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7 01:23:45

국립공주대학교/총동문회

파일:공주대학교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공주
(신관 / 옥룡)
천안 예산 세종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9f41>
대학 정보
||
역사 학부 대학원
학생 정보
동아리 학생회
부속 기관
도서관 박물관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9f41>
부설 학교
||
부설유치원 부설중학교
}}}}}}}}} ||
국립공주대학교 총동문회
國立公州大學校 總同門會
{{{#ffffff Kongju National University Alummi Association}}}
<colbgcolor=#009f41> 설립 1952년
총동문회장 제27대 이병도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91-2번지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총동문회장3. 동문회관4. 사업
4.1. 장학재단4.2. 기부/기금 운동4.3. 학교 견제4.4. 시설물 건립
5. 지부지회6. 여담

1. 개요

파일:공주대총동창회총회.jpg
국립공주대학교 총동문회 정기총회[1]
제3조(목적) 본회는 동창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며, 모교발전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국립공주대학교총동문회이다. ‘공주사범대학 동창회’를 전신으로 하고있으며, 종합대학 승격이후 국립공주대학교 총동문회로 개편하였다.

1952년에 발행된[2] ‘회원명부’에는 공주사범대학동창회 회칙이라 하여 전문 5장 19조의 회칙을 제시하고 있고, 이와 같은 회칙은 1956년 7월 31일에 발행된 회원명부에서 6장 23조로 확대 개편되었다.

이후 통합학교 동창회도 편입하여 받았으나 예산과 천안의 경우 지리적 차이가 크다보니 따로 노는 경향이 있다. 특히 사범대 동문의 인원 수가 가장 많고 이를 모태로 출발하였다보니 사범대 위주의 운영이 이루어지는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2. 총동문회장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총동문회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김기평
국어 48학번
염종한
국어 48학번
권양원
국어 48학번
이호상
국어 48학번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화영
수학 48학번
백승탁
국어 55학번
권영준
물상 51학번
이상우
교육 54학번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박노석
국어 48학번
권양원
국어 48학번
안창로
국어 51학번
신대현
화학 54학번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김종수
생물 54학번
이화영
국어 55학번
이춘우
물리 58학번
김승동
수학 60학번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오제직
화학 60학번
장석민
교육 66학번
이명기
교육 65학번
김종성
영어 69학번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조삼래
생물 72학번
한승희
교육 76학번
백욱현
영어 73학번
박달원
수학 78학번
제25대 제26대 제27대
이대영
생물 78학번
이연주
체육 77학번
이병도
한문 82학번
}}}}}}}}} ||
국립공주대학교 총동문회장
國立公州大學校 總同門會長
The President of KNU Alumni Association
파일:이병도 충남교육.jpg
<colbgcolor=#009f41> 현직 이병도 (27대)
취임일 2025년 11월 1일
학력 비인국민학교 (졸업)
비인중학교 (23회 / 졸업)
서천고등학교 (졸업)
공주사범대학[3] (한문교육 / 학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4] / 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 박사)
약력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교사
충청남도교육청 중등교사
제15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남지부장
충청남도교육청 정책기획팀장
충청남도교육청 학교정책과장
충청남도교육청 교육혁신과장
충청남도교육청 교육국장
제32대 충청남도천안교육지원청 교육장
동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공주대학교 동문회는 1952년 제3회 졸업생이 배출되면서 첫 출발을 하였습니다. 1991년 공주사범대학이 종합대학인 국립공주대학교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총동문회로 발전해 왔습니다. 지금은 국내외 곳곳에서 활동하는 8만여 동문들과 함께 공주대학교 총동문회는 모교 발전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948년 개교한 공주사범대학은 해방 직후 교육 입국의 사명을 띠고 인재교육의 산실이 되어 대한민국의 산업발전과 민주화를 이룩하는데 초석이 되었습니다. 4차 산업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에는 교육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수많은 동문들이 국가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자랑스러운 모교입니다.

곰나루와 공산성이 공주의 정신이라면 천안과 예산 캠퍼스를 포함하는 공주대학교는 동문의 영혼입니다. 내 정신의 뿌리는 온전히 모교에서 얻은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동문들을 만날 때마다 새삼 모교에 대한 사랑과 감사한 마음이 넘치게 됩니다.

