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22:40:30

국부 거품

국부 거품
Local bubble
파일:국부 거품.jpg
관측 정보
거리 0 광년
0 파섹
나이 1,000만~2,000만 년
규모
겉보기 크기 360° × 360°
지름 최소 1,000 광년
명칭
국부 거품, 국부 공동(Local Cavity)[1]
1. 개요2. 상세
2.1. 구조
2.1.1. 국부 성간 구름2.1.2. G-구름
2.2. 역사2.3. 소속 천체
3. 관측4. 영향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국부 거품[2]

국부 거품은 우리 은하오리온자리-백조자리 팔에 위치한[3] 성간물질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이다.[4]

2. 상세

2.1. 구조

국부 거품은 태양계를 포함하는 국부 성간 구름, G-구름, 가까운 성단, 성운 등을 포함하며, 은하 평면에서 국부 거품을 보았을 때 타원형, 계란 모형, 또는 모래시계 모형으로 보인다.

또한 태양계로부터 약 652 광년 떨어져 있는 루프 I 거품, 루프 II 거품, 루프 III 거품과 이웃이며, 그 중 루프 I 거품과는 이리자리 터널이라는 구조와 연결된다.

국부 거품 내의 뜨겁고 희미한 가스는 X선을 방출한다.

2.1.1. 국부 성간 구름

국부 성간 구름
Local Interstellar Cloud
<nopad> 파일:Galaxymap.com,_map_10_parsecs_(2022).png
주변 별의 다이어그램과 국부 성간 구름에 대한 한 예술가의 묘사
규모
지름 30 광년
9.2 파섹
명칭
국부 성간 구름

국부 성간 구름 / Local Interstellar Cloud

국부 성간 구름은 국부 거품 내부에서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이다.[5]

구름의 온도는 약 7,000K 정도로 태양 표면과 거의 같은 온도이다. 그러나 1cm3당 0.3개의 원자로 밀도가 높지 않아 비열 용량이 매우 낮다.

2.1.2. G-구름

G-구름
G-Cloud
<nopad> 파일:The_Local_Interstellar_Cloud_and_neighboring_G-cloud_complex.svg.png
G-구름과 이웃인 국부 성간 구름의 지도
명칭
G-구름, G-구름 복합체

G-구름 / G-Cloud

G-구름 또는 G-구름 복합체는 국부 성간 구름과 이웃한 구름이다.

현재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계인 센타우루스자리 알파[6], 태양계에서 2번째로 가까운[7] A형 주계열성인 알타이르 등이 이곳을 여행 중이며, 태양계도 G-구름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2.2. 역사

국부 거품의 형성에는 여러 추측이 있는데, 그 중 하나에서는 쌍둥이자리에 위치한 펄서 제밍가가 국부 거품을 생성한 단일 초신성 잔해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플레이아데스 운동 성협의 B1 하위군에서 발생한 여러 초신성이 국부 거품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추측으로는 약 1,000만 ~ 2,000만년 전, 전갈자리-센타우루스자리 성협의 하위부분인 상부 센타우루스자리 성협, 하부 센타우루스자리 성협에서 14 ~ 20회의 연쇄 초신성이 발생하였고, 그 공간이 국부 거품이 되었다고 추측된다.[8][9]

태양계는 국부 거품에 약 500만 ~ 1,000만 년 전에 진입하게 되어 현재 국부 거품 내에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영역인 국부 성간 구름 지역[10]을 여행하고 있다.

2.3. 소속 천체

파일:Spin_view_local_bubble_with_stars (1).gif
국부 거품에 속하는 천체들
국부 거품의 크기가 크기이다보니 많은 천체가 국부 거품에 속한다. 항성으로는 대표적으로 태양계에서 가까운 항성들, 성단이나 성운으로는 큰곰자리 운동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 히아데스 성단, 스피카 성운, A 오리온자리 성단[11] 등이 소속되어있다.

3. 관측

2003년 2월 발사되어 2008년 4월까지 활동했던 작은 우주 관측소인 CHIPS[12]가 국부 거품 내의 뜨거운 가스를 조사했다. 국부 거품은 또한 극자외선 탐사기 임무[13]의 주요 관측 대상이었으며, 거품 내 뜨거운 EUV 소스를 분석했다.

2019년, 확산 성간 띠의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부 거품의 첫 번째 3D 지도가 작성되었으며, 2020년에는 별의 소광 데이터를 사용한 먼지 밀도 3D 지도를 통해 국부 거품을 둘러싼 먼지 표면의 모양이 모델링되었다.

4. 영향

국부 거품은 팽창하면서 성간 가스와 먼지를 쓸어내며 표면에 새로운 별을 형성하게 하지만, 내부에서는 별을 형성하지 않는다.

2022년 1월, 학술지 Nature에 실린 논문은 국부 거품의 팽창 표면이 가스와 잔해를 수집하며 주변의 모든 어린 별들의 형성에 영향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새로운 별들은 일반적으로 황소자리 분자 구름과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같은 분자 구름에 위치한다.

지구의 방사성 동위원소들도 국부 거품의 영향을 받았는데 가장 흔히 관찰되는 것은 심해의 철-망간 표층 또는 심해 퇴적물, 남극의 눈, 달의 토양 등에서 발견된 철-60이다.

5. 여담

6. 관련 문서



[1] 헤라클레스자리 방향에 위치해 있는 직경 2억 광년의 거시공동인 국부 공동(Local Void)와는 별개의 천체이다.[2] 국부(局部, Local)란 단순히 '태양계가 있는 근처 지역'이란 뜻이다.[3] 정확히는 태양계가 속하는 오리온자리 팔이다.[4] 우리 은하 내 평균 성간물질 밀도의 약 [math(\dfrac {1}{10})] 정도이다.[5] 우리 은하 평균 밀도의 약 [math(\dfrac 16)] 수준이다.[6] 프록시마 포함[7] 첫번째는 시리우스 A이다.[8] 이웃인 고리 I 버블도 이 폭발로 인해 만들어졌다고 추측된다.[9] #[10] 다만 국부 성간 구름인지 국부 성간 구름과 G-구름 복합체를 잇는 통로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1] 바이어 명명법이다. 전파원과 다르게 별자리 앞에 알파벳을 붙인다. 플렘스티드 명명법으로는 오리온자리 32이다.[12] Cosmic Hot Interstellar Plasma Spectrometer[13] 1992~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