | 스페인 | 마드리드 | |
17 | 1968 | 스위스 | 베른 | |
18 | 1969 | 벨기에 | 브뤼셀 | |
19 | 1970 | 일본 | 도쿄 | 첫 아시아 개최, 첫 비유럽 국가 개최 |
20 | 1971 | 스페인 | 히혼 | |
21 | 1973 | 서독 | 뮌헨 | |
22 | 1975 | 스페인 | 마드리드 | |
23 | 1977 | 네덜란드 | 위트레흐트 | |
24 | 1978 | 대한민국 | 부산[5] | |
25 | 1979 | 아일랜드 | 코크 | |
26 | 1981 | 미국 | 애틀랜타 | 첫 아메리카 개최 |
27 | 1983 | 오스트리아 | 린츠 | |
28 | 1985 | 일본 | 오사카 | |
29 | 1988 | 호주 | 시드니 | |
30 | 1989 | 영국 | 버밍엄 | |
31 | 1991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 |
32 | 1993 | 대만 | 타이페이 | |
33 | 1995 | 프랑스 | 리옹 | |
34 | 1997 | 스위스 | 장크트갈렌 | |
35 | 1999 | 캐나다 | 몬트리올 | |
36 | 2001 | 대한민국 | 서울 | |
37 | 2003 | 스위스 | 장크트갈렌 | |
38 | 2005 | 핀란드 | 헬싱키 | |
39 | 2007 | 일본 | 시즈오카 | |
40 | 2009 | 캐나다 | 캘거리 | |
41 | 2011 | 영국 | 런던 | |
42 | 2013 | 독일 | 라이프치히 | |
43 | 2015 | 브라질 | 상파울루 | |
44 | 2017 | 아랍에미리트 | 아부다비 | |
45 | 2019 | 러시아 | 카잔 | |
46 | 2022 | 중국 | 상하이[6] | |
47 | 2024 | 프랑스 | 리옹 |
7. 대한민국과 기능올림픽
숙련기술장려법 제20조(국내기능경기대회) ① 고용노동부장관,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사"라 한다)는 숙련기술자의 사기진작 및 상호 이해의 증진과 숙련기술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국내기능경기대회를 개최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국내기능경기대회는 고용노동부장관이 개최하는 전국기능경기대회와 시·도지사가 개최하는 지방기능경기대회로 구분한다. ③ 고용노동부장관은 지방기능경기대회의 개최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④ 제1항에 따른 국내기능경기대회의 참가자격과 그 밖에 개최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1조(국제기능올림픽대회) ① 고용노동부장관은 숙련기술자의 국제교류를 통하여 숙련기술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참가국과의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국제기능올림픽대회를 국내에서 개최하거나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선수단을 파견할 수 있다. ②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참가할 선수는 전국기능경기대회에서 입상한 사람 중에서 선발함을 원칙으로 한다. ③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참가할 선수의 선발기준과 그 밖에 참가에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 ⑤ 고용노동부장관은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준비 및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와 그 밖의 공공단체에 행정적·재정적인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제22조(포상 및 상금)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기능경기대회에서 입상한 사람에게 훈장·포장 또는 표창을 수여하거나 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훈장·포장 또는 표창의 수여와 상금의 지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4조(부정행위자 제재) ① 고용노동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제20조에 따른 국내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하여 부정행위로 입상한 사람에 대하여 입상을 취소하고 취소일부터 3년간 국내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정지시켜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입상이 취소된 자가 이미 상금 또는 계속종사장려금을 지급받은 때에는 그 지급받은 금액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반환하여야 한다.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업무의 위탁) 고용노동부장관은 법 제25조제2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업무를 공단(한국산업인력공단-註) 이사장에게 위탁한다. 15. 법 제20조제1항에 따른 국내기능경기대회의 개최 16. 법 제21조제1항에 따른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개최 및 선수단의 파견 17. 법 제22조에 따른 포상 수여 및 상금 지급 업무 19. 법 제24조에 따른 부정행위자 제재를 위한 사실관계 조사 및 확인 업무 |
|
1968년 국제기능올림픽 대회 한국 대표단의 모습. |
한국 대표팀이 굉장히 강한 대회인데. 역대 메달 순위가 4-3-4-3-4-2-2-1-1-1-1-1-1-1-1-1-2-1-1-1-1-1-2-1-1-1-1-1-2-3이다. 가히 최종보스급의 위상이라 할 만한 수준이다.