존경하는 동문 여러분.

8만여 동문들이 함께 응집하고 상호 협력하면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총동문회가 더욱 단단해져야 합니다. 저부터 앞장서겠습니다. 동문 여러분들께서도 적극 참여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동문 여러분 곁에는 총동문회가 있습니다. 언제 어디서든 동문 여러분과 함께하는 총동문회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립공주대학교 총동문회 회장 이 병 도

이병도 제27대 총동문회장은 1964년 2월 22일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태어나 비인국민학교, 비인중학교, 서천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공주사범대학(現 국립공주대학교) 한문교육과를 다니고 졸업했다.

1986년 3월, 인천에 있는 가좌중학교에서 교직 생활을 시작한 뒤 제물포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교사를 맡았다. 시도간 교원 인사교류 를 통해 1997년 3월부터 고향 충청남도로 옮겨 성환고등학교당진고등학교, 합덕여자고등학교, 천안쌍용고등학교, 온양용화고등학교에서 근무했다.

또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남지부에서 정책실장과 사무처장, 부지부장 등을 거쳐 제15대 충남지부장을 맡았다. 2014년 6월, 김지철 충청남도교육감 당선 이후 교육감직인수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같은 해 9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교육청 정책기획팀장과 학교정책과장, 교육혁신과장 등을 역임했다.

2022년 9월부터 충청남도교육청 교육국장을 맡았다. 2024년 3월부터 제32대 충청남도천안교육지원청 교육장에 부임했으며, 2025년 8월 28일 퇴임식을 가졌다. 퇴임 후 상명대학교 초중고미리배움연구소 특임교수와 충남교육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2025년 11월부터 국립공주대학교 총동문회 회장직을 역임 중이다.

3. 동문회관

파일:공주대동창회관.jpg
국립공주대학교 동문회관

국립공주대학교 동문회관은 학교측의 도움없이 동문들끼리 지난 2003년 동창회관건립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4년여 동안 기금을 모아서 만들었다. 총 3600명이 넘은 동문들이 힘을 보탰으며, 2007년에 최종적으로 동문회장학재단 기본재산 등록되었다.

4층 건물 전부가 총동문회 재산으로 일부는 임대를 주어 그 수익은 장학금으로 활용하고 있다. 2층에는 20~4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회의 시설있으며, 국립공주대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교육관련 단체 원하면 각각 기별/학과별 동창회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신청을 받아 개방하고 있다.

4. 사업

4.1. 장학재단

‘재단법인 공주대학교동문회장학회’는 지난 1981년 9월에 열린 이사회에서 장학기금 사업안을 결의하여 활성화 하게 된다. 동년 11월부터 모금을 시작하여 이현우(국어13회)의 1만불을 비롯한 1억 2천여 만원의 기금이 모였고, 1985년에 설립되게 된다 현재는 기본재산 2억원을 가지고 운영 중에 있으며, 재단 설립 후 현재까지 1,000명이 넘는 재학생들에게 5억원이 넘는 장학금을 지급하였다.

현재 장학회에선 공주시 금성동 산성공원 입구 연문광장에 동창회관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일부를 임대하여 장학금을 확보하고 있다. 참고로 동창회관은 법적으로 장학재단 기본재산으로 등기가 되어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그 누구도 매매할 수 없는 공공의 재산으로 관리되고 있다.

4.2. 기부/기금 운동

4.3. 학교 견제

4.4. 시설물 건립

5. 지부지회[5]

6. 여담



[1] 2017년 10월 21일(토) 김희수 총장직무대리를 비롯한 한승희 총동문회장, 김지철 충남교육감, 최교진 세종교육감, 이화영 교수, 김승동 교수, 각 시도 동문,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했을 당시 사진이다.[2] 단기 4285년 3월 1일 발행. 발행자 공주사범대학동창회. 인쇄 삼영프린트사.[3]국립공주대학교 사범대학[4] 일반사회교육전공[5] 이중에는 공주대학교 총동문회와 별다른 교류없이 운영되는 곳도 다수 있다.[6] 운동권 출신 졸업생들이 만든 동창회이며, 지금도 전국대학민주동문회협의회에 가입하여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데 앞장서고 있다.#