또한, 기능올림픽에서 입상할 경우 상금과 함께 병역특례의 혜택이 주어진다.
2017년 대회에서는 중국에 밀려 1위자리를 뺏겼고, 최근 2019 러시아 카잔 국제기능올림픽에서 중국-러시아 다음으로 3위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경우 개최국 이점을 잘 살렸고, 중국의 경우 2011 런던 국제기능올림픽 이후로 모든 종목에 대해 선수들이 참가함과 동시에, 국가적으로 훈련센터를 만들어 선수들을 훈련시키고 있어 경계대상이 되고 있다.
8. 종목
- 폴리메카닉스 (Polymechanics/Automation)
- 통신망분배기술 (Information Network Cabling)
- 통합제조 (Manufacturing Team Challenge)
- 메카트로닉스 (Mechatronics)
- 기계설계/CAD (Mechanical Engineering Design-CAD)
- CNC선반 (CNC Turning)
- CNC밀링 (CNC Milling)
- 석공예 (Architectural Stonemasonry)
- 정보기술 (IT Software Solutions for Business)
- 용접 (Welding)
- 프린팅 (Print Media Technology)
- 타일 (Wall and Floor Tiling)
- 자동차차체수리 (Autobody Repair)
- 항공정비 (Aircraft Maintenance)
- 배관 (Plumbing and Heating)
- 공업전자기기 (Electronics)
- 웹디자인 및 개발 (Web Technologies)
- 전기제어(Electrical Installations)
- 산업제어 (Industrial Control)
- 조적 (Bricklaying)
- 미장 (Plastering and Drywall Systems)
- 장식미술 (Painting and Decorating)
- 모바일로보틱스 (Mobile Robotics)
- 가구 (Cabinetmaking)
- 실내장식 (Joinery)
- 목공 (Carpentry)
- 귀금속공예 (Jewellery)
- 화훼장식 (Floristry)
- 헤어디자인 (Hairdressing)
- 피부미용 (Beauty Therapy)
- 의상디자인 (Fashion Technology)
- 제과 (Confectioner/Pastry Cook)
- 자동차정비 (Automobile Technology)
- 요리 (Cooking)
- 레스토랑서비스 (Restaurant Service)
- 자동차페인팅 (Car Painting)
- 조경 (Landscape Gardening)
- 냉동기술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 IT네트워크시스템 (IT Network Systems Administration)
- 그래픽디자인 (Graphic Design Technology)
- 간호 (Health and Social Care)
- 철골구조물 (Construction Metal Work)
- 비쥬얼머천다이징 (Visual Merchandising/Window Dressing)
- 프로토타입모델링 (Prototype Modelling)
- 플라스틱다이엔지니어링 (Plastic Die Engineering)
- 산업기계설비 (Industrial Mechanical Millwright)
- 3D디지털게임아트 (3D Digital Game Art)
- 클라우드컴퓨팅 (Cloud Computing)
- 사이버보안 (Cyber Security)
- 수처리기술 (Water Technology)
[1] 스페인 마드리드[2] https://api.worldskills.org/resources/download/9366/10282/11200?l=en[3] IOC가 정식으로 올림픽이란 칭호를 사용하도록 허락한 것은 스페셜 올림픽 밖에 없다.[4] 몇몇 직종에 한하여 만 25세까지 출전 가능하다. 예시) 메카트로닉스, 통신망분배기술, 사이버보안, 클라우드컴퓨팅, 수처리기술 등[5] 무려 부산기계공고에서 개최하였다! 덕분에 부기공 출신 동창들은 24회 올림픽 대회를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6] 취소, 스위스 루체른에서 임시 대회[7] 십중팔구까지는 아닌 게, 방학기간에 전공 자격증을 준비하는 학생들도 많이 있다. 물론 학교가 어느 정도 수준이 있다는 가정 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